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2 대한민국이 열광할 시니어 트렌드
: 에이지 프렌들리 독서노트 ⑤
[Insight for next]
변화를 마주하는 것은 어렵고, 거북하고, 두렵다.
하지만 예견된 변화를 방치하기만 하다
어느 순간 바뀐 현실을 맞닥뜨리는 순간,
우리는 후회할 것이다. "그때 미리 움직일 껄"
이런 삶의 교훈이 시니어 기간에도 적용된다.
시니어는 "죽음"과 가깝게 지내는 기간이다.
노화로 인해 신체기능이 떨어져 사고가 나거나,
질병에 잘 걸리는 것도 있으며 수명이 다해
자연스럽게 삶을 마감하는 시기이기도 하다.
이런 상황이 개인에게 큰 두려움일 수 있으나,
어쩌겠는가? 피할 수 없다면 대책을 세워야한다.
그런 배경에서 에이징테크가 많은 분야에
나타나고 있으며, 본격적으로 죽음을 다루는
"웰다잉"이라는 개념을 이 책에서 소개하고 있다.
잘 지내는 것에 크치지 않고, 잘 끝내는 것까지...
사랑하는 사람과 함께 있으며 잠을 자듯 편히
삶을 마감하는 행복을 누리는 사람이 얼마나 될까?
웰다잉은 본인이 대비한 바와 같이 죽음을
맞이하고 싶은 현대 시니어의 욕망이 낳은 결과이다.
내가 어떤 사람이었는가 흔적을 남기고 싶고,
가능성 없는 치료에 남은 사람들에게 폐를 끼치고
싶지 않으며, 남은 자산까지도 의도대로 쓰고 싶다.
아직까지 문화, 심리적으로 받아들이기
어려운 것이 사실이지만, 이러한 시기를 겪거나
임박한 사람들에게는 꼭 필요한 제품/서비스일
것이다.
에이징 테크가 고객에게 제공하는 가치는
미래 걱정을 미루는 것이 아닌,
미래 걱정의 연장선에서 현재 준비를 하고
더 온전한 마음가짐으로 현재의 건강한 상태를
유지하도록 돕는 것 아닐까 생각해본다.
p119.
에이징 테크란 시니어 대상의 기술을 통칭하는
개념이다. 특정 기술만을 가리키는 것이 아니라
고령자의 삶의 질을 높이는 기술 전반을 일컫는다.
... 첫째 헬스케어 분야다. ...둘째, 편의성을 높이는
기술 영역이다. 스마트홈, 웨어러블, 낙상방지
기술이 여기 해당된다. 셋째, 사회생활 지원 기술로
소셜 커뮤니티 서비스 등이 해당된다.
p131.
이제 사회는 죽음에 대해 진지하고 구체적으로
생각하기 시작했다.
첫째, 우리 일상에 존엄사의 개념이 들어왔다.
... 특히 '나의 죽음은 내가 결정할 수 있어야 한다'는 데
많은 이들이 공감한다.
둘째, 팬데믹으로 질병과 죽음이 우리 일상에 성큼
다가왔다. ... 웰다잉 논의의 공감대와 사회적 바탕이
마련된 셈이다.
*40대 이상 中
78% - 평소 자신의 죽음에 대해 생각한 적이 있다
59% - 죽음을 떠올릴때 반응, 두려움
15% - 100세 이상 오래살고 싶다
41% - 오래 사는 것이 축복
p132.
본인 스스로 형식 요건을 갖춘 '유언장'과
'사전연명의료의향서'를 작성할 것을 권장한다.
형식 요건을 갖춘 유언장이란 민법 제 1066조에 따라
이름, 주소, 날짜, 날인 등을 한 정식 문서를 말한다.
또한 사전연명의료의향서는 19세 이상 성인이면 누구나
보건복지부 지정 등록기관을 방문해 작성할 수 있다.
p133.
엔딩노트는 웰다잉의 적극적이며 대표적인 행위다.
...첫째 자신의 프로필을 체계적으로 정리한다.
생년월일, 혈액형, 주소, 본적, 긴급연락처, 치료이력 등...
둘째 살아온 내력을 간단히 적는다. 어디서 태어나,
어느 학교를 나왔는지 적는다 ... 셋째, 남기고 싶은 감정에
대해 적는다. ... 넷째, 유언을 적는다.... 다섯째, 유산 관련
항목을 적는다.
p136.
일본 최대의 중고물품 거래 플랫폼 '메루카라'도 생전정리라는
새로운 시장에 뛰어들었다. 일본 가정 내 필요없는 물품의
가치는 400조원으로 추산된다. 이들 물푼은 대개 60대 이상
시니어 가정이 보유한다. 그런 까닭에 '메루카리로 생전정리'라는
슬로건을 만들어 본격적으로 시장을 공략한다. '생전정리로
여행가자' 캠페인까지 펼친다.
p138.
한국보건사회연구원이 발표한 생애의료비 분포 추정을 보면
남성은 64세까지 생애의료비 중 절반이 지출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대로 말하면 65세부터 상당한 의료비가 든다는
의미다. 평균 수명이 더 긴 여성의 경우는 67세부터 생애의료비
절반이 지출된다. 남녀 모두 65세 이후에는 수입이 줄어든다는
점을 감안하면 웰다잉의 현실적인 장애물은 경제적 문제이기 쉽다.
'돈 되고, 의미 되는 "시니어" 과제 발굴 > 초고령 사회 현상과 문제들' 카테고리의 다른 글
[보고서 리뷰] 은퇴를 하고 난 뒤, 달라지는 재정 상태와 소비 지출 (0) | 2023.01.02 |
---|---|
[독서노트] 앞으로 우리가 살아갈 시대, △△△ △△△△! (0) | 2022.12.29 |
[뉴스 리뷰] 한국인은 은퇴한 뒤에도 ㅇㅇ해야 한다? (0) | 2022.12.26 |
[독서노트] 내 집에서 살란다, Aging in place (0) | 2022.12.24 |
[독서노트] 혼자? 오히려 좋아! 시니어가 원하는 거주 방식 (0) | 2022.12.23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