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728x90

돈 되고, 의미 되는 "시니어" 과제 발굴/초고령 사회 현상과 문제들49

[뉴스 리뷰] 해외 선진국 저출산은 어떤 상황일까? 한경's [줄어드는 인구 소멸하는 한국] 시리즈 리뷰 ④ 한국이 세계에서 제일 급격히 늙어가지만, 늙어가고 있는 다른 나라들도 상당하며 그 중에는 우리나라보다 일찍 베이미붐을 겪고 고령화에 접어든 국가들 또한 존재한다. 그들은 어떤 상태일까? 우리가 배울점은 없을까? ① 미국, 이민자의 나라는 이민으로 저출산을 막는다. 최고급 엘리트, 천재를 위한 EB-1비자(아인슈타인 비자)로 과학, 예술, 체육, 경영에서 큰 성과를 낸 인재를 받아들임 *노벨상 수상자, 올림픽 우승자, 오스카상 수상자, 고위임원 등 **매년 5천명으로 국가별 7%를 넘지 않도록 관리함 ***10년간 아무 제약없이 거주가능하며, 갱신도 가능함 기간 내 요건을 갖출 때 시민권 신청이 가능함 미국 출산율은 07년 2.07명에서 '20년 1.. 2022. 12. 10.
[독서 Note] 할머니, 할아버지도 하는 이것! 달라진 현대 시니어 상징 50+ 스마트 시니어를 주목하라 ①-3. S-M-A-R-T로 시니어 읽기 by 이수원 [Insight for next] 이 시대의 시니어, 특히 앞으로 어린 시니어를 담당할 베이비부머는 IT에 밝다, 그 중에서도 강력한 팬심을 가지고, 정치에 대한 관심이 높아 이것이 SNS와 덕질로 이어지며 미디어와 광고, 콘텐츠, 소비 업계에 큰 변화를불러오고 있으며, 더불어 콘텐츠 크리에이터로 시니어의 모습 또한 이제 전혀 어색하지 않은 지경에 이르렀다. 이것은 시니어의 몸, 정신, 사회, 개인의 건강의 Needs 중 몸을 제외한 나머지 모두에 적용되는 그런 활동 아니겠는가? 좋아하는 것을 찾아볼 수있는 통로로서 그리고 그것을 공유함으로써 지인들과 교류할 수 있는 공간으로서 또한 본인이 재생산한 콘텐츠에 대해 보람과.. 2022. 12. 9.
[뉴스 리뷰] 해외에서 보는 한국 저출산/고령화의 원인은? (1) CNN이 '저출산 문제 해결' 위해 260조 원 투입한 한국이 '세계 최저 출산율' 기록한 원인 CNN은 “한국은 260조원 이라는 엄청난 돈을 썻으나, 출산율을 높이기에는 역부족으로, 아무리 많은 돈을 투입해도 정부가 해결할 능력을 벗어난거다. 새로운 접근방식이 필요하다”고 보도 윤석열 정부가 5월 취임 이후 문제 해결을 위한 위원회 설치, 추가 신생아 재정 지원 약속 등 과거와 비슷한 방식을 지속하는 것 외에 아이디어가 부족함을 지적함 CNN이 지적한 저출산의 이유 3가지 1) (감당하기 힘들만큼) 돈이 많이 든다. 한국 저출산의 가장 큰 문제가 젊은이들이 가정을 갖지 못하는 경제적 요인이라고 지적함 : 높은 부동산 가격, 교육비로 맞벌이가 필요하나, 공공 보육이 부족해 많은 부부들이 보육비를.. 2022. 12. 8.
[독서 Note] ①-2. 요즘 시니어가 원하는 여가란? 50+ 스마트 시니어를 주목하라 독서노트 [Insight for next] Time rich, Money Poor이다 보니 생각할 시간이 많아져서 그런 것일까? 시니어의 여가는 직장인(경제활동인구)과 겹치지 않고서 더 효율적으로 누릴 수 있으며, 단순 시간 소비가 아닌, 개인적or사회적인 의미를 부여하고 싶은 특징을 갖는다. 그런면에서의 움직임을 가장 잘 표현하는 것이 Edu-tainment가 아닐까 생각한다. 인생의 후반부에 들어서 비로소 자신에 대해 배우고, 본인의 흔적 or 선한 영향력을 통해 보람을 느끼고 싶으며, 육체와 정신이 약해지는 것을 느끼지만 배움을 통해 여전히 성장하고 있음을 느끼고 싶은 것.... 아마 그러한 행동의 근저에는 여전히 본인이 살아있다는 느낌과, 생동감을 유지하고 싶은 그.. 2022. 12. 8.
[뉴스 리뷰] 인구절벽으로 인한 모든 산업의 뉴노멀化 한경's [줄어드는 인구 소멸하는 한국] 리뷰 ② (1) 인구절벽이 낳은 산업트렌드… 글로벌화·無人화·고급화 + (2) '인구감소'에 내수 성장 한계… "한국시장만 보고선 기업 못합니다" - 국내 인구 감소로 내수시장이 감소하자, 생산기지를 해외에 두는 기업 증가 중(글로벌화) *인구 많고, 수요 많은 지역에서 생산해 시장 공략 > 현기차 해외판매 02년 151만대 → 22년 618만대 > 현기차 국내 생산비중 '12년 49% → '21년 39% > 삼성전자 베트남에서 스마트폰 50% 이상을 생산 (동남아시아 중심으로 전세계에 판매) - 생산가능인구 감소(구인난)를 대비해 무인화도 진행 *100% 자동화 공정으로 518m 라인관리 직원5명미만 - 저출산에 따른 명북 아동복 시장 급부상 등 고급화 발생 -.. 2022. 12. 4.
[뉴스 리뷰] 한국은 왜 불임 국가가 되었나? 한경's [줄어드는 인구 소멸하는 한국] 시리즈 리뷰 ③ 우리나라가 불임(저출산)이 된 이유는 무엇일까? 육아가 부담스럽고, 자유가 좋은 MZ 성향이 모든 이유인가? 더 구조적인 원인은 없을까? 구조적인 원인은 계속될 것인가? 알아보도자. 1) 극심한 경쟁사회 때문에, 불임이 되었다. "한강의 기적"으로 대표되는 산업화 초기에 '1등 주의'는 대한민국의 고속성장을 이끄는 핵심 원동력이었다. 그때는 그것이 맞았다. 하지만, 산업구조의 변화와 저성장 국면, 사회적 다원화가 중요한 국면으로 접어들며 (대학)입시-취업-승진 라는 획일적 경쟁의 강요가 더 이상 유효하지가 않아졌다. 정확히는 획일적 경쟁에 뒤처진 청년들이 출산을 단념했다. OECD의 '2022 한국경제보고서'를 보면 한국청년은 명문대 진학과 취업이.. 2022. 12. 3.
[독서 Note] 50+ 스마트 시니어를 주목하라 ①-1. S-M-A-R-T로 시니어 읽기 by 이수원 [시사점] 작가는 곧 주류가 될 시니어(50세+) 이해를 위해 S.M.A.R.T 라는 키워드로 그들을 풀어낸다. 앞으로 실버세대를 타겟 소비자로 하거나, 핵심 이해관계자로 다룰 대부분의 독자들에게 시니어의 핵심 가치 or 변화상을 이해하는 것은 분명 의미가 있다고 생각한다. 적어도 본인들의 과업이 이 5가지에 반하진 않는 것이 안전할 것이다. Sense - 시대에 뒤떨어지길 싫어하며 Money - 일정한 경제력을 갖는 것에 민감하며 Art - 문화예술에 대한 관심이 높은 반면 Re-creation - 여가활동 또한 적극적으로 참여하고 Technology - 기술에 대한 거부감이 없는 그룹 p7. '18년: 65세 이상이 전체 인구 14%를 넘어 고령사회 진입 '20년: 부머 맏이 55년생이 65세가 되며.. 2022. 12. 1.
[뉴스 리뷰] 황혼 육아, 인생 2막의 시작인가? 육아 헬 게이트의 시작인가? 브라보 마이 라이프 황혼육아 커버스토리 리뷰 ① 황혼 육아란, 조부모가 손주의 양육을 도맡아서 하는 것으로 맞벌이 부부가 증가하면서, 가정의 주 양육자 위치가 아이의 부모에서 은퇴한 조부모로 옮겨졌음을 뜻한다. *맞벌이 부부(가구 수) '21년 582만 가구 (출처: 통계청) *황혼육아 비율 '21년 48.8% (출처 : 보건복지부) *맞벌이 가구 주요 돌봄 조력자(출처 : 서울시) : 조부모-친족 영유아기 56.9%, 초등기 41.7% 할빠/할마, 학조부모, 할류열풍, 헬리콥터 그랜마, 리터루족, 맘고리즘, 손주병... 이런 말 아시나요? 요즘 국내 노인층의 절반 가까이가 황혼육아에 참여하면서 생긴 신조어들이다. *할빠/할바 : 손주를 직접 키우는 '할머니 엄마' 줄임말 *학조부모 : 학부모+조부모, .. 2022. 11. 30.
[뉴스 리뷰] 인구 또한 부익부 빈익빈, 지방이 없어진다 한경's [줄어드는 인구 소멸하는 한국] 시리즈 리뷰 ① (1) 인구 재앙…지자체 절반 '소멸위험' [요약] 전국적으로 30년 뒤 인구소멸이 예상되나, 지방은 광역시, 읍/면/리 상관없이 이미 소멸 중으로, 어린이 시설이 아닌 노인 시설로 전환되는 상황임 [시사점] 지금은 서울, 거점도시에서 멀거나, 거점 도시에서도 상대적으로 낙후된 지역에서 인구 소멸이 나올 것이나 이는 점점 확대돌 것임 [인구 도시 집중 → 도시 일자리 부족 → 경제여건 악화 → 결혼 및 출산율 감소 → 인구 감소 → 경제 규모 감소 → 세금 재정 악화 → (효율성을 위해) 재정 도시 집중 → (또다시) 인구 도시 집중]의 악순환이 형성되있음 결국 도시의 인구과밀과 인구 감소, 인구 고령화는 궤를 같이 하는 것으로 일자리가 핵심이라고.. 2022. 11. 26.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