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왔으나, 알지 못한 "미래" 보기/스타트업 판세 읽기

[라이징 스타-텁] 데카르트 - 뇌 건강관리 앱 ②

by 저녁숲 2022. 11. 17.
728x90

데카르트 상품 차별화 전략

① 치료가 아닌, 예방(Vitamin)을 공략

- '20년 식약처가 디지털 치료기기(DTx)의

가이드라인 발표 후 많은 스타트업이

DTx로 확장하였음

↔ 데카르트는 비타민으로 포지셔닝

∵ 지속가능한 BM 달성까지

     요구되는 시간/노력 大

 

- 5060의 조기 진단 및 예방활동의

   인식을 바꾸는 것을 목표로 설정함

   : 핵심 컨셉 "브레인 피트니스"

두뇌게임 포지셔닝, 출처 : 데카르트 홈페이지

- 유저가 루틴을 실천하도록 콘텐츠 구성

  : 자가 진단 후 매일 목표 활동을 설정함

    *보상으로 평가 결과 및 퍼즐 제공

데카트르 App 루틴 설정화면, 출처 : 구글 플레이스토어

② 게임 개발자 중심 팀 빌딩

- 경쟁 Player가 의료진 출신이 주축이나,

  재미를 통한 지속유입(중독)을 우선으로

  개임출신을 핵심멤버로 영입함

 

③ "애니팡"으로 UX 롤모델 설정

기존 인기 앱을 벤치마킹하되,

카톡과 유튜브 기본 기능을 벗어나지 않도록 함

*50대 이상이 쉽게 사용하도록 간소화

                       +

CS를 통해 접수되는 불편을 앱에 수시로 반영

(대표가 직접 CS담당 역할 수행)

 

애니팡과 같은 게임화 요소를 적극 도입함

: 육성, 반응, 보상 등의 요소를 UX로 제공

목표 달성 Gage를 통한 동기부여, 출처 : 구글플레이스토어

주요 실적

런칭 3개월 만에 월 9900원의 과금 시작: 구독자 2천명의 10개월간 CLV가 월 7만원  *목표 LTV 4만원 보다 높고, CAC보다 높음   **무료체험 후 유료 전환율 40% 기록

데카르트 가격정책, 출처 : 데카르트 홈페이지

 

 

주요 고객 특징

- 5060 여성층이 70% 차지- 자정~새벽3시에 몰려 결제 진행   *자식 눈치보며, 병원에 못가는 고객 Scene

 

시사점 - 고객입장에서 규제 산업에 도전마치 토스처럼 강도 높은 규제 산업을고객중심에서 해석해 혁신 생산하고 제공함: 어려운 지식,용어,진단결과를 나열X  헬스케어 모습보다
  건강하고 싶은 고객이
원하는 것에 Focusing

 

 

728x90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