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728x90

전체 글355

[Issue Tree] #2. "고객 중심"으로 포장하고 싶다면 객수/객단가를 살펴보자 앞서 Biz Goal을 3 Depth 까지 펼쳐보았다면, 이번 글에서는 각각의 항목을 1,2단계 더 내려가 보겠습니다. 이를 통해 실무자들의 업무 R&R 혹은 실제 하고 계신 Task와 연결지을 수 있을 겁니다. *만약 그렇지 않다면 제가 잘못 작성했거나, 독자분의 업무 목적이 무엇인지 의심해볼 필요가 있습니다. 1.1. 객수 증가 1.1.1. 유입객수 증가 : 고객이 방문하는 채널 or 접점이 무엇인지 생각해보시길 추천드립니다. 고객이 방문할 수 있는 채널은 온라인, 오프라인, 온/오프 연계(or 옴니)가 있을 겁니다. 온라인 채널은 모바일 App, PC Web처럼 Device 기준으로 나눌 수 도 있겠지만(통계에서 그렇게 분류하듯) Biz 관점에서는 직영인지, 입점채널인지가 더 중요할 수 있습니다. .. 2022. 9. 6.
[Issue Tree] #1. "내가 이 일을 왜하나"를 모를때 Biz Goal Tree를 그려보자 10년 가까이 프로젝트 형태로 일을 하면서 성공만 할 수는 없었고, 하나도 무난히 진행된 경우는 없었습니다. 쉽지않은 상황에 놓일 때마다 임기응변도 중요했지만, 돌이켜보면 컨설턴트로서 C레벨 경영진과 소통하며 "그들이 생각하는 상황과 원하는 답, 그걸 뒷받침하는 근거로서 나의 프로젝트가 어떻게 연결되는가"가 문제 해결의 Key였던 경우가 기본이었습니다. 한번은 디지털 전환(DT)를 위한 장기 프로젝트가 실패(파트너십 결렬)로 돌아간 뒤, 대표이사와 2시간 정도 독대하며 그가 생각했던 디지털 전환을 위한 전략구상을 들었던 적이 있었습니다. 아직까지도 그때를 떠올리며 혼란스러울때 멘탈을 다잡는데 쓰고 있습니다. (대표) **대리! DT는 왜하냐? (나) 고객이 원하는 바를 채워주기 위해서 지금의 방식으로는 .. 2022. 9. 5.
[고령화 뉴스 리뷰] 노령사회 현상 및 이슈, 대안 (1) (현황 통계) - 한국 총인구는 전년대비 0.37% 감소(5,163만명) vs 주민등록 세대는 1.64% 증가(2,347만 세대) - 1인가구 946만(40.3%), 40% 돌파는 처음 : 70대 이상 18.6% > 60대 17.8% > 50대 17.1%, (50대 이상 53.5%) from 2022 행정안전통계연보 - 한국 65세 이상 빈곤율 43.8% = OECD 평균 3배 - 25년 65세 이상 노인(욜드) 규모 약 1000만명 : 전남(23.1%), 경북(20.7%), 전북(20.6%), 강원도(20%) from 박영란 강남대학교 실버산업학부 교수 '초고령사회 돌봄정책과 에이징테크산업 활성화 방안' - 울산의 65세 이상 인구 15.6만명, 고용률 32.7% (평균 고용률 59.9%) - 10명중.. 2022. 8. 30.
노인을 위한 나라, 가능할까? #이 글은 약 5년전(2017. 9) 네이버 블로그에서 썼던 글을 T story로 옮긴 글입니다. ## 앞으로는 느리지만, 꾸준히 노령사회에 관한 생각을 축적하고, 숙성하도록 하겠습니다. 오늘은 "노인을 위한 세상 만들기"라는 제 개인적인 비전, 인생 플젝에 대해 첫 글을 써보려 합니다. "경영학을 공부하고, B2C 영역에서 비즈니스를 하는 사람으로서 이곳에서 얻은 전문성, 경험을 이용해 노인을 소비에서 가치생산의 주체로 바꾸자" 라는게 제 인생 목표입니다. CH 1. "노인을 위한 나라는 없다"의 공포 먼저, '노인을 위한 세상'의 영감을 준 2편의 영화를 소개시켜 드리려 합니다. '노인을 위한 나라는 없다' 입니다. 제 비전의 우울한 버전이라 볼 수 있죠. (사실 내용보다 제목의 상징성 때문에...).. 2022. 8. 29.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