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노인 일자리도 ‘민영화’…저소득층보다 고학력 우대?
[요약]
노인 일자리라고 해서 공공형과 민간-사회서비스형을
동일하게 보면 안된다.
전자가 70대 이상을 위한 복지소득 정책이라면,
후기는 60대층을 위한 노동정책이라는 점을 명심해야
[시사점]
시장(자본주의) 원리가 유효하게 작용할 수 있는
중장년층은 60대로서 고용의 연장선으로서
(상대적인) 고숙련/고학력 장년층을 대상으로
질 높은 일자리의 매칭을 하는 것이 의미있어 보임
- '23년 부터 70대 이상 노인 대상의 공공형 노인일자리 6만개 ↓,
민간형 일자리 9만개 ↑으로 '민간 중심'으로 정책 방향 선정
: 고학력 베이비부머에 유리 ↔ 저소득 노인 일자리는 감소
- 정부 주장 : 공공형 일자리는 '질 낮은 일자리'로 체질개선이
필요하며, 결과적으로 일자리 2.9만개 ↑, 전체 예산 720억↑
↔ 전문가 의견 : 공공형과 민간/사회서비스 형 일자리는
목적 자체가 다름(커뮤니티 유지 및 노후소득 보전이 목적)
*공공형 단순노동형 월 30시간 27만원
↔ 민간-사회서비스형 각각 월평균 119만원/71만원 수준
**참가 노인층의 특징도 차이 有
: 저학력 70대 중후반(45~55년생), 노동시장 경쟁 불가능
↔ 고졸이상의 60대 중후반(55~65년생), 고숙련/고학력층
(2) 이제는 중장년의 일자리 생태계에 주목해야 될 때
[요약]
장기간(*9년) 노인 일자리 사업을 진행한 조직의
(민간형) 일자리 사업의 방향 및 서비스 체계 PR
[시사점]
민간 일자리 사업이 현재(As-is) 어떻게 서비스되고,
어떤 명분(Painpoint)으로서 중장년층 및 기업에게
어필하고 있는가를 보여주는 자료
그러나 제시하는 방향이 명확히 이해되지 않으며
어떻게 이를 해결하고 있는가에 대한 명쾌한 대안이
정리되어 있지 않아 사업적으로 (수익은 논외로하고)
확장가능한지 or 지속가능한지에 대한 확신 無
- '10년대 중장년 일자리 사업은 경비, 청소, 용역, 공공일자리,
프랜차이즈 창업 위주로 창업 및 퇴직 교육 형태가 주를 이룸
→ '20년대 들어 여러 일자리 매칭 및 사업화 프로그램 출현
(교육, 상담, 일자리 매칭 + 사회서비스, 관광, 지역 서비스)
- 중장년 일자리 생태계 구성
① 일자리 발굴 : 3D 직무 → 다양한 업종/산업의 일자리 발굴
*좋은 일자리 시장 조건
- 최소한의 수입 이상 보장 - 충분한 양의 일자리 창출 가능
- 지속적으로 할 수 있음 - 중장년 참여로 사회적 영향 有
- 참여자들이 스스로 자부심을 가질 수 있음
② 당사자 인식 확장 : 변화한 시장에 적응하기 위한 이해도 획득
*교육, 세미나, 모임, 캠페인 제공하는 이유
③ 프로그램 참여 : 참가자의 역량/비전 진단 및 재교육
*인턴십, 프로보노 활동을 통해 본인과 맞는 시장&직무 발견
④ 일자리 매칭 : 상담사가 매칭만족도를 위해 조정 및
3개월 수습 후 취업으로 연계하는 서비스 제공
⑤ 업무온보딩 : 기업문화 이해, 세대간 협력, 소통활성화,
성과 창출을 위한 교육지원 제공
⑥ 임팩트 확산 : 당사자, 기업의 인터뷰 및 설문을 통한 성과증명
(3) ‘시니어북딜리버리’ 사업으로 도서관 활성화
[요약]
지방 자치 단체 및 시니어 클럽의 활동사례로서
책 수거/운반 및 도서관 사무에 노인층 투입(알바式)
[시사점]
지방 지역사회(도서관)과 노인 인력 간의
서비스 사례로서 전원참가 사회의
한국형으로 볼 수 있지 않을까 함
- 도서관과 시니어 클럽이 손잡고 어르신들이 도서관 책을
가정과 기관까지 배달하는 '시니어 북 딜리버리' 서비스 진행
- '22년 2월 시작해 도서관 9개에 14명 근무
: 주5출근하며 일 3시간 동안 운영지원/소독관리/책배달 수행
- 도서관 인근 아동복지시설에 책을 배달하거나, 주변 아파트 단지
내 거주가정에게 책 배달 및 수거(방문, 전화, 카카오채널로 신청)
원문 뉴스
(1) https://www.hani.co.kr/arti/economy/economy_general/1062351.html
[뉴스AS] 노인 일자리도 ‘민영화’…저소득층보다 고학력 우대?
공공일자리 축소가 “노인일자리 체질개선”이라는 정부 전문가들 “고학력 노인고용 연계는 빙산의 일각일 뿐”
www.hani.co.kr
(2)https://www.eroun.net/news/articleView.html?idxno=29964
이제는 중장년의 일자리 생태계에 주목해야 될 때 - 이로운넷
우리는 살아가면서 \'생태계\' 라는 단어를 자주는 아니어도 가끔 듣게 된다. 학창시절 수업시간에는 생산자부터 3차 소비자까지 이르는, 먹이사슬에 기반한 생태학적 순환구조를 생태계라 불렀
www.eroun.net
(3) https://www.naeponews.co.kr/news/articleView.html?idxno=17791
‘시니어북딜리버리’ 사업으로 도서관 활성화 - 내포뉴스
홍성군 광천공공도서관, 한울작은도서관이 홍성시니어클럽(사회복지법인 수덕)과 손잡고 어르신들이 도서관 책을 가정과 기관까지 배달하는 ‘시니어북딜리버리’서비스로 도서관 활성화에
www.naeponews.co.kr
'돈 되고, 의미 되는 "시니어" 과제 발굴 > 초고령 사회 현상과 문제들' 카테고리의 다른 글
[뉴스 리뷰] 노인 빈곤층이 처한 현실 (0) | 2022.11.04 |
---|---|
[매거진 리뷰] "시니어 취업 현실" 아티클 종합 by 브라보 마이 라이프 (1) | 2022.10.30 |
[리포트 리뷰] 고령사회의 노인혐오 by KiRi(보험연구원) (0) | 2022.10.20 |
[고령화 뉴스 리뷰] 고령화 문제 심화 & 불명확한 대안 2️⃣ (1) | 2022.10.08 |
[고령화 뉴스 리뷰] 고령화 문제 심화 & 불명확한 대안 1️⃣ (0) | 2022.10.07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