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VC와 투자 계약을 하는 것은
1) 회사 가치를 협상하고,
2) 부대 투자 조건을 확정하는 것임
1) 회사 가치 측정
: Pre-money / Post-money Valuation으로
투자 전후 가치를 서로 간에 확정함
- Pre-money Valuation(투자 전 기업가치)
- : 지금까지의 자본금으로 만든 회사가치를
- 창업자와 투자자가 합의한 숫자
- Post-money Valuation(투자 직후 기업가치)
- : 투자 전 가치에 VC가 투자한 금액만큼 (+)
회사 가치 측정 방법
- DCF(Discounted Cash Flow, 현금할인흐름 계산)
: 다년간 현금흐름을 현재가격으로 추정함
*어렵고, 복잡하기 때문에 변동성이 적은 경우에 한함
- 회사 비교 추정
: 소속된 산업 / 국가 / 사업모델 등을 고려하여
지금 회사와 가장 비슷한 회사 그룹을 지정함
▶ 회사 그룹이 거래되는 시장가격(주식 가격)과
회사 실적 기록 간의 비율을 찾음 *Multiple
*실적 ÷ 가치 : PER, EV/EBITDA, EV/Revenue
2) 투자 조건 협상
①단계. 이번 라운드에 필요한 투자금액 합의
: 회사가 마일스톤을 찍고, 원하는 수준에
도달하기까지 필요한 투자 금액을
창업자와 투자자가 계산 & 논의 & 합의
② 단계. 합의된 금액에 따라, 몇% 지분 내줄지 협상
: 보통 라운드마다 10 ~ 30% 지분을 제공함
728x90
'왔으나, 알지 못한 "미래" 보기 > 스타트업 판세 읽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타트업 상식] #4. 투자 유치 전략 (0) | 2022.11.22 |
---|---|
[스타트업 상식] #3. 투자 계약 검토 (0) | 2022.11.21 |
[라이징 스타-텁] 데카르트 - 뇌 건강관리 앱 ② (1) | 2022.11.17 |
[라이징 스타-텁] 데카르트 - 뇌 건강관리 앱 ① (0) | 2022.11.16 |
[라이징 스타-텁] FLEX - HR SaaS 스타트업 ② (0) | 2022.11.14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