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728x90

준비된 상태로 "현실" 살기/실전 멘탈 키우기30

[Be Super 乙] Challenge & Defense Case #1 안녕하세요, 이번 카테고리에서는 컨설턴트로서 고객사에서 프로젝트하면서 겪었던 당일의 기록을 상황, Challenge, (저의) 당시 대응, 결과와 마지막으로 복기했을 때 시사점의 구조로 정리하겠습니다. 이 카테고리는 결코 제가 뛰어나서도 아니고, 저의 대처가 본받을 만해서도 아닙니다. 다만 이 글을 읽는 분들 그리고, 미래의 제가 겪은 Challenge에 대해 보다 슬기롭게 대처하길 바라기 때문에 부족하지만 이러한 기록을 남기고 지속적으로 축적하고자 합니다. [1] 상황 - 주간회의에 갑자기 참여한 고객사 중간 관리자(팀장급)로 인한 혼란 발생 10주의 프로젝트 기간 중 후반부의 시점에서 컨설팅을 통해 도출된 과제의 우선순위 평가 과정을 주간회의를 통해 보고하는 날이었습니다. 이전까지는 고객사의 담당자가.. 2022. 9. 14.
[Issue Tree] #2. "고객 중심"으로 포장하고 싶다면 객수/객단가를 살펴보자 앞서 Biz Goal을 3 Depth 까지 펼쳐보았다면, 이번 글에서는 각각의 항목을 1,2단계 더 내려가 보겠습니다. 이를 통해 실무자들의 업무 R&R 혹은 실제 하고 계신 Task와 연결지을 수 있을 겁니다. *만약 그렇지 않다면 제가 잘못 작성했거나, 독자분의 업무 목적이 무엇인지 의심해볼 필요가 있습니다. 1.1. 객수 증가 1.1.1. 유입객수 증가 : 고객이 방문하는 채널 or 접점이 무엇인지 생각해보시길 추천드립니다. 고객이 방문할 수 있는 채널은 온라인, 오프라인, 온/오프 연계(or 옴니)가 있을 겁니다. 온라인 채널은 모바일 App, PC Web처럼 Device 기준으로 나눌 수 도 있겠지만(통계에서 그렇게 분류하듯) Biz 관점에서는 직영인지, 입점채널인지가 더 중요할 수 있습니다. .. 2022. 9. 6.
[Issue Tree] #1. "내가 이 일을 왜하나"를 모를때 Biz Goal Tree를 그려보자 10년 가까이 프로젝트 형태로 일을 하면서 성공만 할 수는 없었고, 하나도 무난히 진행된 경우는 없었습니다. 쉽지않은 상황에 놓일 때마다 임기응변도 중요했지만, 돌이켜보면 컨설턴트로서 C레벨 경영진과 소통하며 "그들이 생각하는 상황과 원하는 답, 그걸 뒷받침하는 근거로서 나의 프로젝트가 어떻게 연결되는가"가 문제 해결의 Key였던 경우가 기본이었습니다. 한번은 디지털 전환(DT)를 위한 장기 프로젝트가 실패(파트너십 결렬)로 돌아간 뒤, 대표이사와 2시간 정도 독대하며 그가 생각했던 디지털 전환을 위한 전략구상을 들었던 적이 있었습니다. 아직까지도 그때를 떠올리며 혼란스러울때 멘탈을 다잡는데 쓰고 있습니다. (대표) **대리! DT는 왜하냐? (나) 고객이 원하는 바를 채워주기 위해서 지금의 방식으로는 .. 2022. 9. 5.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