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돈 되고, 의미 되는 "시니어" 과제 발굴/다각도로 찾은 노인 행복 불씨

[독서 Note] 대한민국 인구 트렌드 "간병 사업" by 진영수

by 저녁숲 2022. 11. 11.
728x90

p54.

 분자(후속 인구)의 급감은 분수값을 드라마틱하게

뒤흔든다. ...25년 고령인구 비율이 20%를 넘어서 

초고령사회에 들어선다. 이후 30년(25.5%),

40년(34.4%), 50년(40.1%), 70년(46.4%)처럼

기울기가 급해진다. ... 인식 전환과 제도 개혁이

시급한 이유다. 따라서 '일흔=젊음'까진 아니라도

환갑을 늙지 않았다고 보는 인식의 변화가 필요하다.

70세부터 노년기로 보자는 제안이다.

(중략)

 25년 이면 베이비부머 맏형(55년생)부터 

만으로 70세가 된다. 이때부터 20년간

생산가능인구의 절반 가량이 실질적인

'부양 인구 → 피부양 인구'로 전환된다.

(중략)

건강 수명에 포함되는 70~74세를 빼도 30년부터

매년 적어도 70~80만명이 이후 20년간 75세로

들어선다. 절대다수는 어떤 질환에든 걸릴 가능성이

높다. ... 75세부터 유병 확률은 치매 발병에서

심각성을 확인할 수 있다. 고령 인구 중 치매 환자는

17년 9.94%(70만명)이다

 

 필자가 주장한 시니어 연령 재정의(70세)를

하더라도 숫자 놀음일 뿐 25년부터 본격적인

(초)고령화 진입은 불가피한 사실임, 특히

이로 인한 노령층의 특징인 질병에 관심이 

높아지는 것은 자명해 보임

 

이를 노린 스타트업 "데카르트"가 생각남

데카르트의 외부(시장)환경은 장기적으로도

굉장히 긍정적일 것으로 보임

 

p56.

 한국은 20년 기준 17.2년(83.5세 - 66.3세)의 

유병 노후가 예상된다. 건강 만 아니라 경제-활동-관계

등 종합적인 행복 수명(74.6세)는 선진국보다 짧다.

'기대 수명-행복수명'의 차이는 한국(8.5년), 영국(5.7년),

미국(4.3년) 등으로 추산된다.

(중략)

고령 산업을 간병과 의료만이 아닌 생활 전반과

관련있는 산업으로 시장화하는 게 바람직하다. 그래야

새로운 소비 시장이 형성된다. 노년 집단의

새로운 욕구는 내수산업을 활성화할 요소다.

 

건강한 시기와 삶을 마감하는 시기가 차이나는,

그러니깐 건강하지 않은 상태로 삶의 마감을

기다리는 시기가 다른 선진국에 비해 길다는 것

이것은 하나의 큰 문제이자, (비즈니스로 풀)

기회라고 볼 수 있다 - 왜? 돈이 있다면,

해외선진국과  같은 식으로 이를 해결하고자

하는 사람들이 분명히 생길 것이기 때문에

 

그러한 움직임은 고령자의 생활 전반에침투한

신규 서비스에서 볼 수 있을 것인데,

이것이 앞으로 내수산업의 큰 비중을

특히 성장률에서는 가장 높을 것으로 전망된다.

(사실 이미 그런 현상이 벌어지고 있으리라)

 

 

p59.요즘 어른은 확실히 다르다. ... 제도로는 늙었어도

현실에선 젊다. 즉 긍정적이고 적극적이며 개방적이다....

4070 세대를 중년으로 본다면 사실상 현역 소비의

연장과비슷하다. 상대적으로 늙지도, 아프지도, 외롭지도

않은 신인류란 얘기다.

... 고령인구의 유형이나 그들이 지향하는 바가

제각각인 만큼 정밀한 욕구 분석은 아무리 강조해도

부족하다. 일본의 경우 고령 연령을 세분해

프리미엄 시니어(65~74세), 미드시니어(75~84세),

업시니어(85세↑)로 구분한다. 

매스 고객으로 묶어단순히 바라보는 대신 집단의

세분화로 차별화된 수요를 찾기 위함이다.

 

요즘 유행하는 YOLD(Young Old) 또한

75세, 85세를 전후로 나뉘며 이를 기점으로

그들의 생활습관, 반경, 관심사 또한 크게

달라질 여지가 크다. 

 시니어 시장 또한 (당연히) 초기 6575 위주로

성장하다가, 30년대에 이르러 75세에 진입하는

부머들을 공략한 비즈니스로 분화될 가능성이크다,

하지만 신규로 하나가 크기보다 20년대 60세층을

잡은 서비스가 고객을 유지 및 강화하며

30년대 70세층을 누리는그런 형태가 될 가능성이

높지 않을까 생각... 옮기기 귀찮고, 이미 고객에 대한

데이타가많이 쌓여서 진입장벽을 충분히 형성할 테니...

 

 

관련글

2022.11.16 - [[미래] 왔으나, 보지 못한/스타트업 훑어보기] - [라이징 스타-텁] 데카르트 - 뇌 건강관리 앱 ①

 

2022.10.22 - [고령 사회의 시장기회] - [리포트 리뷰] 실버산업 해외사례와 활성화 전략 by KiRi(보험연구원)

 

[리포트 리뷰] 실버산업 해외사례와 활성화 전략 by KiRi(보험연구원)

실버산업은 베이비부머의 시니어 진입으로 빠르게 확대될 전망이며, 해외 사례를 볼 때 예방적-삶의 질을 높이는 방향으로 요양원 / 맞춤형 / 주거환경 / 일자리 산업의 다양한 방면으로 나타날

ready-for-next.tistory.com

2022.11.03 - [고령 사회의 시장기회] - [스타트업 리스트] #2. "시니어 스마트 돌봄" 스타트업

 

[스타트업 리스트] #2. "시니어 스마트 돌봄" 스타트업

과거 "실버산업 해외사례와 활성화 전략 리포트"를 리뷰하면서 시니어층의 근본적인 문제, Concern은 "사회적, 육체적인 건강"이라고 정리했었는데 이중 "육체적인 건강+외로움"의 해결법으로 최

ready-for-next.tistory.com

 

728x90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