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728x90

왔으나, 알지 못한 "미래" 보기102

[복습] 수익개선에 대한 기초 개념 1️⃣ 원가 보호되어 있는 글 입니다. 2025. 1. 6.
[복습] 인공지능 기본개념 AI, Artificial Inetelligence는 인간의 지능을 인공적으로 따라한 것임- 인간의 사고방식을 흉내내서, 지적능력을 구사하는 것임- 가장 기본은 Rule based algorithm > 데이터 기반의 Machin Learning : 결정트리, 선형회귀, 퍼셉트론, SVM 등 > 심층인공신경망을 가진 Deep Learning : CNN, RNN, GAN지도학습 vs 비지도 학습 vs 자기지도 학습 vs 강화학습1) 지도 학습- 정답(Label)을 알고 있는 것- 회귀(Regression), 분류(Classification) 등2) 비지도 학습- 정답을 모르는 것- 군집화 종류(K-Means…), 차원 축소(PCA, SVD …), GAN3) 자기지도 학습- 일부 정답을 알고 있는 데.. 2024. 12. 28.
[근간] 사업하는 법 사업하는 법1) 사용자들이 사랑하는 제품을 만들라 - Fan을 만드는 것이 중요하다, 적당히가 아니라 없어지면 안될 정도로 추종하는 고객들- 많은이들의 선호, 다수의 사용자  2) 성장하라- 많은 방법이 있겠지만, 본질은 사용하는 제품을 통해 성장하는 것이다 3) 안정화하라(aka 해자)- 한번 이긴 다음, 계속 이길 수 있게 해라 ▷ 네트워크, 경쟁우위, 독점적 우위- 경쟁에서 이긴 다음, 계속 1등을 할 수 있을까? ▷ 한번 고지를 점령했으면, 왜 계속 이길 수 있는지 알아야 한다 채용/영입경쟁보다는 스스로 망하기 쉬운데, 여기에 있어 가장 중요한 것이 채용임: 기업이 클 수록 대표가 결정할 수 있는 것은 전략과 채용 뿐 *채용 뿐 아니라, 해고까지 잘해야 함 지출/전략 : 가능한 절약해서 수익을 내.. 2024. 10. 22.
[독서 노트] 시대예보_호명사회 by 송길영 보호되어 있는 글 입니다. 2024. 10. 9.
[발췌독] 프로페셔널의 조건 ⑤. 커뮤니케이션 & 리더십 보호되어 있는 글 입니다. 2024. 9. 24.
[랜덤 여러줄] 탁월함에 이르는 피터 드러커의 습관②. 일 일은 보상과 맞바꾸는 피곤하고 지루하며 불가피한 경험이 아니다.만약 일이 그렇게 느껴진다면 나의 가치와 상충하거나 재능을 낭비하는 일일 가능성이 높다.일은 내가 지향하는 가치를 경험하고 실현하는 중대한 삶의 조건이자 영역이다....그런데 원하는 일이 무엇인지 알지만 지금 그 일을 할 수 있는 상황이 아니라면, 이 역시도 어떤 이유가 있다.만족스러운 보상, 혹은 주위의 인정일 수도 있고, 변화에 따른 불확실성의 회피일 수도 있고, 주위 사람들의 반대 때문일수도 있다.두려움은 분명한 실체로 무시할 수 없다. 하지만 시간의 지평을 길게 보라고 조언하고 싶다....첫 번째는 내가 하고 싶은 일을 정의하는 것이다....두 번째는 자격을 갖추도록 노력하는 것이다. 책을 읽고, 조언을 듣고, 지식을 쌓는 일을 소홀히.. 2024. 9. 13.
[발췌독] 프로페셔널의 조건 ②. 지식 근로자 & 목표 달성 능력 & 공헌 조직이 지식 근로자에게 해줘야 할 것- 능력을 인정해줘야 함- 적절한 보상을 해야 함- 일할 수 있는 동기를 부여해 줘야 함- 헌신하면서, 만족을 줘야 함 지식 근로자의 특징- 생산수단, 지식을 소유함 → 독립적이며, 이동성이 매우 높음- 지식의 서열은 공동 과제에 공헌하는 바에 따라 결정됨- "무엇을/어떻게/언제까지 해야할지" 지시하며, 근로감독하기 어려움   *지식 근로자는 자신이 하는 일을 누구보다 본인이 잘 안다   ** 세부적인 면까지 직접 감독할 수는 없으며, 도움을 줄 수 있을 뿐임   ▶ 관리자가 "어떤 이유에서 무엇을 할지"를 결정한다면,        지식근로자는 "어떻게 할 것이며, 그래서 어떤 결과 나올지"를 책임짐(My Theory)  지식근로자의 생산성- 자본, 기술이 사람을 대신.. 2024. 9. 3.
[발췌독] 프로페셔널의 조건 ①. 조직 "경영자" 개념의 변화- 2차 세계대전 직후, 초기 : 부하직원들의 과업에 책임을 지는 사람, Boss- 1950s : 다른 사람들의 성과에 책임을 지는 사람- 00s, 피터드러커 : 지식의 적용과 성과에 책임을 지는 사람  *지식이 하나의 자원이 아니라, "자원 그 자체" 가 됨 @자본주의 이후 사회  참된 지식이란?- "무엇을 할 것인가 + 어떻게 할 것인가"에 관한 것- 행동을 통해 스스로를 증명하며, 바깥에서 드러나는 결과에 초점을 맞춘 정보로   *구슬이 서말이라도 꿰어야 보배, 증명되지 않은 지식은 그저 망상일 뿐- 구체적으로 전문화되었으며, 경험(학습X)과 훈련(교육X)을 통해 얻어 짐   ▶ 체계화된 원리는 "기능"을 방법론으로 전환함        : 개별적인 경험(이야기)를 시스템(정보).. 2024. 9. 3.
[근간] 일론 머스크의 Theory "단순하게 만들어" 문제해결하기 1) 주어진 "조건(Requirements)들"을 의심하라 - 진짜 필요한가? 형식적이진 않은가? - 처음부터 전제를 의심할 것  "당연히 해야한다는 것들"이 진짜 당연한건가? 질문던지기 2) 불필요한 과정 없애기(Delete the step)- 가끔 불필요한 단계를 없애야 한다는것 까먹음 → 걍 삭제하라 3) 최적화/단순화하기(Optimize or Simplify)- 단, 이때 "필요하지 않은 일"을 최적화하려고 노력하는 것을 경계할 것!- 예전에 곤란했던 일을 예방한다면서, 단순화하길 꺼리는데  과감하게 제거하고 나중에 다시 필요한 경우에 추가하라!- 불필요한 단계를 없앨 때, 다시 살릴 수도 있음을 공감해야 함 4) 최적화된 과정을 더 빠르게 만들기이때, 필요하지 않.. 2024. 9. 2.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