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728x90

Insight for next23

[글로벌 스타트업] #1. 시니어가 가르치고, 배우고, 모이는 플랫폼 8선 2022 대한민국이 열광할 시니어 트렌드 中 Age-Friendly BM ① [멘토링 플랫폼] 1) 세이지(findasage.com) - 기성세대의 삶의 경험, 스토리, 기술과 지식을 큐레이팅 - 경험많은 시니어가 참가자들에게 줌으로 채팅하며 교육 - 교육하는 시니어에게 월1회 무료로 대화 및 교육법 코칭 2) 엘더라(eldera.ai) - 1:1화상채팅으로 다양한 사람들이 모여서 서로 배우고, 지식을 얻는 플랫폼(검증된 시니어 멘토ㅡ전세계 어린이) - 모든 시니어 멘토에 대한 배경조사를 철저히 한 뒤, 소통기술, 고전 or 독창적 이야기를 제공하는 법을 코칭 [시니어 재사회화] 3) 시니어소호살롱(svsoho.gr.jp) - NPO - 컴퓨터 활용능력, 프로그래밍 등 고령자용 강좌 제공함 - 고령자 매.. 2022. 12. 10.
[독서 Note] 할머니, 할아버지도 하는 이것! 달라진 현대 시니어 상징 50+ 스마트 시니어를 주목하라 ①-3. S-M-A-R-T로 시니어 읽기 by 이수원 [Insight for next] 이 시대의 시니어, 특히 앞으로 어린 시니어를 담당할 베이비부머는 IT에 밝다, 그 중에서도 강력한 팬심을 가지고, 정치에 대한 관심이 높아 이것이 SNS와 덕질로 이어지며 미디어와 광고, 콘텐츠, 소비 업계에 큰 변화를불러오고 있으며, 더불어 콘텐츠 크리에이터로 시니어의 모습 또한 이제 전혀 어색하지 않은 지경에 이르렀다. 이것은 시니어의 몸, 정신, 사회, 개인의 건강의 Needs 중 몸을 제외한 나머지 모두에 적용되는 그런 활동 아니겠는가? 좋아하는 것을 찾아볼 수있는 통로로서 그리고 그것을 공유함으로써 지인들과 교류할 수 있는 공간으로서 또한 본인이 재생산한 콘텐츠에 대해 보람과.. 2022. 12. 9.
[뉴스 리뷰] 해외에서 보는 한국 저출산/고령화의 원인은? (1) CNN이 '저출산 문제 해결' 위해 260조 원 투입한 한국이 '세계 최저 출산율' 기록한 원인 CNN은 “한국은 260조원 이라는 엄청난 돈을 썻으나, 출산율을 높이기에는 역부족으로, 아무리 많은 돈을 투입해도 정부가 해결할 능력을 벗어난거다. 새로운 접근방식이 필요하다”고 보도 윤석열 정부가 5월 취임 이후 문제 해결을 위한 위원회 설치, 추가 신생아 재정 지원 약속 등 과거와 비슷한 방식을 지속하는 것 외에 아이디어가 부족함을 지적함 CNN이 지적한 저출산의 이유 3가지 1) (감당하기 힘들만큼) 돈이 많이 든다. 한국 저출산의 가장 큰 문제가 젊은이들이 가정을 갖지 못하는 경제적 요인이라고 지적함 : 높은 부동산 가격, 교육비로 맞벌이가 필요하나, 공공 보육이 부족해 많은 부부들이 보육비를.. 2022. 12. 8.
[독서 Note] ①-2. 요즘 시니어가 원하는 여가란? 50+ 스마트 시니어를 주목하라 독서노트 [Insight for next] Time rich, Money Poor이다 보니 생각할 시간이 많아져서 그런 것일까? 시니어의 여가는 직장인(경제활동인구)과 겹치지 않고서 더 효율적으로 누릴 수 있으며, 단순 시간 소비가 아닌, 개인적or사회적인 의미를 부여하고 싶은 특징을 갖는다. 그런면에서의 움직임을 가장 잘 표현하는 것이 Edu-tainment가 아닐까 생각한다. 인생의 후반부에 들어서 비로소 자신에 대해 배우고, 본인의 흔적 or 선한 영향력을 통해 보람을 느끼고 싶으며, 육체와 정신이 약해지는 것을 느끼지만 배움을 통해 여전히 성장하고 있음을 느끼고 싶은 것.... 아마 그러한 행동의 근저에는 여전히 본인이 살아있다는 느낌과, 생동감을 유지하고 싶은 그.. 2022. 12. 8.
[리포트 리뷰] 고령화 대응 기술 ③ 선진국의 고령화 전략은 "ㅇㅇㅇㅇ"이 핵심이다 이미 늙어버린 국가들은 고령화 대응기술을 통해 앞으로 펼쳐질 고령 사회의 사회적 비용부담과 시니어 삶의 질 향상을 도모하고 있다. 그 대응방안은 (장기적)로드맵, 컨트롤타워 구축, R&D지원으로 요약될 수 있다. EU와 일본, 싱가포르 등 각국의 고령화 대응 기술 양성 사례와 전략 요소를 정리해봤다. 1) EU : AAL을 중심으로 한 권역별/국가별 대응체계 고령친화 혁신을 위해 EIA-AHA 시행중(11년 ~) *European Innovation Partnership on Active and Healthy Aeging 자금지원을 하지는 않지만, 관련문제에 대한 이해당사자 간 아이디어 교환 or 프로젝트 공동참여 등을 조율 AKA 컨트롤타워 Horizon 2020 세계 최대규모의 단일 연구개발 프로그램.. 2022. 12. 1.
[리포트 리뷰] ① 고령화 대응 기술의 등장 배경 by KERI 고령화는 필연적으로 인구 감소 즉, 노동력의 감소를 가져오며, 이로 인한 노동력의 대체와 고령인구의 건강 지원을 위한 기술의 출현과 활용 또한 당연함 글로벌 차원에서 진행되고 있는 고령화로 인해 해외 각지(주로 유럽권)에서 어떤 기술이 개발 및 쓰이고 있는가는 향후 20년간 급격한 고령화에 놓인 우리에게 굉장히 중요한 정보라 할 수 있음 특히 고령화 대응기술(복지기술)의 등장배경에서 우리가 명심해야 할 것은 기술의 대상이 개인 뿐만 아니라, 개인과 개인간 or 지역사회까지도 포함되며 노년 목표를 건강의 유지라는 방어가 아니라 "활동적 노화"란 표현으로 보다 적극적으로 사회일원으로 활동할 것인가에 집중함, 즉 신체적/정신적 차원 만이 아닌 사회적 차원(관계)까지도 기술이 쓰임 국내 및 글로벌 고령화 현황 .. 2022. 11. 29.
[리포트 리뷰] 할매니얼들 윤며들다 : MZ세대를 감동시키는 디지털 어른들 by KB 금융지주 경영연구소 앞서 "고령사회 노인혐오" 리포트를 리뷰하며 암울하고, 어두운 전망을 다뤘었다면, 그 대안 중 하나가 될 수 있는 "콘텐츠 크리에이터"로서 디지털 시니어와 그로 인한 긍정적 인식 변화에 관한 리포트 참고- [리포트 리뷰] 고령사회의 노인혐오 by KiRi https://ready-for-next.tistory.com/m/47 할매니얼(할머니+밀레니얼)의 아이콘으로서 윤여정 솔직하면서 깊이있는 언변으로 젊은 세대의 공감을 이끌고 롤모델로서 "윤며들게" 만듦 - 권위를 벗어던지고, 시대 흐름에 휩쓸리지 않고 자신만의 원칙으로 성실히 살아가면 결국 빛을 보게 된다는 통찰을 줌 "사치스럽게 살기로 했다. 내 인생을 내 마음대로 살 수 있으면 사치스럽게 사는 것!” “열등감에서 시작해 절실함으로 이 자리까지 왔다.. 2022. 10. 26.
[리포트 리뷰] 실버산업 해외사례와 활성화 전략 by KiRi(보험연구원) 실버산업은 베이비부머의 시니어 진입으로 빠르게 확대될 전망이며, 해외 사례를 볼 때 예방적-삶의 질을 높이는 방향으로 요양원 / 맞춤형 / 주거환경 / 일자리 산업의 다양한 방면으로 나타날 전망임 [실버 산업 정의] 노화로 발생하는 신체적-정신적 자립도 감소를 경감시켜 인간다운 삶을 유지-발전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개발된 제품과 서비스 : 신규로 출시한 고령친화적인 제품&서비스 +기존의 제품 & 서비스에 고령친화적인 기능 적용 + 모든 연령에게 사용되는 제품 & 서비스 [베이비 부머로 인한 실버산업 팽창 전망] 고령화된 국가의 경우, 베이비 부머 세대의 은퇴연령 진입으로 실버산업이 활성화되었음 - 미국(46~64년생) : 인구 30% , 11년부터 65세 진입 - 일본(47~49년생) : 인구 7.7%, .. 2022. 10. 22.
[리포트 리뷰] 고령사회의 노인혐오 by KiRi(보험연구원) 초고령 사회로 진입하는 대목('20년)에서 젊은 세대의 노인혐오에 따른 사회갈등이 앞으로 큰 사회 Agenda로 떠오를 전망임 [노인 혐오 현상] 꼰대 문화 현상 "자신은 항상 옳고, 상대방은 항상 옳지 않다고 생각하는 나이든 人"로 권위주의에 대한 반감 有 : 청년층의 80%가 노인에 대한 부정적 편견 소유 - 잔소리를 많이 한다 71.7% - 실력보다 나이/경력/직위로 권위를 세운다 63.7% [노인혐오 증가 원인] ① 세대 간 인식 변화 및 사회구조적 요인 고령화율이 높을수록 노인에 대한 우호적인 태도 or 존경이 줄어드는 패턴 발생 source by World Values Survey 한국은 핵가족회, 노부모 부양체계의 붕괴로 인해 - 부모 스스로 자립하는 비율이 높아지고 있으며, - 공동체 중시.. 2022. 10. 20.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