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돈 되고, 의미 되는 "시니어" 과제 발굴/초고령 사회 현상과 문제들

[보고서 리뷰] 은퇴를 하고 난 뒤, 달라지는 재정 상태와 소비 지출

by 저녁숲 2023. 1. 2.
728x90

하나금융그룹 100년 행복연구센터(2205)

대한민국 퇴직자들이 사는법

 

 

19년 기준 우리나라 직장인은 평균 49.5세에

퇴직하나, 국민연금 수령 시작시점은 62세로

10년 이상의 Gap이 존재하는 상황임

출처 : 하나금융 100년 행복연구센터

 

퇴직자 생활비 평균은 월 252만원으로

2/3가 퇴직 전 대비 생활비를 28.7% 줄였음

출처 : 하나금융 100년 행복연구센터

 

[퇴직 후 경제활동]

퇴직자 대부분 생활비를 경제활동에 의존하며,

경제활동을 못하면 1년 내 형편이 어려워지는

경우도 많음

- 퇴직자 중 55%가 재취업(37%) or 창업(19%)

- 미취업자 중 64.8%가 취업대기자이며

- 퇴직자의 배우자도 절반이상(59%) 노동함

  *부부 경제활동 비중 85%

- 경제활동 중인 가구의 수입은 월평균 394만원

  (맞벌이 513만원, 외벌이 331만원)

출처 : 하나금융 100년 행복연구센터

 

[노후대비]

54.2%가 노후 대비를 위해 월 110만원 저축 중

노후 걱정 이유는 의료비(72%), 노후자금 부족(62%),

자녀 결혼비용(56%) 순이며 54.4%가 주택연금을

노후의 비상수단으로 활용할 것이라 답함

출처 : 하나금융 100년 행복연구센터

 

[퇴직 후 life]

65.4%가 퇴직 후유증을 겪는데,

55세 이전 남성일 수록 가장으로서 압박으로 심함

(일을 재개하면서 후유증을 털어냄)

출처 : 하나금융 100년 행복연구센터

 

퇴직 후 여가 활동에 일 평균 2.6시간, 월 평균 14만원 지출

주로 배우자와 함께 하는데, 대부분(61%) 이전 대비

비슷하거나, 줄어들었음

∵ 돈 부족(48%), 일하느라 시간 부족(31.3%)

 

[노후 준비 완성한 金퇴족]

노후 준비가 충분히 되었다고 평가하는 금퇴족의 경우

출처 : 하나금융 100년 행복연구센터

 

① 연금에 일찍 가입하여 노후준비 완성시기를 앞당김

*연금 가입률 30대 초 28%, 40대 46% ↔ 32%

출처 : 하나금융 100년 행복연구센터

 

 

② 투자금융자산을 활용

26.8%가 25세 이전 주식, 편드, 파생으로 자금 운용 경험

30대 후반부터 절반(47.6%)이 투자금융상품을 활용

출처 : 하나금융 100년 행복연구센터

 

③ 지속적으로 정부 수집 및 자금 운용

금융사 자산관리 설명회, 친구/지인, 투자정보 도서,

인터넷 등을 통해 정보 수집

 

④ 내집 마련으로 주거 안정성+비상 재원 확보

82.7%가 주택을 보유(↔일반 퇴직자 74%)하며

주택연금이 비상노후재원인데 평균 72세에 월 174만원 수령

출처 : 하나금융 100세 행복연구센터

 

 

⑤ 부동산으로 현금흐름 창출

72%가 주택 외 부동산 보유

: 주택 47.6% > 토지 25.6% > 상가 13.4% > 오피스텔 12.2%

출처 : 하나금융 100세 행복연구 센터

 

원문 URL

http://www.hanaif.re.kr/boardDetail.do?hmpeSeqNo=34410 

 

728x90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