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돈 되고, 의미 되는 "시니어" 과제 발굴/초고령 사회 현상과 문제들

[뉴스 리뷰] 한국인은 은퇴한 뒤에도 ㅇㅇ해야 한다?

by 저녁숲 2022. 12. 26.
728x90

조선일보 행복한 노후 탐구 리뷰 ①

 

 

 

(1) 세계서 가장 딱한 한국의 가장…

      72세까지 일해야 쉴 수 있다

 

한국 가장들은 72세는 되어야 밥벌이에서 풀려나는데,

문제는 오래 머물렀던 직장에서 보통 49세에 나오고

그 뒤로도 어떻게든 23년 넘게 돈을 벌어야 한다는 것임

*우리나라의 실질은퇴연령(어떤 형태든 월급 받는 일을

완전히 그만두고 경제활동에서 물러나는 나이)가

72.3세로 OECD 국가중 1위(OECD 평균 65세)

 

출처 : 조선일보

보통 10~13년을 제 2의 일자리에서 일해야 하다보니,

노동시장에 머무는 고령자 비율이 계속 증가중임

*10년전 대비 70대 평균 경제활동 참가비율 6%p 증가

 

하지만, 재취업을 하더라도 평균소득이 36.9%가 감소해

근로소득이 뚜렷히 악화되고 가계구조가 적자로 돌아서게됨

출처 : 조선일보

 

 

 

 

참고 아티클

2022.11.09 - [돈 되고, 의미 되는 "시니어" 과제 발굴/다각도로 찾은 노인 행복 불씨] - [독서 Note] 대한민국 인구 트렌드 "일자리 전망" by 진영수

 

[독서 Note] 대한민국 인구 트렌드 "일자리 전망" by 진영수

p44. 일자리는 많을수록 좋다. 수급 균형적인 가격 결정을 감안하면 수요(일자리) 승자는 공급(구직자)의 몸값을 올린다. ... 고용 수급을 확인할 통계로 유효구인배율 (구인 배수)란 게 있다. 이는

ready-for-next.tistory.com

2022.10.30 - [돈 되고, 의미 되는 "시니어" 과제 발굴/초고령 사회 현상화 문제들] - [매거진 리뷰] "시니어 취업 현실" 아티클 종합 by 브라보 마이 라이프

 

[매거진 리뷰] "시니어 취업 현실" 아티클 종합 by 브라보 마이 라이프

중소 기업은 전문가가 부족하다 반면, 50+전문가를 일자리가 없다. 막상 시니어가 재취업하더라도 Mindset과 문화 측면에서 청년 취업과는 다른 어려움이 존재한다. 과도기라 봐야 할 것인가... [50+

ready-for-next.tistory.com

2022.10.27 - [돈 되고, 의미 되는 "시니어" 과제 발굴/초고령 사회 현상화 문제들] - [뉴스 리뷰] 노인 일자리의 실태과 희망

 

[뉴스 리뷰] 노인 일자리의 실태과 희망

(1) 노인 일자리도 ‘민영화’…저소득층보다 고학력 우대? [요약] 노인 일자리라고 해서 공공형과 민간-사회서비스형을 동일하게 보면 안된다. 전자가 70대 이상을 위한 복지소득 정책이라면,

ready-for-next.tistory.com

원문기사 URL

https://www.chosun.com/economy/money/2022/03/11/IWFPCSXAUZFF7IONYHF4SYXCUM/

 

728x90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