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돈 되고, 의미 되는 "시니어" 과제 발굴/다각도로 찾은 노인 행복 불씨

[Case] 2020 노인일자리 사업 우수사례

by 저녁숲 2022. 9. 28.
728x90
요약 : 노인일자리 사업단의 Best Practice 소개 by 한국노인개발원
단순 일자리 제공이 아닌, "지역/경력/파견처"와 시니어간의 Matching을 통한 차별화 가능


#1. "지역특성과 어르신 경력 Matching 시너지" - 대구서구 시니어 클럽
- 전통적인 섬유 생산단지인 대구 서구 지역 및 시니어 인력을 제대로 활용함
Input : 지역에서 배출되는 소재 e.g. 커튼, 블라인드, 데님, 필름지, 수입원단)
Process : 한국업사이클센터 협약을 통해 경력 시니어 업무 교육 후 투입
Output : Up사이클 제품 생산 e.g. 마스크, 에코백, 앞치마, 팔토시
*대구 서구 內 한국섬유개발원, 염색산업 단지, 의류봉제 지원센터 등 위치

- 시니어의 지원이유가 단순 경제적이유 + α 존재
: 관련 기술 소지 및 경험한 인원으로, 평생 쌓아온 경력의 활용하고 싶은 Needs 존재

- 코로나19로 인해 마스크에 대한 수요 폭증으로 매출액 2년간 약 9.3배 증가

대구시니어클럽 3년간 성과 추이


#2. "(육성 가능한) 전문성 필요 Task 처리" - 경남성산시니어클럽
- 산업재해 전문지식을 보유한 시니어로 산재 노동자의 민원 업무 지원
- 전문성을 위해 시니어의 업무 투입과 함께 직무/보수 교육 동시 진행
- (신규사업이기 때문에) 시범사업 장기화를 위해 사업체계화 진행 >> 메뉴얼 확보
: 위탁관리 협약 체결 + 사업 수요조사 시행
+ 근로복지공단~한국노인인력개발원~시니어클럽간 사전간담회진행



#3. 시장 Targeting "행복도우미 파견사업" - "강원동해 시니어 클럽
- 보육시설 업무 지원 도우미 파견
- 자체 홍보물 발송으로 수요처 증가(20%↑)
- 참여자 거주지 기준으로 수요처 선정하여 출퇴근 부담 절감
- 시설 간 업무량 편차조절→ 효율성 향상
*하루 3시간*주5일 근무가 적정 업무시간
+월 71만원이 높은 수준 + 4대 사회보험 가입도 큰 Merit
- 수요처를 보육시설로 좁혀 서비스 구매자가 보육에 집중하고,
그외 Laurndy Task(잡무)를 지원하며 의미와 효과를 둘 다 거둠













Insight for Next #3
- 단순 노동력 공급이 아니고, 그렇다고 (프리랜서, 자문 등의) 고급 전문성은 아닌,
"어중간한" 전문성으로 Selling을 할 수 있는 Spot 무엇인가?에 대한 중요한 Hint!
▷ 시험해볼 만한 가설을 몇가지 세울 수 있음
1) 산업 단지 등의 공통된 특성을 가진 지역과 거주 시니어층을 활용
2) 서비스 분야 경력 시니어의 재교육 및 매뉴얼 시스템을 통한 투입
3) 단순 노동력 중심 서비스도 시니어 입장에서 Matching으로 Volume up
▶ 노인 일자리 Matching에서 유념해야할 특성 중 한 부분이 아닐까...


원문 : https://kordi.or.kr/m/content.do?bid=266&mode=view&page=&cid=435366&cmsId=179

 

한국노인인력개발원

재정지원일자리 서브페이지 컨텐츠 ※ 노인일자리사업 및 한국노인인력개발원의 주요 사업관련자료을(를) 게시하는 페이지입니다.

kordi.or.kr

 

728x90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