[뉴스 리뷰] 해외 선진국 저출산은 어떤 상황일까?
한경's [줄어드는 인구 소멸하는 한국] 시리즈 리뷰 ④ 한국이 세계에서 제일 급격히 늙어가지만, 늙어가고 있는 다른 나라들도 상당하며 그 중에는 우리나라보다 일찍 베이미붐을 겪고 고령화에 접어든 국가들 또한 존재한다. 그들은 어떤 상태일까? 우리가 배울점은 없을까? ① 미국, 이민자의 나라는 이민으로 저출산을 막는다. 최고급 엘리트, 천재를 위한 EB-1비자(아인슈타인 비자)로 과학, 예술, 체육, 경영에서 큰 성과를 낸 인재를 받아들임 *노벨상 수상자, 올림픽 우승자, 오스카상 수상자, 고위임원 등 **매년 5천명으로 국가별 7%를 넘지 않도록 관리함 ***10년간 아무 제약없이 거주가능하며, 갱신도 가능함 기간 내 요건을 갖출 때 시민권 신청이 가능함 미국 출산율은 07년 2.07명에서 '20년 1..
2022. 12. 10.
[독서 Note] 할머니, 할아버지도 하는 이것! 달라진 현대 시니어 상징
50+ 스마트 시니어를 주목하라 ①-3. S-M-A-R-T로 시니어 읽기 by 이수원 [Insight for next] 이 시대의 시니어, 특히 앞으로 어린 시니어를 담당할 베이비부머는 IT에 밝다, 그 중에서도 강력한 팬심을 가지고, 정치에 대한 관심이 높아 이것이 SNS와 덕질로 이어지며 미디어와 광고, 콘텐츠, 소비 업계에 큰 변화를불러오고 있으며, 더불어 콘텐츠 크리에이터로 시니어의 모습 또한 이제 전혀 어색하지 않은 지경에 이르렀다. 이것은 시니어의 몸, 정신, 사회, 개인의 건강의 Needs 중 몸을 제외한 나머지 모두에 적용되는 그런 활동 아니겠는가? 좋아하는 것을 찾아볼 수있는 통로로서 그리고 그것을 공유함으로써 지인들과 교류할 수 있는 공간으로서 또한 본인이 재생산한 콘텐츠에 대해 보람과..
2022. 12. 9.
[뉴스 리뷰] 황혼 육아, 인생 2막의 시작인가? 육아 헬 게이트의 시작인가?
브라보 마이 라이프 황혼육아 커버스토리 리뷰 ① 황혼 육아란, 조부모가 손주의 양육을 도맡아서 하는 것으로 맞벌이 부부가 증가하면서, 가정의 주 양육자 위치가 아이의 부모에서 은퇴한 조부모로 옮겨졌음을 뜻한다. *맞벌이 부부(가구 수) '21년 582만 가구 (출처: 통계청) *황혼육아 비율 '21년 48.8% (출처 : 보건복지부) *맞벌이 가구 주요 돌봄 조력자(출처 : 서울시) : 조부모-친족 영유아기 56.9%, 초등기 41.7% 할빠/할마, 학조부모, 할류열풍, 헬리콥터 그랜마, 리터루족, 맘고리즘, 손주병... 이런 말 아시나요? 요즘 국내 노인층의 절반 가까이가 황혼육아에 참여하면서 생긴 신조어들이다. *할빠/할바 : 손주를 직접 키우는 '할머니 엄마' 줄임말 *학조부모 : 학부모+조부모, ..
2022. 11. 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