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왔으나, 알지 못한 "미래" 보기/세상 흐름 따라잡기

[리포트 리뷰] 콘텐츠가 돈이 되는 세상, 크레이터 이코노미 ①

by 저녁숲 2022. 12. 18.
728x90

하나은행 금융경영연구소

크레이터 이코모니 리포트(2209) 리뷰 ①

 

1) 이미 창작물로 돈을 받지 않았나요? 개념/정의

 

 크레이터 이코노미란 창작자가 창작물을 기반으로

수익을 창출하는 생태계 또는 비즈니스를 말하는데,

지금까지 거대 플랫폼社가 창작자를 플랫폼의 경쟁력을

강화시킬 도구로 이용했다는 비판에서 시작해 창작자와

소비자를 직접 연결하는 스타트업 중심의 생태계가 조성됨

 

즉, 창작자가 거대 플랫폼의 광고에 의존하지 않으면서

콘텐츠를 통해 소비자(팬)과 직접 연결되고 수익을 얻는 것

 

크리에이터 생태계는 창작자+팬+플랫폼+MCN으로 이뤄짐

- 창작자: MCN 소속 혹은 개인으로 활동

- MCN : 창작자 발굴, Biz모델 수립, 수익관리 등 담당(소속사)

- 팬 : 플랫폼을 통해 창작자와 밀접한 관계 및 팬덤 형성

- 플랫폼 : 창작 툴, 수익 창출, 네트워크 형성 등

                  가치사슬 전반에 걸친 기술을 지원함

 

'22년 글로벌 시장규모는 $ 1,042억으로 세계적으로

5천만명의 크리에이터가 활동중임

*92% 아마추어 + 8% 프로페셔널($ 50만~$1백만 수입)

출처 : 하나 금융연구소

 

2) 무슨 바람이 불어 갑자기 조명받는가? 등장 배경

 

시장)크리에이터 영입을 위한 플랫폼 혁신 경쟁이 증가

+ 기술) Web 3.0시대로 창작자-소비자 간 직접 거래 가능

+ 소비) MZ 세대가 주력 소비층이 되고, 젊은 노인층이 등장

 

① 콘텐츠 플랫폼 혁신 경쟁이 증가

창작자의 독립적인 수익창출을 솔루션을 통해 지원함으로써

더 많은 파트너 (크리에이터)를 영입하기 위한  경쟁이 심화됨

*크리에이터 후원, 유료구독, 굿즈 판매를 통한 수익화

 

그동안 크리에이터가 창작을 위한 기술 및 고가의 장비 사용,

콘텐츠의 유통 및 수익화, 금융 서비스의 부재에 어려움을

느꼈다는 Painpoint를 공략함

 

Ex1)

PATREON : 창작자를 직접 후원하는 플랫폼으로 후원자에게

독점 콘텐츠, 커뮤니티, 창작 비하인드 스토리 등을 제공하며

21만명 이상 창작자 + 600만명 이상 후원자

출처 : 패트리온 홈페이지

Ex2)

KAJABI : 전문성 갖춘 창작자가 온라인 강좌, 코칭, 팟캐스트 등

지식 콘텐츠를 제작, 마케팅, 판매까지 하도록 돕는 플랫폼

'22년 기준 수십만명 크리에이터가 30억 달러의 매출을 거둠

출처 : KAJABI 홈페이지

Ex3)

substack: 뉴스레터 제작 지원 플랫폼으로 제작 툴, 발송,

성과분석 등 구독 서비스 운영에 필요한 기능 지원하며

크리에이터가 구독료를 각각 설정할 수 있고, 안정적인

정착을 위해 수익낼 때까지 보조금을 제공함

 

출처 : substack 홈페이지

 

② Web 3.0 기반을 통해 창작자의 경제적 자유 실현

web3.0 상에서는 사용자들이 네트워크의 일부를

소유할 수 있어 가치창출 및 수익을 확보할 수 있음

특히, NFT로 크리에이터의 수익화와 팬덤을 키우고,

메타버스로 콘텐츠 소비를 할 접점 확보가 가능해짐

 

츨처 : 하나금융연구소

 

web3.0에서는 조회수 최대화 ㅂ다는 상대적으로 적더라도

열정적인 팬들로부터 생계 가능한 수익을 올릴 수 있다는

장점이 존재함

*커뮤니티를 통해 중개자 없이 열성팬에게 NFT or
  특별 멤버십을 판매하는 식으로 관심 및 수익을 창출

 

③ 대세가 된 MZ 세대 소비자와 Yong Old의 출현

MZ는 콘텐츠의 주력 소비자임과 동시에 공급자이며,

베이비부머의 은퇴로 시니어 크리에이터는

더욱 증가할 전망임

 

크리에이터는 MZ가 선호하는 N잡 분야 중 하나로

테크 플랫폼의 진화로 크리에이터로의 진입장벽이 낮아지며

인기 부업으로 붓아함

*Like2Earn:본업을 유지한 채 취미나 일상을 보여주는 것

 자체가 콘텐츠가 됨

 

 

관련 아티클

2022.11.09 - [왔으나, 알지 못한 "미래" 보기/스타트업 판세 읽기] - [라이징 스타-텁] OGQ - 저작권 콘텐츠 거래 플랫폼 ①

 

[라이징 스타-텁] OGQ - 저작권 콘텐츠 거래 플랫폼 ①

[라이징 스타-텁]에서는 각종 미디어에서 성공 사례 또는 성공 유망 사례로 거론된 스타트업에 대하여 정리해보겠습니다. [스타트업 리스트]가 한 주제와 연관된 스타트업들의 목록이라면, 파보

ready-for-next.tistory.com

 

2022.10.26 - [돈 되고, 의미 되는 "시니어" 과제 발굴/다각도로 찾은 노인 행복 불씨] - [리포트 리뷰] 할매니얼들 윤며들다 : MZ세대를 감동시키는 디지털 어른들 by KB 금융지주 경영연구소

 

[리포트 리뷰] 할매니얼들 윤며들다 : MZ세대를 감동시키는 디지털 어른들 by KB 금융지주 경영연

앞서 "고령사회 노인혐오" 리포트를 리뷰하며 암울하고, 어두운 전망을 다뤘었다면, 그 대안 중 하나가 될 수 있는 "콘텐츠 크리에이터"로서 디지털 시니어와 그로 인한 긍정적 인식 변화에 관한

ready-for-next.tistory.com

2022.10.24 - [왔으나, 알지 못한 "미래" 보기/IT Trend & Keyword] - [IT Big Trend] #1. Web 3.0 ① 정의

 

[IT Big Trend] #1. Web 3.0 ① 정의

IT Big Trend는 현재 급부상하고 있거나 적용 영역이 급속히 확산됨에 따라 앞으로 큰 사회변인으로 작용할 기술 트렌드에 관한 시리즈 입니다. [Web 3.0 개념 정의] Web 3.0 위키백과를 찾아보면 "컴퓨

ready-for-next.tistory.com

원문 아티클 URL

http://www.hanaif.re.kr/boardDetail.do?hmpeSeqNo=35387&menuId=MN1000&tabMenuId=MN1106&srchNm=ALL&srchKey= 

 

하나금융경영연구소

 

www.hanaif.re.kr

 

728x90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