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돈 되고, 의미 되는 "시니어" 과제 발굴/초고령 사회 현상과 문제들

[뉴스 리뷰] 인구절벽으로 인한 모든 산업의 뉴노멀化

by 저녁숲 2022. 12. 4.
728x90

한경's [줄어드는 인구 소멸하는 한국] 리뷰 ②

 

(1) 인구절벽이 낳은 산업트렌드…

      글로벌화·無人화·고급화

                       +

(2)  '인구감소'에 내수 성장 한계…
      "한국시장만 보고선 기업 못합니다"

 

- 국내 인구 감소로 내수시장이 감소하자,
  생산기지를 해외에 두는 기업 증가 중(글로벌화)

  *인구 많고, 수요 많은 지역에서 생산해 시장 공략

    > 현기차 해외판매 02년 151만대 → 22년 618만대

    > 현기차 국내 생산비중 '12년 49% → '21년 39%

   > 삼성전자 베트남에서 스마트폰 50% 이상을 생산

      (동남아시아 중심으로 전세계에 판매)

 

- 생산가능인구 감소(구인난)를 대비해 무인화도 진행

  *100% 자동화 공정으로 518m 라인관리 직원5명미만

 

- 저출산에 따른 명북 아동복 시장 급부상 등 고급화 발생

 

- 식품업계는 내수산업으로 여겨졌으나 해외사업 비중↑

   특히 제과, 라면, 냉동 등 가공식품쪽 소비자층 감소

   *CJ제일제당의 베트남 현지생산 및 시장공략

   **농심의 LA 제2공장 조성 및 라면 해외매출 50% 목표

 

- 통신3사 수익 강화를 위해 해외사업(콘텐츠, 플랫폼) 진행

  *SKT 이프랜드(메타버스)로 유럽, 북미 진출 계획

    KT 베트남에 원격진료 플랫폼 출시 예정

   LG U+ K팝 아이돌 전문 미디어"아이돌+"의 글로벌 확장

 

- 스타트업 도 본사를 해외로 옮겨 해외시장 공략으로 펀딩

  or 해외법인을 세우거나 현지업체를 인수해 해외시장 공략

 

(3) 출생아 64만→27만명…
     장난감 업체 10곳 중 7곳이 문 닫았다

출처 : 한경

- 국내 인형/장난감 제조업체 시장은 급격히 감소 중

   *생산액 '03년 3705억원 →'19년 2806억원  
      사업체 수 '03년 219개 → '19년 69개             

 

- HDC영창, 삼익악기능 피아노 수요도 급격히 감소함   
  *국내 악기산업 규모 00년 3990억원 → '10년 2880억원 

 

- 아동복업 : 20여년간 소수 수입 or 대형 브랜드 위주로 재편
  (아이는 줄어도, 씀씀이는 커진 부모들의 소비성향 때문)

  *국내 아동복 규모는 1조 648억원(전년 대비 17% ↑)

 

- 분유시장도 감소중 : '17년 4291억원 → '22년 3126억원

 

- 교육서비스업계도 저출산/고령화로 인해 노인교육 비중↑
  *대교, 눈높이 회원수 '17년 대비 30% 감소

  **대교, 사회복지 서비스 제공업을 사업 목적에 추가함

 

(4) '결혼 기피' 2030…
      "서울 예식장 절반 5년내 문 닫을 것"

출처 : 한경

- 혼인 인구가 감소함에 따라 예식장이 줄폐업 중임
  *혼인건수 '21년 19.3만건(통계작성 후 처음 20만 이하)

    '22년 상반기 혼인건수는 9.4만건으로(작년 대비 1.8%↓)

 

- 이는 30대 안팎 인구의 급감(+결혼 기피)으로 인한 것
  *2030세대 '18년 1409만 → '21년 1343만명(4.7%↓)

 

- 전국 예식장 수 지속 감소 중('18년 1013곳 →'22년 775곳)
   *인건비 및 식자재 부담으로 5년 내 서울 예식장 50% 폐업

 

- 웨딩시장의 규모감소와 더불어 양극화가 가속화되는 중임

  *럭셔리 웨딩 : 신라호텔은 1년 뒤까지 모두 예약이 차있음

  **결혼식 간소화등으로 영세 스드메 업체들의 수입이 ↓↓

 

(5) 기사들도 늙어간다…
     택시대란 부추긴 '칼퇴'

- 택시 운전자의 극심한 고령화가 발생 중임
  *'20년 택시운전자 60세 이상 69.5%, 70세 이상 18.6%
              ↔2040 운전자는 5.2%
  **퇴직금으로 고가의 면허(8000만원) 산 뒤 택시시장 진입 多

 

- 고령화로 인해 심야 택시 운행 비율이 확연히 떨어졌음
   *오후 10시~오전 4시 개인태깃 운행률은 평균 33%

- '20년 전액(원급) 관리제 도입으로 실적과 무관하게
   정해진 급여를 받는 구조가 되자, 젊은 층이 택배/배달로 떠남
    *법인 택시 월 500만원 매출시, 운전기사 수익 255만원

 

 

 

참고 지사 URL

(1) https://www.hankyung.com/economy/article/2022090813361

 (2)     https://www.hankyung.com/society/article/2022090788181

(3) https://www.hankyung.com/economy/article/2022081671181

(4) https://www.hankyung.com/economy/article/2022092323161

(5) https://www.hankyung.com/society/article/2022090788181

 

728x90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