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돈 되고, 의미 되는 "시니어" 과제 발굴/다각도로 찾은 노인 행복 불씨

[칼럼 리뷰] 고향에서 재택근무한다?! 일본 위성 오피스

by 저녁숲 2023. 1. 18.
728x90

 인구 트렌드에서 저출산, 고령화와 함께 3대장을

뽑으라면 수도권 인구 집중이 떠오를 것이다.

이들은 서로 연관되어 있기 때문에 하나의 해결이

나머지상태를 호전시키는 결과를 낼 수 있는데,

이중 유력해보이는 것이 바로 "인구 집중"이다.

 

 이번에는 일본정부의 경제활동인구 회귀 정책을

정리하면서, 우리나라의 적용점을 살펴보았다.

 

일본의 고향 재택근무 정책

15년 부터 일본 정부와 지자체가 지역활성화와

지방의 인력부족 해결을 위해 시작한 사업으로

"도시에 있는 기업이 지방에 위성 오피스를

설치해 수도권의 기업 및 인재를 끌어오는 것"

이 주요 골자다.

 

 I턴(귀향)한 사람의 위성오피스를 통해

일 할 수 있게 함으로써 지방에서 자녀교육 또는

부모와 같이 살고 싶었던 인원을 끌어오는 것으로

일본정부는 지방의 위성 오피스 환경을

정비하는 비용을 보조해줌

 

일본 야후재팬 직원의 위성사무실 사용, 출처 - 야후재팬

 

 이는 코로나 사태로 많은 사람이 재택근무를

경험하고, 대도시 밀집의 위험을 느끼는 반면

지방의 ICT 환경과 오피스 시설이 갖춰지며

일할 장소의 선택권이 넓어진 사회현상임

 

지방의 재택근무 유형

1) 기업경영을 강화하거나

내용
스마트 시티 추진 스마트 시티 실현에 필요한 IT기업의 위성오피스 및 연구 기능 유치
신사업 창출 클러스터 지역의 산업창출과 성장에 기여하는 기업의 위성 오피스 유치
사업지속력 강화 및
거점 다양화 추진
수도권에 크게 영향을 주는 재해 위험을 고려해
본사의 백업 오피스를 지방으로 유치함
인재 확보 경쟁이 치열하고 이직률이 높은 직종 및 부서를 지방으로 이동하여 인재를 확보 및 육성함

 

2) 직원의 새로운 라이프스타일을 장려함

종류 내용
워케이션 다양한 기업 및 개인사업자에게 워케이션의 장을 제공하고, 지역 기업과 제휴함
지역 공헌 직원이 본사업무를 하면서 부업으로 애착을 가진 지방에 공헌할 수 있도록 지원함
육아 지원 자녀양육 세대가 일할 수 있는 공유형 위성 오피스 설치로 젊은 세대의 지방이주 촉진
지역 재택근무(간병) 부모 간병을 위해 지역으로 온 직원이 IT로 업무를 할 수 있게 제공함

 

 

일본 고향 재택근무 주요 사례

 

시가현

 16년부터 재택근무, 위성오피스, 모바일 워크로

공무원 4000명 이상이 재택근무를 하며

커뮤니케이션은 웹회의 시스템으로 해결하고,

자료 공유를 자택, 출장지에서도 가능하도록 함

 

히로시마현

 지역기업의 재택근무 여건(커뮤니케이션) 환경을

위해 정비사업 중이며, 탄력적인 근무 기업 비율을

20년까지 80%까지 높이는 것을 목표로 함

 

나가노현 시오지리시

 옛날 여관을 개조한 공유 오피스를 설치하거나,

학교 유휴시설을 위성오피스로 만들었으며

재택근무 클라우드로 버츄얼 오피스를 통해

지방거주-도시 기업 업무를 할 수 있도록 함

 이를 통해 연간목표 4억5천만엔의 경제

파급효과를 거두고, 생산성 또한

업무생산성 비율을 크게 개선함(17% →78%)

*워라밸 만족도(41% → 94%)

 

 

 

 

 

 

 

참고 아티클

 

[뉴스리뷰] 10년 전 예견된 일본 지방소멸, 어떻게 대처했나?

동아일보 서영아의 100세 카페 리뷰 ① 일본은 지난 14년 총무상인 마스다 히로야가 보고서에 '지방 소멸'이란 표현을 처음하며, 2040년이 되면 일본 지방정부의 1727곳 중 절반이 사라질 것이라고

ready-for-next.tistory.com

 

 

[뉴스 리뷰] 인구 또한 부익부 빈익빈, 지방이 없어진다

한경's [줄어드는 인구 소멸하는 한국] 시리즈 리뷰 ① (1) 인구 재앙…지자체 절반 '소멸위험' [요약] 전국적으로 30년 뒤 인구소멸이 예상되나, 지방은 광역시, 읍/면/리 상관없이 이미 소멸 중으

ready-for-next.tistory.com

 

원문 기사

https://www.joongang.co.kr/article/25039195

 

728x90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