데카르트 성공 노하우 요약
Targeting
데카르트는 잠재성이 있는 시장으로
시니어 디지털 헬스케어를 지목한 뒤,
고객의 지불의사 가격과 확장성을
고려해 "뇌 건강"을 키워드로 잡고
▼
Positioning
뇌 건강에 대한 인식을 바꾸기 위해,
치료제가 아닌 '비타민', '피트니스'
서비스로 포지셔닝 한 뒤
▼
Development
게임에 특화된 인력/플랫폼/방식으로
재밌고 꾸준히 즐길 수 있는 콘텐츠를
개발하여 배포하였음
▼
Delivery
또한 5060이 혼자서 쉽고 편하게 쓰도록
유튜브, 카카오톡의 기능범주 내에서
UX 디자인을 하도록 포커싱 함
주요 실적
'21. 구글플레이 선정 '올해를 빛낸 숨은 보석 앱
'22. 50억 Pre-A 투자금 유치
*미래에셋벤처투자, 우아한형제들, 인사이트에퀴티파트너스
- 유료 App으로 결제고객 70%가 5060층
시장기회(Pain-point, 과제) 포착
Q1. 디지털 헬스케어는 왜 돈을 벌지 못하는가?
A. 기존 App이 고객의 지불의사가격(WTP)를
높이지 못했기 때문이라 가설 세팅
- 인기앱이 대부분 무료 서비스임(BM 부실)
- SNS에 고퀄&무료 콘텐츠가 존재하기때문
▶ SNS 콘텐츠보다 차별화되야 WTP ↑ 가능
Q2. 왜 시니어 시장에 스타트업의 DT가 부족할까?
A. (20년 당시) 시니어 타깃 서비스가 적었음
2030 개발자 입장에서 시니어 헬스케어에 대한
관심이 부족했음(공급이 적은 상황)
▶ 오히려 좋은, 시장 기회라 인식
Q3. 시니어 디지털 헬스케어에 조단위 BM이 가능?
A. 규제 완화 및 업계 변동을 보고 베팅하였음
국내 코로나로 인한 규제혁신 여론이 상승하고,
글로벌 투자 흐름이 디지털 헬스케어에 집중됨
질환 중 치매를 선택한 과정
① 가장 무서워 하는 질환을 선택
- 가장 두려운 질병 1위 치매 55%로 압도적- 최근 10년간 20배 가량 급증(여성 70%)
② 뇌건강 확장성 발견
웰니스로 확장될 수 있기에 잠재력을 파악함
: 먹는법, 운동법, 멘탈관리법, 학습법을 위한 App은 有
But 이를 뇌건강 관리 관점에서 다룬 App은 부재함
③ 고객(5060)의 높은 건강 관심도 & 대응 無 확인
: 건강관련 TV 프로그램 등으로 질병은 알고 있으나,
실제 예방을 위해 병원 방문하는 인원은 거의 없음
*자녀층의 낮은 관심 및 이해도와
치매진단에 대한 부정적인 인식 존재
원문 아티클
https://dbr.donga.com/article/view/1101/article_no/10601
[DBR] 치료제 아닌 ‘뇌 비타민’으로 포지셔닝, 5060 남 모를 치매 고민, 게임으로 해결
Article at a Glance 뇌 건강관리 앱 데카르트가 5060 여성을 타깃으로 시장성을 검증하는 데 성공한 비결은 다음과 같다.1. 시장에서 시니어를 위한 디지털 헬스케어 서비스의 공백을 발견하고 고객의
dbr.donga.com
'왔으나, 알지 못한 "미래" 보기 > 스타트업 판세 읽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타트업 상식] #2. 기업가치 산정 (0) | 2022.11.20 |
---|---|
[라이징 스타-텁] 데카르트 - 뇌 건강관리 앱 ② (1) | 2022.11.17 |
[라이징 스타-텁] FLEX - HR SaaS 스타트업 ② (0) | 2022.11.14 |
[라이징 스타-텁] FLEX - HR SaaS 스타트업 ① (0) | 2022.11.13 |
[라이징 스타-텁] OGQ - 저작권 콘텐츠 거래 플랫폼 ② (0) | 2022.11.10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