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준비된 상태로 "현실" 살기/실전 멘탈 키우기

[Biz Approach] Intro. 컨설턴트의 Output이란?

by 저녁숲 2022. 11. 1.
728x90
여러분은 "프로는 결과로 말한다"는 말... 
구식이긴 하지만, 들어보셨을 겁니다.

컨설턴트는 쉽게 말해 글쟁이 입니다.
"문서"를 결과물로 하는 사람으로
① 청자에게 메시지를 던지고, 
② 동의를 얻는 것이 목적인 직군이죠.

Biz Approach 시리즈에서는
각 상황과 문제 유형별로 
어떤 메시지를 어떻게 구성해야
이해와 동의를 얻기 유리한지에 대해
정리해보고자 합니다.

*그동안 진행했던 프로젝트를 성공/실패 사례를
  토대로 민감 정보는 비식별 처리할 예정임

 

 "컨설팅이 열렸다"는 말 들어보셨나요?

한국 말로는 자문이라는 뜻의 컨설팅은
"*회사에서) 결정내리기 힘든 이슈에
 대해 답과 근거를 얻고자 외주를 주는 것"

보통 말합니다.

 

 컨설턴트의 산출물은 바로 그 이슈에 따라

달리지게 될텐데요. 대상과 목적을 기준으로

잡는다면, 크게 3가지로 묶을 수 있어 보입니다.

 

① 보고서 - "A를 해야 합니다, B 이유 때문에요"

 전략, IT, DX, 운영혁신, 재무 등 외부 컨설팅 사를

이용할 경우, 나오게 되는 것이 "보고서"입니다.

 

 가장 범용적으로 적용될 수 있겠는데, 고객(사)가

궁금한 질문에 대한 답과 그 근거를 정리한 문서로

표현할 수 있습니다.

 

 보통 [현황에 대한 평가(진단), 내/외부 분석 결과로

가야할 지향점, 이 둘 차이를 해결할 수 있는 방법]

정도로 메시지가 구성됩니다.

 

이런 판단과 결정은 내부에서도 할 수 있으나,

전문적이고 객관적으로 판단과 전략이 제시되야

내부 경영진 설득이 수월하기 때문에 컨설팅은

부분 이런 류의 문서로 결과물이 도출됩니다.

 

② 기획서 - "A를 잘하시려면, C로 하세요"

 성공적으로 컨설팅 프로젝트가 끝났다해도

그 메시지는 보통 경영진(Top)을 위한 것이지,

실무자(Bottom)의 관점에선 너무 어렵거나,

추상적이라 이해가 안될 수 있습니다.

 

 실무자 입장에서 "A가 필요한 건 동의하는데...

그래서 뭐 어쩌라는거지?"에 대한 답이 바로

"이런 계획(C)을 따르세요"의 기획서입니다.

 

 제시된 전략을 실행하기 위한 행동 지침서인데,

개인이 아닌, 기업 및 조직의 행동을 다루는 만큼

[시점, 비용, (인적) 자원, 기대효과]이 담겨야 합니다.

*실무자가 Boss or 경영진에게 허락과 비용을 따내기 위해

 

③ 제안서 - "A를 원해요? 저희를 쓰면 이득(D)임"

 전략 or 실행안을 제시하는 컨설팅이 시작되려면?

고객사가 곧장 컨설팅사에게 의뢰할 수 도 있지만,

그러기에는 현실적으로 몇가지 변수가 존재합니다. 

1) (가능한) 컨설팅 사가 여러 군데 일 수 있고

2) 그중 가장 최선의 컨설팅사가 어딜지 알기 어렵죠

3) 심지어 본인이 뭘 원하는지에 대해 명확하거나,
     내부적으로 합의되지 않은 경우도 흔합니다.

 

이런 맥락에서 컨설팅을 시작(수주)하기 위해 

컨설팅 사는 제안서를 작성합니다. 

(역순으로 변수를 풀어본다면)

3) 지금 필요한 것은 A(프로젝트 내용)이고,
2), 1) 우리 회사는 이중 D라는 점에서 
         가장 이 문제를 풀 적격임을 어필합니다.

 

 경우에 따라 컨설팅 사는 프로젝트 최종보고에

제시된 전략 혹은 실행안이 성과와 이어지기 위해

또 다른 이슈(과제)를 지적하고, 이걸 해결하기 위한
후속 프로젝트를 다시 한번 제안합니다.

*컨설팅 목적은 후속 컨설팅에 있다는 자조가 나오는 대목

 

 쉽게 말해 컨설팅 영업의 결과물이 제안서라고 

보시면 됩니다. 컨설팅 서비스를 사고 파는 차원에서

[고객사 상황(요구사항), 과제, 실행방안,
(컨설팅사가) 성공할 수 있는 이유, 비용] 정도가

담겨야 합니다.

컨설턴트의 3대 아웃풋

 그럼 앞으로 이런 3대 아웃풋의 관점에서

각 상황과 문제 유형별로 어떻게 메시지를

구성하고, 근거는 어떻게 붙였었는지,

그것의 성공과 실패는 어땠는지 

연달아 정리해보도록 하겠습니다.

728x90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