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준비된 상태로 "현실" 살기/실전 멘탈 키우기30 [랜덤 한줄] 평정심 가지기 위함 법정스님 曰"행복의 비결은 필요한 것을 얼마나 갖고 있는가가 아니라, 불필요한 것에서 얼마나 자유로운가에 있다.어떤 상황에서도 위에 견주면 모자라고 아래에 견주면 남는다.일체유심조 라는 말이 있듯 행복을 찾는 오묘한 방법은 언제나 내안에 있다." 어떤 상황이나 사람이 못마땅할 때 마음의 평화를 유지하려면'그저 그러려니' 하면서 싫은 것의 존재 권리를 인정하고 받아들이는 연습이 필요하다. 받아들이는 글내 머리속에 있는 바(생각하는 것 또는 바라는 것)와 실제 현실 사이의 격차가 그동안 겪어왔던 것 보다더 강렬하고, 직접적으로 와닿으면서 이를 해결할 수 없다는 무력감에 요즘 많은 어려움을 겪었다.특히, 조직활동(팀워크)과 직업관(커리어)에 있어 나와 생각이 다르고, 그런 이들을 내 생각에 맞추도록 하는 것에.. 2024. 8. 26. [난중일기] 전후처리 보호되어 있는 글 입니다. 2024. 8. 20. [난중일기] 쉽지않은 시간 보호되어 있는 글 입니다. 2024. 8. 15. [근간] MZ에게 공정이란 by 마이클센델 보호되어 있는 글 입니다. 2024. 6. 19. [근간] 멘탈 관리하는 법 1/2/3 보호되어 있는 글 입니다. 2024. 6. 11. [난중일기] 비용절감 프로젝트 2주차 1일 보호되어 있는 글 입니다. 2024. 6. 3. [Biz Approach] #1. 스타트업's 사업 계획서 ③ 그 외 Back-up 지금까지 사업계획서를 통해 본인의 사업이 뭐가 어떻게 왜 말이 되는지(Narrative Test), 그래서 얼만큼 돈이 될 것인지(Numbers Test)를 빠짐없이 전달했고, 그것이 설득이 되었다면 마지막으로 많은 관점의 근거를 제시함으로써 "진짜 그러하겠네"라는 확신을 가져다 줘야 합니다. 보통 사업계획서에서는 ① (해외에) 성공한 실제 사례가 있는지, ② 투자를 받는다면, 어떻게 사용할 계획인지, ③ 사용한 결과로 그릴 성과치는 어떠한지, ④ 마지막으로 그걸 할 수 있는 역량이 있는지 를 통해 이러한 확신의 근거를 제공합니다. ① 해외 사례 뭔가 새로운 것을 할 것 같고, 참신해야 할 것 같은 "스타트업"에 성공 사례를 들어 설명하는 것은 뭔가 스타트업의 정신을 훼손시키지 않을지 걱정할 수 있습니다.. 2022. 11. 25. [Biz Approach] #1. 스타트업's 사업 계획서 ②. Numbers Test 관련글 2022.11.19 - [준비된 상태로 "현실" 살기/비즈니스 케이스 스터디] - [Biz Approach] #1. 스타트업's 사업 계획서 ① Narrative Test 2022. 11. 21. [Biz Approach] #1. 스타트업's 사업 계획서 ① Narrative Test 사업계획서란 "사업의 계획이 담긴 문서""를 말한다. 사업의 계획을 그저 말하기만 하는 것이 아니라, 독자 or 청자로 하여금 설명한 사업에 대해 긍정적인 생각을 이끌어 내는 것이 목적으로 독자 입장에서 여러가지 관점의 질문과 검토가 있겠지만, 결국 2가지로 압축될 수 있다. 1) Narrative Test : 말이 되는 사업인가? 2) Number Test : 돈이 되는 사업인가? 이렇게 2가지에 대한 질문의 답이 명쾌하게, 그리고 납득될 정도로 나왔다면 상대방은 "해당 조직에 Join하든가, 자본을 투자하든가, 본인이 속한 회사와 제휴를 하든가" 하는 도움이 되는 Action을 끌어내는 것이 사업계획서의 최종적인 용도라고 볼 수 있다. 이 글에서는 Narrative와 Number 2가지로 나눠, 사업.. 2022. 11. 19. 이전 1 2 3 4 다음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