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728x90

피터드러커4

[발췌독] 피터드러커 경영컨설팅 ① 질문하는 컨설턴트 마케팅의 목적은 고객가치를 창출하는 데 있다. - 당신 회사의 주요 사업은 무엇인가? - 당신의 고객은 누구인가? - 당신의 고객은 무엇에서 가치를 찾는가? - 당신은 주요 사업에서 무엇을 만들어야 하는가? - 당신의 계획은 무엇인가? "기업은 두 가지 기본적인 역할만을 해야 한다. 그것은 혁신과 마케팅이다. 이 두 가지를 제외한 모든 것은 비용이다." 드러커는 우리에게 질문을 하는 것으로 시작했다. 그러면 우리는 그의 질문에 대답을 했다. 약속한 시간이 하루 종일이라면 그는 우리의 문제와 상관없어 보이는 다양한 주제를 가지고 강의를 할 수 도 있었다. 이러한 과정에서 우리는 완전히 간과할 수도 있었던 해결 방안에 도달하기 위하여 논리적으로 생각해야 했다. 내가 좋아하는 일화가 있다. 현자가 죽기 직전 .. 2024. 10. 22.
[랜덤 여러줄] 탁월함에 이르는 피터 드러커의 습관 인생을 어떻게 정의하느냐에 따라 답은 얼마든지 달라질 수 있지만,동의할 만한 몇 가지 기준점은 있다.첫번째는 인생에 대한 자신만의 이상(理想)을 세우는 것이다.두번째는, 다양한 "경험"이 있을 때 자신의 이상을 찾을 수 있다는 것이다. 행복한 인생이란 삶의 가능성과 기회를 발견하는 선택이자 자신을 이해하고 투신하는 선택이다.그리고 다채로운 경험 속에서 자신을 담금질하며 삶의 기회에 눈을 뜨고미처 몰랐던 진실을 이해하는 과정이다. 그래서 가장 필요한 도구가 열린 정신이다. 열린 정신은 가능성과 기회를 탐색한다. 결과에 대한 불확실성을 수용하고 탐색한다.그래서 열린 정신은 어떤 일이 있을지, 어떤 경험을 할지 호기심을 갖고 그 속에서 성장할 자신을 믿는다.열린선택은 본질적으로 위험하다.눈에 보이는 것을 포기.. 2024. 9. 9.
[발췌독] 프로페셔널의 조건 ①. 조직 "경영자" 개념의 변화- 2차 세계대전 직후, 초기 : 부하직원들의 과업에 책임을 지는 사람, Boss- 1950s : 다른 사람들의 성과에 책임을 지는 사람- 00s, 피터드러커 : 지식의 적용과 성과에 책임을 지는 사람  *지식이 하나의 자원이 아니라, "자원 그 자체" 가 됨 @자본주의 이후 사회  참된 지식이란?- "무엇을 할 것인가 + 어떻게 할 것인가"에 관한 것- 행동을 통해 스스로를 증명하며, 바깥에서 드러나는 결과에 초점을 맞춘 정보로   *구슬이 서말이라도 꿰어야 보배, 증명되지 않은 지식은 그저 망상일 뿐- 구체적으로 전문화되었으며, 경험(학습X)과 훈련(교육X)을 통해 얻어 짐   ▶ 체계화된 원리는 "기능"을 방법론으로 전환함        : 개별적인 경험(이야기)를 시스템(정보).. 2024. 9. 3.
[일+머리] 일 잘러's 관찰일기 #4. Feedback ① Intro "Z세대 신입 - 밀레니얼(M) 세대 선임 - X세대 팀장 - 베이비부머세대 임원" 현 시대 직장터는 모든 세대가 참여하며, 굉장히 많은 잡음과 갈등이 생깁니다. 이는 고등학생이었던 Covid-19세대가 곧 경제활동을 하기 시작하며, 더 심해질 것입니다. 이 글에서는 ① 리처드 윌리엄스의 "피드백 이야기"를 바탕으로 피드백 잘하는 법을 그 다음 순서는 ② 경험담을 통해 MZ세대에게 어떻게 "듣기 싫은 소리"를 잘 전달할수 있는지 정리해보이겠습니다. [피드백 이야기]가 전하는 Message는 "조직에서 구성원끼리 피드백이 없다면, 말라 죽는 식으로 퇴화된다"입니다. 이는 "피드백이야 말로 발전할 수 있는 가장 효과적이고, 유일한 방법으로, 피드백이 있을 때 비로소 조직이 성장하려는 움직임이 생기.. 2022. 9. 28.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