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728x90

Insight for next23

[논문 리뷰] 비대면 근무 방식의 확산과 과제 by 한국노동연구원 요약 비대면(재택)근무가 대중화되었으나, 1. 기업의 생산성 향상을 위해 일하는 방식, HR관리 방식의 변화가 필요 2. 정부는 기업변화를 위한 지원책을 줘야 함 [재택근무제는 앞으로도 확산될 전망임] - 디지털 기술로 인한 근무방식의 변화 : 대면업무의 비대면화에도 의사소통 문제 無 - 개인주의 문화의 확산 : MZ세대의 혼자 하는 것을 선호하는 문화 强 +코로나19로 인해 혼자함에 대해 익숙해짐 [재택근무제 vs 생산성 간의 관계] - 재택근무가 일/가정 간의 조화에는 긍정적이나, 생산성에 대해서는 다양한 견해가 존재함 (+) 역할과 과업을 균형있게 수행할 수 있음 (-) 제도가 현재의 일하는 방식과 조응되지 않음 : 팀 협력이 강조된 환경에서는 팀 생산성 ↓ *즉각적인 피드백 x, 감시없어 근무 태.. 2022. 10. 14.
[리서치] 실버시장 규모 및 현황, 그리고 전망 요약 : 인구 고령화로 실버산업은 글로벌적인 증가로 매력적인 시장으로 부상할 것임 + 시니어의 세분화를 통해 차별화된 비즈니스 전략이 필요함 1) 전세계 인구의 고령화 심화 ① 글로벌 전체 65세 이상인구 '20년 7억 명 → '50년 15억명 '20년 실버산업 규모 15조 달러로 고령친화 산업이라고도 불림 : 연령 증가로 인한 노년기 독립성 훼손을 최대한 제거하여 노후의 삶의 질 향상에 기여 e.g. 의약품, 식품, 화장품, 의료기기, 생활용품, 금융, 주거, 여가 등 전세계 고령층 30%가 한/중/일 3국에 거주되며, 이는 50년까지 유지될 것 ② 한국 : 고령화 속도가 가장 빠름 '21년 65세 이상 고령인구 16.5% → '25년 20.3%로 초고령 사회 진입할 전망 베이비부머(55~63년생)의 .. 2022. 9. 30.
[Case] 2020 노인일자리 사업 우수사례 요약 : 노인일자리 사업단의 Best Practice 소개 by 한국노인개발원 단순 일자리 제공이 아닌, "지역/경력/파견처"와 시니어간의 Matching을 통한 차별화 가능 #1. "지역특성과 어르신 경력 Matching 시너지" - 대구서구 시니어 클럽 - 전통적인 섬유 생산단지인 대구 서구 지역 및 시니어 인력을 제대로 활용함 Input : 지역에서 배출되는 소재 e.g. 커튼, 블라인드, 데님, 필름지, 수입원단) Process : 한국업사이클센터 협약을 통해 경력 시니어 업무 교육 후 투입 Output : Up사이클 제품 생산 e.g. 마스크, 에코백, 앞치마, 팔토시 *대구 서구 內 한국섬유개발원, 염색산업 단지, 의류봉제 지원센터 등 위치 - 시니어의 지원이유가 단순 경제적이유 + α 존재 .. 2022. 9. 28.
[오피니언 리뷰] 초고령사회, 최고의 복지는 "노인 일자리" 핵심 요약 : 한국노인인력개발원's 경기지역 본부장이 밝힌 "노인일자리 사업 Vision" 1) 노인일자리사업 History - 사회활동과 일자리의 경제적 역할의 동시 수행이 목적 - '04년 2.5만개 → '22년 사업목표량 84.5만개로 확대됨 - 초기 공공형 일자리(정부 재정에 의존) → 지속가능한 민간형 일자리 창출 & 공공서비스 분야로 확대 e.g. 보이스피싱 예방, 플라스틱 제로사업, 취약계층 의료돌봄, 자살예방상담, 대형유통업체 연계 시니어카페 운영 등 ▶ 돌봄/안전/환경에 관한 "의미있는" 노인일자리 확대 중 2) 주요 통계 Source by 통계청 '22년 6월 인구 동향 - 한국 합계 출산율 0.75명(OECD 최저) 2022. 9. 27.
[숙고] 지역별 인구이동이 고령화에 미치는 영향 핵심 요약 경제활동인구(젊은 층)일수록 지방 → 도시로 이동할 확률이 높다는 전제 아래 인구이동은 고령화의 부익부, 빈익빈을 더욱 강화 시킨다 "1) 지역 간 인구 이동의 특징과 그에 따라 2) 인구구조가 어떻게 영향을 받는가를 분석" 1. "일자리를 찾기 위해 인구가 유출될수록 도시는 늙어간다" 노인 인구 비율 증가 속도 차이 비교 : 순 유출 도시군(서울 / 부산 / 대구 / 경북 / 전북 / 전남) > 순 유입 도시군 (경기 / 제주 / 충남) 2. "고령화의 도래에서도 수도권vs지방 간 양극화가 발생" : 대구/울산/전북/전남/경북/경남은 인구이동으로 인한 노인인구비율 상승의 기여도가 지속적으로 커짐 ▶ 빠른 고령화 진행이 예상됨 3. "젊은 층의 수도권 인구 집중이 문제" : 수도권과 지방 간 .. 2022. 9. 26.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