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왔으나, 알지 못한 "미래" 보기/IT Trend & Keyword

[IT Big Trend] ERP, 기업의 근간이라 불리는 근본 시스템

by 저녁숲 2023. 5. 26.
728x90

#1. 기본 개념

ERP = 전사적 자원관리 = Enterprise Resource Planning

- 기업누영에 필요한 모든 핵심업무 프로세스를 통합관리함

 

History

60년대 - 회계/재무 부문의 메인프레임 컴퓨터 시스템

80년대 - 재무, 판매, 구매, 재고, 제조 계획/일정관리하는 MRP II SW 출시

90년대 - ERP 등장

현재 - 지능형(AI, ML, RPA, IoT, NLP, In-Memory DB) 기술 적용 중,

           프로세스 효율화 뿐만 아니라,

           트랜잭션/비정형 데이터로부터 미래예측 Insight 발굴

 

주요 영역(모듈)

출처 : 당사

 

ERP 기반으로 정확한 데이터 공유/소통과 신속한 의사결정 지원이 핵심

 

[재무회계] ERP 근간인 총계정원장 관리하며,

          채무, 채권추적, 효율적 결산, 재무 보고서 생성, 재무 Risk 관리 등 제공

 

[관리회계] 내부회계 역할로, 표준원가, 운가차이 분석, 수익성 분석 담당

 

[구매/자재] 원자재 부터 상품, 간접재/서비스의 자원의 효율적 구매/조달을 지원하며

                  발주, 재고관리, 재고평가, 정산을 담당

 

[판매] 수요예측 기반 제품판매계획 수립(S&OP), 판매지원, 주문관리, 출하, 배송,

          대금 청구, 판매 실적 등 영업/판매와 물류 프로세스를 지원

 

[생산] 복잡한 제조프로세스의 간소화/최적화를 지원

           생산을 위한 자재 소요량 계획, 생산 일정 계획, 생산 실행/실적 관리 등 제공

 

ERP 실행

1) Standard

ERP가 산업/업무/국가별로 선별하여 솔루션에 탑재한 BP에 기반하여 정의한 표준화된 업무와 트랜잭션

실 구축시 기업의 의사결정에 따라 Setup함, 가장 기본

 

2) Configuration(Customzing)

ERP 내에서 사전정의된 고객별로 설정가능한 영역으로, Biz 요구사항에 따라 적용함

이를 통해 맞춤화된 업무 프로세스를 별도 개발없이 구현 가능함

 

3) CBO(Customer Bolt-On)

Standard, Configuration으로 구현하기 어려운 요구사항을 별도 개발하는 것

*But, CBO가 증가하면 시스템 복잡도 ↑, 유지보수 비용 ↑, 시스템 성능↓ 유발

                                          향후 ERP 버전 업그레이드시 많은 테스트 공수가 발생함

 

#2. SAP

SAP S4/HANA

글로벌 No1. ERP 솔루션 Player로서  '15년 S/4HANA 출시하며

기존 ERP버전의 유지/보수가 중단되며 ERP 전환이 진행중임

- 데이터모델링 및 프로세스 Simplification을 통한 최적화,

- In-Memory HANA DB 기반 성능혁신

 

출처 : SAP

 

S4/HANA 도입 방안

1) New Install

PI 프로젝트로 End-To-End 프로세스를 혁신하고, 신규 S/4HANA 시스템을 구축함

*기존 SAP 미사용 or 비즈니스 프로세스의 변화 및 구조적 혁신이 필요한 경우

 

2) S/4HANA Conversion

기존 SAP 제품 사용 고객사 대상으로

DB의 구조적 변경 + Standard Process의 기능적 변화를 적용하는 Technical 업그레이드 방식

+) 상대적 단기간 구축, EOS 이슈해결 및 성능향상

-) 근본 프로세스 혁신 및 구조 개선은 제한적

 

SAP Cloud ERP 전략

1) Public Edition → 소규모 기업 위주

+) 최신 시스템 상태를 유지하며 산업 전반의 BP를 신속히 적용,

     상대적으로 적은 초기 투자비용, 별도 유지보수 비용 불필요

 

2) Private Edition → 대기업

기업 고유 프로세스/요구사항에 맞춰 차별요소 적용 가능

유연/안정적인 환경 내 기업의 경쟁우위를 지속유지하는 맞춤형 ERP

 

#3. ERP 발전 트렌드

Cloud ERP

기업들이 초기 구축시 저렴한 비용, 확장성 우수, 기능 업그레이드 등을 고려해 도입

*Private Cloud:  Cloud ERP의 인프라/SW 유지보수 장점을 극대화하고,

                                일정 영역의 Custom Code개발을 허용

 

Intelligent ERP

기존 ERP : 트랜잭션 기록, 데이터 통합, 사후 분석/대응 중심,

                     수작업 입력에 의존(기업 내부 데이터 중심 분석)

Intelligent ERP

: 사전/선제적 감지기반, 자동화 영역(Digital Workforce) 확대

   + 내/외부 데이터 통합분석으로 실시간 미래예측 Insight 제공

 

Composable ERP

기존 "통합" 중심 ERP

→ 다양한 서비스의 신속한 적용 "조합"중심 ERP

 

과거 ERP 중심으로 프로세스 통합, 데이터 정합성 확보

개별적/일회성 Interface 개발 

But, 지속적인 개발로 복잡성 ↑, 성능 ↓, 대응속도 ↓, 비용 ↑

Composable ERP

: 통합성, 정합성을 유지하되,(느슨하게)

  업무 전문 솔루션과 Digital 신기술 연계로 사업변화의 대응력 ↑

  (Miscroservice & Open API로 비즈니스 변화에 유연하게 대응)

  기업 가치창출을 최대화 할 수 있는 가장 효과적인 시스템 지원체계를 구비하는 것이 목표

 

*SAP BTP(Business Technology Platform)

SAP의 개방형 Cloud 개발플랫폼으로

데이터 관리/App 개발, 자동화 및 시스템 통합, 데이터 분석/AI 등 신기술 요소를 포함함

▶ SAP의 모든 기술적 혁신요소가 BTP 생태계를 통해 발전함

 

Clean Core ERP in SAP

[정의]

ERP BP를 최대한 수용해 핵심 업무 프로세스 근간을 구성

& 개발이 필요한 차별화된 사업지원 기능은 별도 Cloud환경에서 제한없이 구현

▷ 유연한 아키텍처 확보 + 최신 SW버전 유지 및 신규 기능 추가로 인한 Risk 관리

출처 : SAP 당사

 

 

 1) Standard 기능 활용

- Fit-to-Standard로 ERP 표준기능을 최대한 활용하며 Process를 단순화함

- Key User도 Standard에서 허용가능한 NC/LC 기반 필드 추가/변경 및 일부 로직 추가 가능

 

2) S/4HANA 內 CBO 분리

- 동일 시스템 내 별도 분리된 공간에서 특화 개발토드 적용(API 기반 제한적 개발)

 

3) S4/HANA 外 CBO 분리

- SAP BTP를 활용해 Custom 프로그램 및 자체 솔루션 개발

- Cloud 기반 ML, AI분석, E2E 프로세스 자동화 등을 제한없이 추진

 

 

 

 

 

 

728x90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