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왔으나, 알지 못한 "미래" 보기/세상 흐름 따라잡기

[리포트 리뷰] 코로나19가 가져올 구조적 변화:디지털 경제 가속화 by PWC

by 저녁숲 2022. 10. 13.
728x90

요약
: 디지털경제로 인해 소비에는 온라인화,

 직장에는 스마트워크가 가속화될 것이며

 Smart Factory의 무인/자동화 생산이 대세

 

[스마트워크]

시간/장소 제약없이 유연한 근무행태가

미국, 유럽은 50%이상 도입되고 있는 상황

이는 저출산, 고령화 같은 인구구조 변화외에도

IT기술이 기반되었기 때문임

▶한국또한 동일한 인구구조 변화와 IT인프라가

   있기에 스마트워크 도입은 확산될 전망임

 

해외's 스마트워크 도입

: 90년대 이후 본격적으로 시행

- 미국: 여성 사회진출, 고령인구 증가에

  대응하기 위한 스마트워크 도입(93년~)

- 일본: 15년부터 1억명 유지를 목표로,

  국가 핵심정책으로 유연근무제 채택

- 영국 : 저출산에 따른 인구감소를 막고자,

   '13년 유연근무 청구권을 일반적 근로권化

 

국내's 스마트워크 현황

스마트워크 활용률 25% 수준

↔ 해외선진국 50%의 절반

 

재택근무 형태 4%(공기업 30%)

↔ 미국 38%, 일본 12%

 

 

스마트워크 효과

(-) 협업하기 불편하며, 효율성이 떨어짐

(+) 업무 효율성 및 연속성 측면 제고

      생산성 7~22% 가량 증가

      + 교통체증 해결,
      + 인구 분산에 따른 부동산 안정화 효과

 

스마트워크의 경제적 효과

Insight for Next #5
- 국내의 스마트워크가 도입되지 못하는 이유가
  문화(인식)과 일하는 방식 때문이지 않을까?
▷리포트가 말한 협업의 불편함이 해소된다면
    or (노동 세대교체로) 불편함을 모르게 된다면
    그럼에도 불구하고, 수도권에 살려고 할까?

▷Team base로 일하는 분야일수록 
   스마트워크에 대해 도입하는 시점이 느릴 듯,
   하지만 스마트워크가 대세라면 앞으로는
   스마트워크 환경 아래에서 높은 성과를
   내는 것이 리더십의 차별화 기준이 될 것

▶ 기업에서 수도권 수준의 업무 환경(IT인프라),
     교육기회, 평가/보상 체계를 제공한다면
     그리하여 도시-지방간 격차를 해소한다면
     기업이 동일 임금을 주면서도,
     직원은 늘어난 가처분 소득을 누리면서,
     지방정부는 인구를 확보하는 효과를
     아무 장밋빛 미래로 그려본다.
728x90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