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WC 디지털 헬스케어 개화(2206) 리뷰 ①
현대인은 의/식/주 외에도 다양한 소비를 하는데,
그 중에서도 필수적인 것이 건강과 교육이다.
3년간 코로나를 겪으며 건강(헬스케어)를 위해
병원에 가서 의사를 보는 것이 아닌,
디지털로 의사가 환자와 만나는 디지털 헬스케어가
우리에게 많이 친숙해졌다.
하지만 아직까지 그 개념이 명확하지 않으며,
잠깐의 유행으로 치부하는 시각도 만만치 않다.
PWC 리포트를 통해 디지털 헬스케어의 개념과
동향, 전망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다.
1) 디지털 헬스케어란?
과거 의료시스템이 환자 치료를 중심으로한
대응적/사후 관리인 반면
↔ 환자 개개인의 고유특성에 따른 맞춤의학
디지털 헬스케어는 IT 기반의 치료
+ 미래예측을 통한 질병예방 까지 포함
*헬스케어 = 건강관리, e.g)영양, 수면, 운동
⊃ 디지털 헬스케어 : 디지털 기반 건강관리
⊃ 모바일 헬스케어 : 모바일 기반 디지털 헬스케어
⊃ 비대면 진료 : 모바일로 환자 모니터링 및 관리
즉, 디지털 헬스케어란 "건강관련 서비스와
의료 IT가 융합된 종합의료 서비스"다.
이런 디지털 헬스케어는 굉장히 다양하다.
- 디지털 치료법: SW를 통한 선택적 중재
- 모바일 카메라 촬영정보로 원격의료
- 이메일/메시지로 환자와 케어팀 연결
- 웨어러블 기기로 바이오마커 모니터링
- 환자 정보 수집 및 임상결과 수집
- 온라인 접근을 통한 연속적인 개인 건강 기록
- 환자의 생체신호 자가 모니터링(바이오센서)
- 가상비서로 건강정보, 알림, EMR 데이터 제공
- 온라인 디지털 케어 프로그램 제공
- 홈 피트니스, 코로나 정보 제공 등 앱 서비스
디지털 헬스케어 분야는 여러가지가 있는데,
IT 및 빅데이터로 인한 영역간 융복합으로
분야별 경계가 모호해지고 있다.
① 무선헬스케어
무선 기술이 적용된 기기(웨어러블) 및 서비스,
모바일 뿐만 아니라 다른 기기도 포함됨
e.g. 핏빗 건강관리 서비스
② 모바일 헬스케어
모바일 단말기를 활용한 헬스케어
e.g. 삼성헬스 앱의 종합 건강관리
③ 원격의료
환자, 의료 서비스 제공자가 원거리 통신으로
건강상태 모니터링/진단/처방하는 시스템
④ 전자의료기록(EMR)
의료기관에서 환자 정보를 기록 및
진단/처방하는 전자 시스템
2) 디지털 헬스케어는 왜 떴나?
근간이 되는 IT 기술의 발달과 더불어,
활용을 억제하던 규제가 코로나로 인해
풀리면서 디지털 헬스케어는 급부상하였다.
① IT 기술 발달
코로나 유행 직전 이미 '20년 CES에서부터
'디지털 치료'가 키워드로 뽑힐 만큼 주목을
받고 있었다. 이는 고령화 시대에 헬스케어
효율화가 핵심 과제로 부상했으며,
5G 통신망으로 디지털 헬스케어의 기반이
마련되었기 때문이었다.
구분 | Tele-health | e-health | u-health | digital-health |
시기 | 90년대 | 00년~ | 06년~ | 10년~ |
내용 | 원내 치료 | 치료 및 정보제공 | 치료+예방 | 치료+예방+복지+안전 |
제공자 | 병원 | 병원 | 병원+ICT기업 | 병원+ICT기업 + 보험사+서비스기업 |
이용자 | 의료인 | 의료인+환자 | 의료인+환자+일반인 | 의료인+환자+일반인 |
시스템 | 병원운영 시스템 | 의무기록 사이트 | 건강기록 모니터링 | 건강기록 기반 맞춤형 서비스 |
source by KMA, PWC
② COVID-19 팬데믹
코로나 대유행은 디지털 헬스케어 도입을
막고 있던 제도들을 고치는 계기가 되었다.
코로나의 대응안으로 원격의료, 의약품 배송,
가정 내 건강관리 등 비대면 서비스가 활성화
되었는데, 이는 포스트 COVID-19에도
새로운 표준(New Nomal)로 자리잡을 것이다.
3) 디지털 헬스케어 시장, 어디까지 갈까?
글로벌 디지털 헬스케어 시장은 '20년 182조원
규모로 이후 연평균 성장률 18.8%로 성장하여
'27년 610조원 규모에 이를 것으로 전망된다.
*글로벌 제약시장 CAGR 3%의 6배 수준
source by Global Industry Analysts, 한국보건산업진흥원
국내 디지털 헬스케어 시장은 '18년 기준 1.9조원으로
시장에 대한 최신자료가 부족하며, 글로벌 시장에서
한국 비중은 1%이하로 미미한 수준임
(국내 의약품 시장 규모는 글로벌 시장의 2% 수준)
특히, 원격의료가 글로벌에서는 연평균 30% 이상의
고성장이 예상되나, 국내는 비대면 진료 규제로 인해
14.9%에 그칠것이라 차이가 존재함
참고 아티클
2022.12.07 - [돈 되고, 의미 되는 "시니어" 과제 발굴/다각도로 찾은 노인 행복 불씨] - [스타트업 리스트] #8. "디지털 헬스케어" 스타트업
[스타트업 리스트] #8. "디지털 헬스케어" 스타트업
시니어층을 타겟으로 하는 디지털 헬스케어는 주로 치매예방로봇, 인지향상 앱 서비스에 집중됨 ① 로보케어 02년 과학기술부가 로봇 원천기술 확보를 위한 R&D 조직을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
ready-for-next.tistory.com
[리포트 리뷰] 고령화 대응 기술 ③ 선진국의 고령화 전략은 "ㅇㅇㅇㅇ"이 핵심이다
이미 늙어버린 국가들은 고령화 대응기술을 통해 앞으로 펼쳐질 고령 사회의 사회적 비용부담과 시니어 삶의 질 향상을 도모하고 있다. 그 대응방안은 (장기적)로드맵, 컨트롤타워 구축, R&D지원
ready-for-next.tistory.com
원문 리포트 URL
https://www.pwc.com/kr/ko/insights/insight-research/paradigm-shift-02.html
디지털 헬스케어의 개화
디지털 헬스케어, 특히 그 중에서도 원격의료 분야에 집중하여 글로벌 현황과 한국의 상황을 비교·분석하고, 향후 방향성 및 대응 방안에 대해 살펴봅니다.
www.pwc.com
'왔으나, 알지 못한 "미래" 보기 > 세상 흐름 따라잡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리포트 리뷰] 유한양행 경쟁사가 애플, 구글, 아마존이라고? (2) | 2022.12.20 |
---|---|
[리포트 리뷰] 콘텐츠가 돈이 되는 세상, 크레이터 이코노미 ① (0) | 2022.12.18 |
[독서 Note] Zeor to One ⑤ 1이 될만한 0 찾기 (0) | 2022.11.27 |
[독서 Note] Zeor to One ① 진보의 방향 by 피터 틸 (1) | 2022.11.23 |
[리포트 리뷰] 40대, ‘86세대’의 후예인가, ‘밀레니얼세대’ 선조인가? by LG경영연구원 (0) | 2022.11.07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