벌써 Biz Goal Tree의 3번째이자, 마지막 Article이네요.
이 글은 비용에 대해 다룰텐데 결론은 "운영 효율화는 비용 항목이 다른 항목으로 전환되는" 패턴이 흔하다 입니다.
매출규모가 작고, 이제 Biz를 시작한 스타트업의 경우, 변동비일 때 전체 비용이 가장 적을 경우가 높고
매출 규모가 클수록 커지는 변동비를 제어하기 위해 이를 고정비로 치환하며 규모의 경제로 분산시키는 것이 기본입니다.
IT전략 특히, 디지털 전환(Digital Transformation)에 대한 전략의 경우 그 효과를 매출 증대보다는 비용절감으로 푸는 것이 편한 경우가 많습니다. 예를 들어 AI를 통한 광고최적화 알고리즘을 제안한다 했을 때, 이를 통한 매출 상승을 얘기하기에는 변수가 많아 기대효과에 대해 공감을 하기 어려울 수 있습니다. 차라리 사람이 했을 때 걸리는 시간과 인건비보다 프로그램을 이용했을 때 걸릴 시간과 유지비에 대한 차이를 보여준다면, 보다 확실하게 판단되기 때문에 의사결정을 더 확실히 받을 가능성이 높아지게 됩니다.
그렇다면 이러한 비용 절감 효과는 어떤 것들이 있을까요? 주로 이야기 하는 것은 업무 Task별로 걸리는 시간, 투입되는 노동량(effort), 원재료(데이터 포함) 정도가 떠오르네요. 거기에 개인적으로 추가하고 싶은 것은 확실성(성공확률)입니다. 사람이 했을 때 경험적으로 얻은 실패확률과 알고리즘 등을 통해 발생한 실패확률의 차이, 그리고 이를 (퇴직, 이직, 근태 등으로 인한)사람 리스크 없이 진행할 수 있다는 부분은 회사에 큰 Merit를 주는 것이 현실입니다.
끝으로 어떤 비용항목이 있는지에 대한 내용으로 이 글을 마무리하고자 합니다.
업종, 회사마다 비용계정이 다를 수 있지만 일반적으로 어떤 항목이 있는지 정리하는 수준이라도 의미 있을 것 같습니다.
2.1. 고정비 절감 : 매출과 상관없이 꾸준히 돈이 드는 항목이 무엇인지 생각해보세요.
2.1.1. 인건비 절감 : 매출이 늘수록 고용규모도 늘 수 있겠지만, 채용이란 의사결정 및 절차가 있기에 고정비로 분류
- "임직원"이란 말을 분해해서 우선 임원과 직원으로 나눠서 생각해보길 추천합니다.
- 그 뒤 직원은 다시 부서별로 제품/고객과 관련된 Front 부서인지, 파트너/내부와 관련된 Staff 부서인지로 나눠 보세요.
2.1.2. 개발 비용 : 당장 매출내기 힘들때, 가장 조치하기 쉬운게 연구/개발 비용이죠
- 개발비용은 개발하는 대상이 무엇인지를 기준으로 판단해보세요.
- 왠만큼 규모가 있는 곳이 아닌 이상, 개발을 외주 용역으로 해결하거나 파트너십으로 대체하는 경우도 많습니다.
2.1.2. 개발 비용 : 당장 매출내기 힘들때, 가장 조치하기 쉬운게 연구/개발 비용이죠
- 개발비용은 개발하는 대상이 무엇인지를 기준으로 판단해보세요.
- 왠만큼 규모가 있는 곳이 아닌 이상, 개발을 외주 용역으로 해결하거나 파트너십으로 대체하는 경우도 많습니다.
2.1.3. 기타 비용 : 말 그래도 회사가 "숨만 쉬어도" 계속 나가는 항목에는 감가상각/임대료/재무비용 등이 있습니다.
- 감가상각은 자산이 시간에 따라 가치가 떨어지는 비용으로 부동산 같은 유형인지, 특허같은 무형인지로 나누세요.
- 임대료는 공간임대 또는 생산설비 임대, 업무 장비 등 임대가 있겠죠.
- 재무비용은 자본과 채무에 대해 정기적으로 발생하는 비용 + 세금을 고려하시고요.
- 그외 운영비로 퉁치며 복리후생비, 소모품 비 등 잡비도 빼먹으면 안될 거 같군요.
2.2. 변동비 절감 : 매출에 따라 증감한다는 것은 Value Chain별로 부가되는 비용으로 해석하면 쉽습니다.
2.2.1. 생산비 절감 : 생산하는 것이 제품이냐, 서비스냐, 둘 다냐에 따라 비용구성이 달라집니다.
- 제품은 "재료>>가공>>재고자산 변동>>유통(물류)비용"의 흐름을 생각해보시고,
- 서비스는 주체가 누구인가로 봐서 고용비/업체 수수료로 나눈 뒤, 서비스 회당 소모품을 생각해보십쇼.
- 그외 판매관리비용으로 광고/영업/마케팅 비용과 기타 매출상승에 따른 성과급이 있겠네요.
지금까지 정리한 Biz Goal은 해봐야 4, 5단계 수준으로 실제 사업전략 측면에서는 2,3단계는 더 들어가야
실무자들도 이해할 수 있고, 실제 돈의 흐름이 보일 것이라 생각합니다. 하지만 큰 틀은 크게 바뀌기 어려우니,
아무쪼록 도움이 되었길 바라겠습니다. 감사합니다.
'준비된 상태로 "현실" 살기 > 실전 멘탈 키우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일+머리] 일 잘러's 관찰일기 #2. Message (0) | 2022.09.19 |
---|---|
[일+머리] 일 잘러's 관찰일기 #1. Mindset (0) | 2022.09.18 |
[Be Super 乙] Challenge & Defense Case #1 (0) | 2022.09.14 |
[Issue Tree] #2. "고객 중심"으로 포장하고 싶다면 객수/객단가를 살펴보자 (0) | 2022.09.06 |
[Issue Tree] #1. "내가 이 일을 왜하나"를 모를때 Biz Goal Tree를 그려보자 (0) | 2022.09.05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