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왔으나, 알지 못한 "미래" 보기/IT Trend & Keyword

[IT Big Trend] #1. Web 3.0 ④ 활용사례 “X2E”

by 저녁숲 2022. 11. 15.
728x90

[스테픈 / Stepn]

NFT 기반의 생활결합형 무브투언 운동 App
: 가상의 NFT 운동화를 구매한 뒤, 걷거나 뛰면
  경제적 보상으로 토큰이 제공되는 서비스

 

출처 : 매경프리미엄



- 걷기용, 런닝용 등 사용목적에 맞는 타입 선택
  & 디자인/색을 선택해 운동화 그림 NFT 구매
  > 야외에서 걷거나 뛰면, NFT 타입/성능/특성에
     따라 매일 일정한 양의 토큰을 받음

출처 : https://kr.beincrypto.com/


- 토큰을 사용해서 [1] 타입 - 걸을지, 뛸지,
  [2] 성능 - 하루에 보상을 얼마나 받을지,
  [3] 거리 - 얼마나 많이 걷거나 뛸지 설정
  > 보상받은 토큰이 인앱에 저장되어,
     외부 코인거래소에 판매 가능(수익창출)

- 유저가 스테픈 커뮤니티에 참여
  : 규칙적인 운동과 경제적 수익을 얻는 의미
    (뛰벌스 - 스테픈 오프라인 런닝 커뮤니티)

*22년 5월 - 글로벌 월 사용자 170만, 일 활성고객 30만
**스테픈 이용과정

 

출처 : https://kr.beincrypto.com/


- 기존 만보기 앱과의 차이점
  [1] NFT 운동화 구매에 따른커뮤니티의 높은 충성도
  : 초기 높은 투자비용 부담 >> 소속감 및 충성도 높임

  [2] NFT-토큰보상을 통한 커뮤니티 참여 유도
  : 토큰 보상수준이 NFT운동화 레벨럽 공략에 따라 결정
    >> 커뮤니티 및 게임에 대한 몰입도 높임

  [3] 활성화된 커뮤니티로 서비스의 지속성 획득
  : 유저가 본인 운동계획 및 레벨업 공략을 공유(컨텐츠화)
    or 자신의 운동화 자랑하거나, 수익인증하며 관심 유도

[스포츠 브랜드의 NFT 활용]

(1) 나이키, NFT 운동화 ‘크립토킥스’ 출시
구매시 고객이 스마트폰 AR촬영 기능과
현실 세계의 한정판 실문 운동화를 제공 받음
+ 고객이 크립토킥스를 재판매할 때,
   나이키가 재판매 수수료를 수취함

   *재판매 시장서 나이키 비중 크지만, 매출 루트는 X

(2) 아디다스, Adidas Originals, Into the Metavers
Web 3.0 메타버스 플랫폼에서 3만개 NFT 컬렉션 발행

- NFT 보유자에게 NFT 디자인과 똑같은 한정판
   의류를 실물로 제공하며, 가상세계 가치를
   현실세계에 구현한 ‘NFT 한정판 의류’로 부가가치화

- NFT컬렉션은 보유자에게 실물로 제공된 후,
  Phase 2 NFT로 변환되어 아디다스 NFT 멤버쉽으로 사용

[X2E 비즈니스 트렌드]

NFT 블록체인 기반 서비스가 “토큰 보상 시스템”을
통해 “돈을 버는 서비스”의 구현으로 이어짐

초기 M2E(Move to Earn) 등 게임, 운동에서
크리에이트, 콘텐츠, 러닝, 디자인으로 영역이 확장중

*스테픈 - 캐시워크 비교

출처 : 조선 Biz






참고자료
https://www.lgbr.co.kr/uploadFiles/ko/pdf/busi

728x90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