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버산업은 베이비부머의 시니어 진입으로
빠르게 확대될 전망이며, 해외 사례를 볼 때
예방적-삶의 질을 높이는 방향으로
요양원 / 맞춤형 / 주거환경 / 일자리 산업의
다양한 방면으로 나타날 전망임
[실버 산업 정의]
노화로 발생하는 신체적-정신적 자립도 감소를
경감시켜 인간다운 삶을 유지-발전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개발된 제품과 서비스
: 신규로 출시한 고령친화적인 제품&서비스
+기존의 제품 & 서비스에 고령친화적인 기능 적용
+ 모든 연령에게 사용되는 제품 & 서비스
[베이비 부머로 인한 실버산업 팽창 전망]
고령화된 국가의 경우, 베이비 부머 세대의
은퇴연령 진입으로 실버산업이 활성화되었음
- 미국(46~64년생) : 인구 30% , 11년부터 65세 진입
- 일본(47~49년생) : 인구 7.7%, 12년부터 65세 진입
*전체 대비 고령층 소비력: 미국 88.8%, 일본 100.7%
한국은 25년 노인 인구가 20% 넘는
초고령사회에 진입할 전망이며,
고령층의 선호에 맞는 제품 & 서비스 필요함
[실버산업 혁신사례]
노후 생활을 활동적 노화, 생활만족감 및
자아실현 증대의 품격있는 삶으로 인식함
▶ 고령층 독립성 확대, 소외 해소 목적으로
다양한 혁신이 이뤄짐(장수경제)
① 요양원의 중심 이동
: 의료모델 중심 → "주거모델(Habitat)"
(서구권 - 에덴 얼터너티브)
대규모 시설의 요양원을 소규모 주거로 전환하고,
고령층이 동/식물, 주민과 쉽게 교류하도록
전환하는 요양원 운영 컨설팅 기관을 운영함
: 가정돌봄기관(홈) + 인지돌봄(라이프롱 리빙)
▷ 19년 19개국 확대, 요양원 컨설팅&교육 제공
(일본 - 아오이케어)
공간개방으로 지역과 연결된 치매고령자용 요양원
: 치매고령층이 거주(치매고령자 그룹 홈) +
낮에 방문하여 지역민과 소통(개방공간)하도록
요양원 공간을 구성함
▷ 기존 요양원의 고립되는 단점을 극복하고,
빵 나눔/판매 등의 접촉을 늘려 "제2의 가정化"
② 개인맞춤형 고령자 기술(Gerontechnology)
(AI 기반 돌봄 서비스 - Care Angel)
스마트폰을 통해 인공지능이
독거 노인의 일상을 모니터링하고,
위험을 사전에 예측하여 필요한 돌봄 서비스를 제공함
: 고령자의 건강 상태 / 약 복용 / 안부의
질의응답을 텍스트화해 모니터링 자료로 활용함
▷ 가족 및 돌봄 제공자에 정기 건강문진 리포팅 전달
+ 위험시 응급 알람 메시지를 가족 or 의사에 전달
+ 즉각 도움을 위한 자체 의사방문 or 가상의료 상담
(시니어 외로움 해소 - Rendever)
VR 콘텐츠를 제작-보급해 고령자의 사회적 고립감 해소
: 가상현실을 활용한 여행 및 방문 등 콘텐츠 개발 제공
→ 함께 즐기는 소셜/건강 증진 프로그램으로 확대
*초기 관광지 중심 VR 콘텐츠 개발에서
태양계 여행, 반 고흐 감상 등 교육/예술분야로 확대
▷ 실버타운 등 B2B 대상으로 30~400달러 구독료 지불시,
태블릿, VR기기, 콘텐츠, 기술 지원을 서비스 받음
(기존 프로그램 비용을 대체하여 추가비용 부담 小)
③ 세대통합형 주거환경
(유치원과 노인주거시설 통합 - 고토엔)
재가요양 보호센터에 유치원이 설립되어
교류를 한지 10년 쯤 된 뒤 두 시설을 통합함
: 아이, 고령층이 함께 인사 및 운동 후 일과 시작
+ 점심에 고령자가 아이들에게 책 읽어주거나
선생님과 함께 아이의 돌봄 보조
▷ to 고령층 : 돌봄으로 자존감, 독립감 ↑
to 아이들 : 어르신을 이해하고, 배울 수 있는 기회 有
(일자리로 마을 살리기 - 오가와촌)
고령층이 만들 수 있는 전통음식을 젊은 층이 상품化
: 전체 인구가 40%인 초고령 마을이었으나,
마을 전통음식 "오야키"를 만들어 특산물로
유명세를 탄 이후, 마을 인구도 증가함
④ 생산적 노화
(고령층用 에어비엔비 - 프리버드 클럽)
여행을 좋아하는 고령자 위해 고령자들이 집/방 대여
: 에어비앤비보다 고령자 친화적인 장소/숙소 요구
+ 전화로 예약받을 수 있고
+ 연락하면, 집주인이 여행자 인적사항 보고 예약 결정
*고령층을 더 잘 이해하는 고령층이
스스로 생산자가 될 수 있다는 BM 성공 사례
(은퇴고령층이 참가하는 도우미 서비스 - 엄브렐라)
은퇴 시니어가 고령층의 독립을 돕기 위해 도우미 제공
: 은퇴한 고령층이 자신의 전문성을 활용해 참여
+ 인터뷰*범죄기록*주변인 추천의 엄격한 선발과정
+ 배달 외에도 집 수리, 청소, 정리 등 여러 서비스 제공
▷ 본인이 일할 수 있는 시간을 정하고 + 부수입(시간당 2만원)
+ 지역 거주 고령층을 도울 수 있어 인기
[실버산업 진출에 대한 제언]
고령자는 천편일률적인 동일집단이 아니라,
다양하고 이질적인 세분화된 집함체임
노인 통계학에서 밝히는 것처럼
시간이 지나며 사회적 고립과 건강악화에
시달리는 시니어에 대한 Biz 해결이 절실한데,
이는 하나의 Niche를 찾음으로 가능해보임
Insight for next #9
- 여러 유형의 해결책이 나열되었으나,
시니어의 근원적인 문제(Pain-point)는
"사회적, 육체적인 건강"으로 동일하며,
주거형태, 공동체, 기술적용, 일자리의
혁신 Case을 통해 시사점을 뽑고 싶음
▶ 사회적 건강은 두 가지가 필요한데,
1. 공동체로서 연결되는 것으로
연결 대상이 동/식물, 사람,
심지어 가상공간이 될 수 있다.
2. 자기 효능감을 통한 자존으로서
공유경제, 플랫폼, 전통 과업 등
경제활동이 그 방법이 될수 있음
▷ 육체적 건강은 현재 IT스타트업의
많은 사례가 보이긴 하는데,
시니어 의료의 특징으로서
가족(돌봄 제공자)까지 고객범주화
+ 응급의료에 대한 Care까지 필요
+ 즉시 조치 가능해야한다는 점이
의미있는 시사점으로 보임
*언젠가 시니어 사업 아이템을 할 때,
비즈니스의 근원적인 고각가치제안을
"사회-육체적 건강"으로 설정하고픔
참고할 만한 블로그 글
https://ready-for-next.tistory.com/m/45
[논문 리뷰] 일본 노인일자리 사업을 통해 보는 시사점 by 김찬동
4년전 한국과 일본의 노인일자리 정책의 근본적인 패러다임 비교를 한 글로써, (안타깝지만) 지금도 유효한 것으로 보임 >> 저소득 고령자 대상의 복지정책을 넘어, 전 연령대가 참여하는 고용시
ready-for-next.tistory.com
https://ready-for-next.tistory.com/m/23
[리서치] 실버시장 규모 및 현황, 그리고 전망
요약 : 인구 고령화로 실버산업은 글로벌적인 증가로 매력적인 시장으로 부상할 것임 + 시니어의 세분화를 통해 차별화된 비즈니스 전략이 필요함 1) 전세계 인구의 고령화 심화 ① 글로벌 전체
ready-for-next.tistory.com
'돈 되고, 의미 되는 "시니어" 과제 발굴 > 다각도로 찾은 노인 행복 불씨'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타트업 리스트] #1. "폐지 줍는 노인을 위한" 스타트업들 (1) | 2022.10.31 |
---|---|
[리포트 리뷰] 할매니얼들 윤며들다 : MZ세대를 감동시키는 디지털 어른들 by KB 금융지주 경영연구소 (1) | 2022.10.26 |
[논문 리뷰] 일본 노인일자리 사업을 통해 보는 시사점 by 김찬동 (0) | 2022.10.14 |
[뉴스 리뷰] 노인 일자리 정책의 명과 암 (0) | 2022.10.10 |
[Case] 2020 노인일자리 사업 우수사례 (2) | 2022.09.28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