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728x90

복지기술4

[리포트 리뷰] ④-2. 고령화 대응 기술 사례 "건강/의료" by KERI 1) 케어엔젤(Care Angel) 미국의 노인, 퇴원환자, 만성질환자를 위한 AI 및 음성인식 솔루션 기반 가상 간병인 서비스 가상간병인이 대상자의 건강상태를 체크한 뒤, 간병인 및 가족들에게 건강을 위한 정보를 제공함 - 문진기반으로 건강상태를 대시보드 및 리포팅 제공 - 가족들에게 알림을 모바일 메시지로 전달 *엄마가 약을 복용했습니다. 할머니가 잘 못자고 아픕니다. 2) 간호보조로봇 조라(Zora) 일본의 소프트뱅크 로보틱스의 로봇 NAO를 기반으로 벨기에 조라 로보틱스가 재활/치료용 로봇 SW 개발 *높이 57cm, 무게 5.7kg 로봇을 태블릿으로 전문가가 제어 조라는 거주형 노인 간호시설 및 자폐아 학교에도 활용 : 노인들의 재활운동을 돕거나 정서적인 상호작용 수행 치매환자의 인지/신체 활동.. 2022. 12. 5.
[리포트 리뷰] 아플 때도, 아프지 않을 때도 항상 곁에 있는 AAL ④-1. 고령화 대응 기술 사례 "일상생활" by KERI [시사점] 시니어의 일상생활을 위한 AAL은 1) 상시(사전) 건강습관 형성 및 활동 지원과 2) 비상 상황 파악 및 대응(알람)에 관한 것으로 나뉠 수 있다. 둘다 시니어의 삶에 꼭 필요한 요소이긴 하나 이것에 지불할 고객유형이 다를 수 있다는 생각을 해보았다. 먼저 전자의 경우, 확실한 효용가치를 느끼기 어렵고 시니어 개인이 "더 신경 쓰거나, 잘 행동"한다면 필요가 없을 수 있고, 또 (아직 익숙해지기 전까지) 학습을 해야하는 수고 때문에 반기지 않을 수 있다. 오히려 전반적인 시니어 건강의 상승이 필요한 국가 혹은 지역공동체, 그것이 아니면 요양기관 등의 시니어를 상대하는 단체가 본인들의 Care를 디지털화하는 측면으로 소구가 있지 않을까.. 2022. 12. 2.
[리포트 리뷰] ① 고령화 대응 기술의 등장 배경 by KERI 고령화는 필연적으로 인구 감소 즉, 노동력의 감소를 가져오며, 이로 인한 노동력의 대체와 고령인구의 건강 지원을 위한 기술의 출현과 활용 또한 당연함 글로벌 차원에서 진행되고 있는 고령화로 인해 해외 각지(주로 유럽권)에서 어떤 기술이 개발 및 쓰이고 있는가는 향후 20년간 급격한 고령화에 놓인 우리에게 굉장히 중요한 정보라 할 수 있음 특히 고령화 대응기술(복지기술)의 등장배경에서 우리가 명심해야 할 것은 기술의 대상이 개인 뿐만 아니라, 개인과 개인간 or 지역사회까지도 포함되며 노년 목표를 건강의 유지라는 방어가 아니라 "활동적 노화"란 표현으로 보다 적극적으로 사회일원으로 활동할 것인가에 집중함, 즉 신체적/정신적 차원 만이 아닌 사회적 차원(관계)까지도 기술이 쓰임 국내 및 글로벌 고령화 현황 .. 2022. 11. 29.
[리포트 리뷰] ② 고령화 대응 기술의 주요 개념 by KERI 1) 제론테크놀로지 / Gerontechnology 노년학(Gerontology)와 기술학(Technoloy)이 합쳐진 개념으로 90년대 초반에 등장했으며, "고령자의 건강하고, 독립적인 삶을 보장하기 위한 기술, 노화에 대한 융합 연구"를 의미함 노화에 따른 신체적/지각적/인지적 저하를 경험한 고령층의 욕구를 파악하고, 기술적 솔루션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함 : 노화에 따른 기능저하에 대한 예방/참여/강화/만족/보상/지원 + 돌봄인력에 대한 지원, 조직화, 연구 수행 제론테크놀로지 5대 영역 별 목표 영역 목표 건강(자존감) 신체적, 인지적, 감정적 기능의 지원 + 독립성 유지 주거(일상생활) 독립적이고, 안전하게, 편리하도록 일상기능 수행 이동성(교통) 움직임을 돕거나, 차량/대중교통을 경유해 이.. 2022. 11. 17.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