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728x90

스타트업10

[근간] 사업하는 법 사업하는 법1) 사용자들이 사랑하는 제품을 만들라 - Fan을 만드는 것이 중요하다, 적당히가 아니라 없어지면 안될 정도로 추종하는 고객들- 많은이들의 선호, 다수의 사용자  2) 성장하라- 많은 방법이 있겠지만, 본질은 사용하는 제품을 통해 성장하는 것이다 3) 안정화하라(aka 해자)- 한번 이긴 다음, 계속 이길 수 있게 해라 ▷ 네트워크, 경쟁우위, 독점적 우위- 경쟁에서 이긴 다음, 계속 1등을 할 수 있을까? ▷ 한번 고지를 점령했으면, 왜 계속 이길 수 있는지 알아야 한다 채용/영입경쟁보다는 스스로 망하기 쉬운데, 여기에 있어 가장 중요한 것이 채용임: 기업이 클 수록 대표가 결정할 수 있는 것은 전략과 채용 뿐 *채용 뿐 아니라, 해고까지 잘해야 함 지출/전략 : 가능한 절약해서 수익을 내.. 2024. 10. 22.
[스타트업 리스트] #9. "지방소멸 대처" 스타트업 [Insight for Next] 인구 구조가 변한다는 것은 사업을 하는 판 자체가 바뀐다는 의미다. 그것이 내게 긍정적일지, 부정적일지는 대응하기 나름일 것이다. 아래 두 스타트업 케이스는 분명 지방소멸로 인해 발생하는 정보 비대칭으로 인한 구인/구직난, 빈집문제와 지방이주 허들으로부터 문제를 발견하였고, 그걸 기회로 바꾸고자 노력중이다. 일단 키워드를 잡았고, (내가 알수있을 만큼) 인지도를 높인 점에서 고무적이다. 공통적인 시사점을 정리해보자면, "전부가 아닌, 되는 부분을 가려 공략"했다는 점이다. 비단 지방인구 기준으로 구인-구직 플랫폼을 런칭했다면, 사람인의 아류로 금방 잡아먹혔을 것이고, 구직자와 지방기업 특화도 못했을 것이다. 그들은 지방의 공장단지와 생산직 지원자를 주목하고 집중공략했다... 2023. 5. 31.
[뉴스 리뷰] 인구절벽으로 인한 모든 산업의 뉴노멀化 한경's [줄어드는 인구 소멸하는 한국] 리뷰 ② (1) 인구절벽이 낳은 산업트렌드… 글로벌화·無人화·고급화 + (2) '인구감소'에 내수 성장 한계… "한국시장만 보고선 기업 못합니다" - 국내 인구 감소로 내수시장이 감소하자, 생산기지를 해외에 두는 기업 증가 중(글로벌화) *인구 많고, 수요 많은 지역에서 생산해 시장 공략 > 현기차 해외판매 02년 151만대 → 22년 618만대 > 현기차 국내 생산비중 '12년 49% → '21년 39% > 삼성전자 베트남에서 스마트폰 50% 이상을 생산 (동남아시아 중심으로 전세계에 판매) - 생산가능인구 감소(구인난)를 대비해 무인화도 진행 *100% 자동화 공정으로 518m 라인관리 직원5명미만 - 저출산에 따른 명북 아동복 시장 급부상 등 고급화 발생 -.. 2022. 12. 4.
[스타트업 상식] #2. 기업가치 산정 VC와 투자 계약을 하는 것은 1) 회사 가치를 협상하고, 2) 부대 투자 조건을 확정하는 것임 1) 회사 가치 측정 : Pre-money / Post-money Valuation으로 투자 전후 가치를 서로 간에 확정함 Pre-money Valuation(투자 전 기업가치) : 지금까지의 자본금으로 만든 회사가치를 창업자와 투자자가 합의한 숫자 Post-money Valuation(투자 직후 기업가치) : 투자 전 가치에 VC가 투자한 금액만큼 (+) 회사 가치 측정 방법 - DCF(Discounted Cash Flow, 현금할인흐름 계산) : 다년간 현금흐름을 현재가격으로 추정함 *어렵고, 복잡하기 때문에 변동성이 적은 경우에 한함 - 회사 비교 추정 : 소속된 산업 / 국가 / 사업모델 등을 고려하여.. 2022. 11. 20.
[Biz Approach] #1. 스타트업's 사업 계획서 ① Narrative Test 사업계획서란 "사업의 계획이 담긴 문서""를 말한다. 사업의 계획을 그저 말하기만 하는 것이 아니라, 독자 or 청자로 하여금 설명한 사업에 대해 긍정적인 생각을 이끌어 내는 것이 목적으로 독자 입장에서 여러가지 관점의 질문과 검토가 있겠지만, 결국 2가지로 압축될 수 있다. 1) Narrative Test : 말이 되는 사업인가? 2) Number Test : 돈이 되는 사업인가? 이렇게 2가지에 대한 질문의 답이 명쾌하게, 그리고 납득될 정도로 나왔다면 상대방은 "해당 조직에 Join하든가, 자본을 투자하든가, 본인이 속한 회사와 제휴를 하든가" 하는 도움이 되는 Action을 끌어내는 것이 사업계획서의 최종적인 용도라고 볼 수 있다. 이 글에서는 Narrative와 Number 2가지로 나눠, 사업.. 2022. 11. 19.
[스타트업 상식] #1. 상환전환우선주(RCPS) [RCPS 개념] *주식유형별 주주의 권리 투자자를 위한 여러 권리를 주식에 붙인 우선주 자금 공급하는 벤처캐피털 입장에서 유리한 방식 Redeemable : 투자금을 채권처럼 상환받을 수 있고 Convertible : 우선주를 보통주로 전환할 수 있으며 Preference : 이익배당과 잔여재산 분배에 우선권이 Share : 부여된 주식 ‘22년 상반기 RCPS 포함 우선주 형태가 투자된 비중은 72.4%차지 by 한국벤처캐피탈협회 *벤처캐피탈 유형별 신규 투자비중 RCPS에서 가장 중요한 옵션은 “C” (우선주를 보통주로 전환할 수 있는 권리) 1) 기본 효용 1:1 비율로 전환한다고 명시할 때, 주식을 샀던 가격 대비 공모가 차익만큼 수익화가 가능함 2) 투자 리스크 헷징 ‘기업가치가 떨어지면 우선.. 2022. 11. 5.
[스타트업 리스트] #2. "시니어 스마트 돌봄" 스타트업 과거 "실버산업 해외사례와 활성화 전략 리포트"를 리뷰하면서 시니어층의 근본적인 문제, Concern은 "사회적, 육체적인 건강"이라고 정리했었는데 이중 "육체적인 건강+외로움"의 해결법으로 최근 2,3년 전부터 스타트업이 두각(투자)을 보이기 시작했음 주로 아날로그식(파견소, B2B 네트워크 중심) 요양보호사 시스템을 디지털 전환으로 시니어와 요양보호사 간 연결을 잘한다는 수준인데, 더 붙일 만한 이슈가 많은 것이라 생각이 듦 또한, 육체적 건강이 가장 크게 돈이 되고, 또 현재 돈을 많이 쓰고 있기 때문에 이들이 주로 공략하고 있는 시장임을 다시 한번 확인함 ① 한국 시니어 연구소 - 스마일 시니어 : 방문 요양센터 - 고객 중개 사업 *방문요양 : 거동불편한 시니어의 집에 보호사가 주기적으로 방문하.. 2022. 11. 3.
[스타트업 리스트] #1. "폐지 줍는 노인을 위한" 스타트업들 스타트업 리스트는 국내/외 스타트업 中 시니어, 소셜벤처, (미래의) 유니콘들이 "전 인구 중 어떤 그룹을 고객으로 하며, 어떤 문제로부터 과제를 찾았는지, 어떤 자원을 핵심으로 활용하고 있고, 확장/지속가능한 수익이 날 것인지"를 지속적으로 정리해보고자 합니다. 사회약자, 그중에서도 폐지수거 노인들을 서비스의 주체로 사업을 한다는 점에서박수를 쳐주고 싶으나, 3곳 모두 공통적으로 (광고주 or 소비자의 의식적인) 착한 소비에 의존한다는 점에서 지속가능한 수익이 나올지, 사업을 확장할 수 있는 방안이 충분한지 의심이 드는 것이 안타깝지만 현실임. 그래도 고무적인 것은 지역 커뮤니티 및단순 노동이 아닌, 창착활동을 통한 부가가치에신경쓴 모델이라는 점이 인상적이긴 함 선한 의도는 최대한 살리되, 사람이 혹할.. 2022. 10. 31.
[독서 Note] 린 스타트업 "BM 사례" by 애릭 리스 #2-2 비즈니스 모델에 관해 좋은 글을 읽어 추가로 정리해보는 기회를 갖고자 함 [캔버스 위에 BM 얹기] 9개 요소 중 Focusing에 따라 여러 유형의 BM특성을 잡을 수 있는데, 이 글에서는 채널 중심(플랫폼)과 수익구조 중심(TBL) BM에 대해 작성 1) TBL 비즈니스 모델 Triple Bottom Line Business Model의 약어로서 “경제적 수지 뿐만 아니라, 사회-환경적 비용/이익까지 고려하여 공통체 및 사업의 지속가능성을 도모함” *Bottom line : 수입에서 비용을 제한 이익 최근 화두가 된 ESG와 연결된 개념으로 대표적으로 네슬레가 환경오염 및 노동착취에 공격받자 CSV 프로그램으로 이를 극복함 *네스프레소 에콜라보레이션 : 커피 재배농가에 자금과 기술을 지원하여 소득향상.. 2022. 10. 19.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