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728x90

돈 되고, 의미 되는 "시니어" 과제 발굴/초고령 사회 현상과 문제들49

[고령화 뉴스 리뷰] 인구에 따른 복지, 비즈니스 대응 (1) ‘이러다 국민 전체가 나혼자 살게 될 듯…’ 7월 출생-혼인 ‘역대 최저’ 요약 : 저출산/소가구화/고령화에 “초 or 극”이란 접미사가 붙는 인구 트렌드 시사점 : 인구 시나리오는 Worst Case로 치닫고 있다, 할 수 있는 건 대비 뿐 - ‘22년 7월 33개월째 인구 자연감소세(이는 계속 유지될 전망) : 월 출생아 수 약 2만명 < 월 사망자 수 2.6만명, 월 인구 약 0.56만명 감소 - ‘22년 1~7월 누적 혼인건수 10.8만건으로 전년 대비 3.5% 감소 : 30대 인구 감소, 결혼/출산 가치관 변화, 비혼-만혼 증가의 영향 (2) 2~3년내 고령인구 1000만명 시대… “빈곤층 선별 복지 필요” 요약 : 초고령 사회, 늘어난 고령 빈곤층을 위한 선별복지가 선제적으로 준비되야 .. 2022. 10. 3.
[리서치] 실버시장 규모 및 현황, 그리고 전망 요약 : 인구 고령화로 실버산업은 글로벌적인 증가로 매력적인 시장으로 부상할 것임 + 시니어의 세분화를 통해 차별화된 비즈니스 전략이 필요함 1) 전세계 인구의 고령화 심화 ① 글로벌 전체 65세 이상인구 '20년 7억 명 → '50년 15억명 '20년 실버산업 규모 15조 달러로 고령친화 산업이라고도 불림 : 연령 증가로 인한 노년기 독립성 훼손을 최대한 제거하여 노후의 삶의 질 향상에 기여 e.g. 의약품, 식품, 화장품, 의료기기, 생활용품, 금융, 주거, 여가 등 전세계 고령층 30%가 한/중/일 3국에 거주되며, 이는 50년까지 유지될 것 ② 한국 : 고령화 속도가 가장 빠름 '21년 65세 이상 고령인구 16.5% → '25년 20.3%로 초고령 사회 진입할 전망 베이비부머(55~63년생)의 .. 2022. 9. 30.
[숙고] 지역별 인구이동이 고령화에 미치는 영향 핵심 요약 경제활동인구(젊은 층)일수록 지방 → 도시로 이동할 확률이 높다는 전제 아래 인구이동은 고령화의 부익부, 빈익빈을 더욱 강화 시킨다 "1) 지역 간 인구 이동의 특징과 그에 따라 2) 인구구조가 어떻게 영향을 받는가를 분석" 1. "일자리를 찾기 위해 인구가 유출될수록 도시는 늙어간다" 노인 인구 비율 증가 속도 차이 비교 : 순 유출 도시군(서울 / 부산 / 대구 / 경북 / 전북 / 전남) > 순 유입 도시군 (경기 / 제주 / 충남) 2. "고령화의 도래에서도 수도권vs지방 간 양극화가 발생" : 대구/울산/전북/전남/경북/경남은 인구이동으로 인한 노인인구비율 상승의 기여도가 지속적으로 커짐 ▶ 빠른 고령화 진행이 예상됨 3. "젊은 층의 수도권 인구 집중이 문제" : 수도권과 지방 간 .. 2022. 9. 26.
[고령화 뉴스 리뷰] 노령사회 현상 및 이슈, 대안 (1) (현황 통계) - 한국 총인구는 전년대비 0.37% 감소(5,163만명) vs 주민등록 세대는 1.64% 증가(2,347만 세대) - 1인가구 946만(40.3%), 40% 돌파는 처음 : 70대 이상 18.6% > 60대 17.8% > 50대 17.1%, (50대 이상 53.5%) from 2022 행정안전통계연보 - 한국 65세 이상 빈곤율 43.8% = OECD 평균 3배 - 25년 65세 이상 노인(욜드) 규모 약 1000만명 : 전남(23.1%), 경북(20.7%), 전북(20.6%), 강원도(20%) from 박영란 강남대학교 실버산업학부 교수 '초고령사회 돌봄정책과 에이징테크산업 활성화 방안' - 울산의 65세 이상 인구 15.6만명, 고용률 32.7% (평균 고용률 59.9%) - 10명중.. 2022. 8. 30.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