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왔으나, 알지 못한 "미래" 보기/IT Trend & Keyword

[IT Big Trend] #1. Web 3.0 ① 정의

by 저녁숲 2022. 10. 24.
728x90
IT Big Trend는 현재 급부상하고 있거나
적용 영역이 급속히 확산됨에 따라
앞으로 큰 사회변인으로 작용할
기술 트렌드에 관한 시리즈 입니다.

[Web 3.0 개념 정의]

Web 3.0 위키백과를 찾아보면 

"컴퓨터가 시멘틱 웹 기술을 이용하여

웹 페이지에 담긴 내용을 이해하고,

개인 맞춤형 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지능형 웹기술"이라고 표현합니다.

(다소 어렵고, 추상적이죠)

 

새로운 용어이기 때문에 통일된 정의를

찾기가 쉽지 않고, 다만 여러 관점에서

정의한 바를 비교해보면 좋을 것 같은데요.

 

'가트너"

사용자가 자신의 ID와 데이터를 제어하는

탈 중앙화 웹 응용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새로운 기술 스택으로서 궁극적으로

DApp 기반의 애플리케이션으로

기반 기술 Set이 전환된다는 의미

 

'딜로이트"

메타버스를 포함한 XR, 탈 중앙화 웹, 보안,

개인정보보호, 익명성, 크리에이터 경제가

활성화되는 포괄적 관점 웹

→ 스마트

사용자가 자신의 ID와 데이터를 제어하는

탈 중앙화 웹 응용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새로운 기술 스택으로서 궁극적으로

DApp 기반의 애플리케이션으로

기반 기술 Set이 전환된다는 의미

 

'가트너"

사용자가 자신의 ID와 데이터를 제어하는

탈 중앙화 웹 응용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새로운 기술 스택으로서 궁극적으로

DApp 기반의 애플리케이션으로

기반 기술 Set이 전환된다는 의미

 

"컨센시스"

암호경제를 통해 웹을 집단 소유하고,

프로그래밍 코드 그대로 실행되는 시스템

오픈소스의 가치, 사용자의 데이터 소유권,

공동체 의식과 협업을 이끌어내는 시스템

 

 종합해보자면 Web 3.0의 기본내용은

기존 제도권(Web 2.0)의 반발에서 시작해

"탈중앙화에 따른 개인간 직접 소통을 통해

개인의 데이터 통제권을 강화하고 보호"하는

것으로, "투명한 보상체계에 따라 개인이

디지털 자산(데이터)에서 직접적으로

경제적 가치를 추구"하는 것입니다.

 

 Web 2.0이 플랫폼 기업 주도로 중앙화되며,

승자독식으로 인해 데이터 부가가치가

소수 기업에게 돌아갔었다면, 그 대안으로서

개인의 (데이터)주권이 강화되며, 개인이

직접 참여해 투명하게 보상받는 경제로

볼 수 있습니다.

 

[Web 3.0 가치제안]

Web 3.0 기반 사상(방향)는 3가지입니다.

1) 탈중앙 of 데이터 통제 및 운영

- 중앙 통제자(중개 플랫폼) 없는 거래환경 제공

- 사용자 권한 강화를 위한 자율적/민주적 규칙 적용

 

※ 反 빅테크 탈중앙화가 필요한 이유

- 플랫폼들은 초기 네트워크 효과를 위해 

  사용자/창작자.개발자+파트너 등 이해관계자의

  유치와 협력에 힘쓰지만, 성장 한계에 이르면

  참여자의 데이터를 추출하는데 집중하면서

  파트너들과 협력관계가 경쟁관계로 변화함

 

2) 개인의 데이터 소유권 보장

- 중앙 통제자 소유의 데이터를 개인이 소유하며,

  스스로 수익을 실현할 수 있음

  *본인의 신원, 데이터 뿐만 아니라

   콘텐츠, 디지털 자산에 대한 소유권 control

 

3) 투명한 거래 by 디지털 토큰

- (블록체인 기반의) Smart Contract를 통해

  미리 약속한 계약조건(프로토콜)의 충족시에만,

  거래가 체결됨 ▷ 거래의 투명성, 신뢰성 得

- 데이터를 분산 및 중복 저장해 무결성 得

- 창립자, 개발자, 사용자 등 네트워크 기여자에게

   디지털토큰(가상자산, NFT)를 배분하여

   가치를 전달하고, 네트워크 성장을 조율하는데

   관계자들이 디지털재산권을 갖는다는 의미임

 

[Web 3.0 적용 분야]

Web 3.0은 크게 6가지로

시장에 출현하고 있습니다.

.

1) 가상자산(Cryptocurrency)

- 비트코인, 이더리움 등 개방형 블록체인 기반의

  화폐 기능을 하는 것으로, 과거 Crypto라 표현

- 공개/개인 키 암포방식으로 탈중앙화된

  P2P 방식으로 금융 및 DB, 컴퓨팅 역할 수행

 

2) 대체불가 토큰(NFT)

- 특정 블록체인의 고유 디지털 자산으로

  희소성/진위성/검증가능성을 충족함

- 현재는 jpeg or 디지털 미술작품 형태가 많지만,

  향후 신원확인 및 증명서, 증권 등 확산될 전망
  : B2C 업종에 다양하게 활용될 거라 예상됨
    (게임, 패션, 유통, 미디어, 엔터업게 등)

 

3) Creator Economy

- 웹2.0는 크레이에이터가 획득할 수 있는 수익이

  없거나, 매우 제한적인 반면(중개 수수료 등)

  3.0은 창작자가 네트워크 일부를 소유 및

  가치 창출과 수익확보할 수 있다는 차이 존재

  ▷ (네트워크 효과를 위한) 조회수 최대화보다

       적더라도 열정적인 팬으로 부터

       생계가능한 수익을 올리는 형태로 바뀔 것임

 

4) 탈 중앙화 메타버스

- 특정 기업의 중앙집권적인 컨트롤 없이,

  개방형 블록체인 위에 본인 신원, 데이터, 

  디지털 자산을 포함한 월렛을

  다양한 세계에서 소유 및 활용함

 

5) 탈 중앙화 금융(DeFi, Decentralized Finance)

- 가상자산 적용 중 가장 먼저 대부된 분야로

  스테이킹, 대출차입, 탈중앙화 스테이블 코인,

  토큰 스왑, 각종 파생상품 등 다양하게 나타남

 

6) 탈중앙화 자율조직(DAO)

- Decentralized Autonomous Organization으로

  비대면 협력 및 조정 등 블록체인 기반 커뮤니티

  : 중앙통제 없이 개인들의 자율적 제안, 투표로 결정

 

728x90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