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eyword : SuperApp, ESG, Chronic Disease Healthcare
#1. SuperApp
Why?
하나의 App 서비스를 쓰는데 걸리는 시간이 단축되며,
이렇게 Save된 시간이 다른 앱실행 or 콘텐츠 소비로 이어짐
→ 앱을 강화해 기업들이 고객의 체류시간을 늘리고,
경쟁사 앱으로 이탈하지 못하게 막대한 투자를 함
What!
각 영역의 앱이 하나의 플랫폼 안으로 통합된 형태의 앱
→ 모듈식 Mini App을 플러그인 방식으로 결합
다양한 기능과 콘텐츠를 소비하며 고객이 남긴 흔적(데이터)를
고객여정지도를 만들어 고객의 욕망과 필요의 순간을 파악
▶ 고객맞춤형 신상품 개발(고객 추가 확보)
or 추가적인 서비스 제공(고객 이탈 방지)
For What?
하나의 앱에서 일관된 경험의 기능을 연속적으로 제공하며
하루 중 기능 단위의 체류시간을 최대한 가져오는 것 목표로 함
*지갑점유율(share of wallet) 개념이 시간에 까지 적용된 것
@금융산업
금융 모바일 플랫폼이 슈퍼앱으로 강화되며,
고객 라이프사이클 전반에 걸친 연속적이 금융서비스로 확장함
#2. ESG in Manufacturing
Why?
제품 제조과정에서 탄소배출 or 탄소국경세 적용등으로
제조업에서 ESG의 영향이 두드러짐
- 23년 10월부터 EU 탄소국경세 시범운영
- ESG 공시의무화 추세 강화
→ 국내, 25년부터 자산 2조 이상 상장사,
30년부터 모든 코스피 상장사 대상
의무적으로 ESG 수치 공시
- ESG로 인한 제품불매 or 브랜드 타격 발생
*중대재해처벌법
*ESG = 비재무요소 환경, 사회, 지배구조로 기업의 지속가능성 달성을 위한 핵심요소
What!
Digital ESG : ESG경영을 위해 DX기술 접목
유형1) Net-Zero 체계 구현
- 온실가스 배출량을 수집, 검증된 배출량을 공유, 정확한 보고 제공
- 기업이 소유/통제하지 않는 간접배출 포함한 Scope3까지 관리범위 확대 중
*온실가스 배출량 Scope
Scope1 : 기업이 소유/통제하는 발생원에서 발생 → 보일러, 터빈, 소각로, 화학공정
Scope2 : 기업이 외부에서 구입한 간접적 배출원 → 구매전력, 수도, 폐기물 배출
Scope3 : 기업이 소유/통제하지 않는 시설에서 발생 → 물류, 아웃소싱 활동, 판매한 제품/용역 이용 등
유형2) 직원 산업 안전보건, 공급망 지속가능성까지 관리
유형3) ESG Data관리 플랫폼과 SaaS형 ESG서비스 확대,
+ 기업의 핵심 애플리케이션(ERP, MES, SCM)도
ESG를 위한 프로세스, 지표, 데이터를 포함
유형4) ESG와 최신 DT 기술 결합 확대
- 현장/설비 정보 수집을 위한 IoT
- 텍스트 정보에서 공시 문서 작성을 위한 AI 적용
- 공급망 데이터 추적을 위한 Blockchain 기술
#3. Chronic Disease Healthcare, 만성질환 헬스케어
Why?
우리나라 17년부터 고령사회이며, 25년 초고령 사회 진입(예정)
→ 20년 기준 65세 이상 인구 10명 중 8명이 만성질환자
*만성질환 : 오래 지속되거나, 차도가 늦은 질환
실버타운이 빠르게 증가할 것이라 예상되는데,
실버타운 內 원스탑 의료서비스 및 시설의 중요도가 높아짐
- 타운 내 24시간 응급대응 가능한 서비스
- 치매 예방 전문센터
- 맞춤형힐링케어 등 웰빙센터
- 건강상태(체중, 혈압)을 수집해 건강상태 체크 서비스
What!
디지털 만성질환 관리 서비스
: 스마트 의료기기 or 데이터분석/관리를 결합해 서비스로 제공하는 것
ex1) 텔라닥 - 원격진료외 만성질환관리 영역까지 사업확장해 고객 Lock-in
ex2) 아이리듬 - 심전도 검사기 제공 후, 심장 부정맥 or 보고서 발행
[IT Big Trend] #5. Super App ① 앱 그 너머의 앱! 이게 무슨 말?
App은 스마트 폰을 쓰는 모두에게 친숙하지만, 최근 슈퍼 앱이라는 다소 생소한 개념이 이해될 듯, 알 수 없는 식으로 나타났다. 이번 글에서는 슈퍼앱의 정의와 배경, 유사 개념(플랫폼)과의 비
ready-for-next.tistory.com
[IT Big Trend] #5. Super App ② 이 3가지가 있다면, 그건 슈퍼앱!
앞서 슈퍼앱 소개에서 밝힌 바와 같이 이 개념은 고객접점 통합을 통한 체류시간 증대란 고전적인 IT전략에서 파생된 최신 개념일 뿐이다. 그렇기 때문에 너도 나도 (마케팅 용도로) 본인 서비스
ready-for-next.tistory.com
[리포트 리뷰] 디지털 헬스케어, 팬데믹의 잠깐 유행인가? 굳혀진 대세인가?
PWC 디지털 헬스케어 개화(2206) 리뷰 ① 현대인은 의/식/주 외에도 다양한 소비를 하는데, 그 중에서도 필수적인 것이 건강과 교육이다. 3년간 코로나를 겪으며 건강(헬스케어)를 위해 병원에 가서
ready-for-next.tistory.com
'왔으나, 알지 못한 "미래" 보기 > IT Trend & Keyword' 카테고리의 다른 글
[IT Big Trend] #2. Metaverse ① 개념 및 배경 (0) | 2023.06.15 |
---|---|
[IT Big Trend] ERP, 기업의 근간이라 불리는 근본 시스템 (0) | 2023.05.26 |
[IT Big Trend] 23년 IT트렌드 ① 미래를 이끌 핵심 기술들 2편 (0) | 2023.05.25 |
[IT Big Trend] 23년 IT트렌드 ① 미래를 이끌 핵심 기술들 1편 (0) | 2023.05.24 |
[IT Big Trend] #6. My data ③ 해외에선 어떻게 Mydata로 돈 버나? (1) | 2023.01.23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