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요약
: 디지털경제로 인해 소비에는 온라인화,
직장에는 스마트워크가 가속화될 것이며
Smart Factory의 무인/자동화 생산이 대세
[스마트워크]
시간/장소 제약없이 유연한 근무행태가
미국, 유럽은 50%이상 도입되고 있는 상황
이는 저출산, 고령화 같은 인구구조 변화외에도
IT기술이 기반되었기 때문임
▶한국또한 동일한 인구구조 변화와 IT인프라가
있기에 스마트워크 도입은 확산될 전망임
해외's 스마트워크 도입
: 90년대 이후 본격적으로 시행
- 미국: 여성 사회진출, 고령인구 증가에
대응하기 위한 스마트워크 도입(93년~)
- 일본: 15년부터 1억명 유지를 목표로,
국가 핵심정책으로 유연근무제 채택
- 영국 : 저출산에 따른 인구감소를 막고자,
'13년 유연근무 청구권을 일반적 근로권化
국내's 스마트워크 현황
스마트워크 활용률 25% 수준
↔ 해외선진국 50%의 절반
재택근무 형태 4%(공기업 30%)
↔ 미국 38%, 일본 12%
스마트워크 효과
(-) 협업하기 불편하며, 효율성이 떨어짐
(+) 업무 효율성 및 연속성 측면 제고
생산성 7~22% 가량 증가
+ 교통체증 해결,
+ 인구 분산에 따른 부동산 안정화 효과
Insight for Next #5
- 국내의 스마트워크가 도입되지 못하는 이유가
문화(인식)과 일하는 방식 때문이지 않을까?
▷리포트가 말한 협업의 불편함이 해소된다면
or (노동 세대교체로) 불편함을 모르게 된다면
그럼에도 불구하고, 수도권에 살려고 할까?
▷Team base로 일하는 분야일수록
스마트워크에 대해 도입하는 시점이 느릴 듯,
하지만 스마트워크가 대세라면 앞으로는
스마트워크 환경 아래에서 높은 성과를
내는 것이 리더십의 차별화 기준이 될 것
▶ 기업에서 수도권 수준의 업무 환경(IT인프라),
교육기회, 평가/보상 체계를 제공한다면
그리하여 도시-지방간 격차를 해소한다면
기업이 동일 임금을 주면서도,
직원은 늘어난 가처분 소득을 누리면서,
지방정부는 인구를 확보하는 효과를
아무 장밋빛 미래로 그려본다.
728x90
'왔으나, 알지 못한 "미래" 보기 > 세상 흐름 따라잡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독후감] 아이디어 불패의 법칙 ① "될놈될" by 알베르토 사보이아 (0) | 2022.11.02 |
---|---|
[논문 리뷰] 비대면 근무 방식의 확산과 과제 by 한국노동연구원 (0) | 2022.10.14 |
[독후감] 마케팅 전쟁 by 잭 트라우트 (1) | 2022.10.04 |
[독후감] Build to last by 짐 콜린스 (0) | 2022.09.29 |
[독후감] 기업경영과 전략적 사고 by 오마이 겐이치 (0) | 2022.09.28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