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이프라인 기업을 집어삼키는 플랫폼]
p63
플랫폼을 구성하는 중대한 자산은 커뮤니티와
회원이 보유한 자원이다. 전략의 핵심은
자원을 통제하는 것에서 자원을 조정하는 것으로,
내부 프로세스 최적화에서 외부 인터렉션의 촉진으로,
고객 가치를 높이는 것에서 생태계 가치를 극대화하는
것으로 옮겨 간다.
(중략)
기업은 어떤 비즈니스를 플랫폼 안으로 끌어들일지,
그리고 그들이 거기에서 무엇을 하도록 할지 현명하게
판단해야 한다. 또한 플랫폼의 인터렉션을 모니터링하고
촉진해야 한다.
플랫폼은 결국 제품과 서비스를 파는 것을 넘어서,
제품/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는 판을 여는 것이라 ...
직접 파는 것도 있겠지만, 다른 업체가 팔거나,
소비자가 팔수도 있게, 그리고 꼭 상거래가 아니어도
그저 모임으로써 상호작용이 나올 수 있는 가능성을
높이는 것, 그래서 최종적으로 매출이 나온는...
그런 류의 패러다임의 전환이 아닌가 생각이 든다.
p64.
플랫폼 비즈니스를 이용하면 생산자와 소비자 간
높은 가치 교환을 형성할 수 있다. 플랫폼 비즈니스의
핵심 자산은 정보의 상호교환이고, 이들이 창출하는
가치가 곧 경쟁 우위가 된다.
(중략)
애플은 더 나아가 앱 개발자와 앱 사용자 모두를
참여시키는 플랫폼 시장을 만들었다. 물론
양측 참여자 수가 증가할 수록 가치도 증가했다.
이것이 바로 '네트워크 효과'로
플랫폼 전략의 핵심이다.
(중략)
플랫폼에는 네 부류의 참가자가 있다.
플랫폼의 소유자는 플랫폼의 지식재산과 관리를
통제한다. 공급자는 사용자와 플랫폼을 연결하는
인터페이스 역할을 한다. 생산자는 제공하는 제품이나
서비스를 만들고, 소비자는 이용한다.
(중략)
파이프라인 비즈니스는 순차적 활동을 통제하며
가치를 창출한다. 전형적인 가치사슬 모델이다.
사슬의 한쪽 끝에 있는 투입물자는 다양한 단계를 거쳐
더 가치있는 산출물인 최종제품으로 전환된다.
플랫폼을 한국말로 표현하자면 하나의 "판"인데,
하나의 잔치/파티에 빗대어 표현하자면
잔치판을 열어서 놀거리와 관리를 맡은 주최(소유),
인원을 섭외하고, 무대를 설치하고, 운영하는(공급),
DJ처럼 재밌게 놀 수 있는 흥거리를 제공하는(생산),
참여해서 놀고, 알리고, 이용하는 (소비)로 볼 수 있음
그리고 재밌는건 어떤 식으로든 돈을 벌수 있다는 것
*심지어 소비자도 상호작용(알림, 광고)로 수익창출
p66.
파이프라인 비즈니스의 경영진은 매출 증대에
중점을 둔다. 이 경영진에게는 기업이 제공하는 상품과
서비스, 그리고 여기서 발생하는 매출과 이익이 분석 단위다.
반면 플랫폼 비즈니스는 생산자와 소비자 간의 가치 교환,
즉 인터렉션으로 중점이 이동한다. 교환단위가 너무 작다면
거래되는 돈은 거의 없다. 그럼에도 인터렉션의 수와
관련 네트워크 효과는 경쟁 우위를 창출하는 원천이 된다.
전통적인 기업(Legacy)과 플랫폼 기업과의
전략/패러다임이 다른 이유가 바로 여기에 있다.
당장 돈을 못 벌었기에 과장되었다는 평가와 달리
카카오, 배민, 쿠팡, 마켓컬리 등의 플랫폼 기업은
성공적으로 성장했다
- 왜? 결국 사람이 몰리면,
거기서 돈이 있기 때문이다(or 그렇게 믿었기 때문에)
p67.
...그러나 모든 플랫폼은 생산자와 소비자가 서로 아이디어와
자원을 공유하도록 유도해야 한다. 외부인이 플랫폼에
가치 있는 지적재산을 가져오도록 고무하는 것이
효과적인 관리방식이다.
플랫폼은 결국 사람과 사람간의 교류,
그것의 결과물로서 콘텐츠(텍스트, 이미지, 영상)가
다시 또 교류를 활성화하는 ① 트래픽의 선순환과
거기에 편승해 더 많은 광고 or 상거래가 붙고
그로 인해 더 많은 양과 높은 질의 파트너가 붙어
그들의 스폰쉽으로 인한 콘텐츠 및 고객 경험을 주는
② 마케팅의 선순환으로 이뤄져있다.
전자가 소비자에게 노출된 Front page라면,
후자는 운영자, 파트너십이 아록 있는 Back-office...
p68.
경영진이 추적해야할 새로운 지표는...
- 인터렉션 : 플랫폼 비즈니스는 소비계획과 공급을
일치시키는 것이핵심이다. 한명의 여행자가 리프트를
사용하려고 했지만, 이용가능한차량이 없었다고 가정해보자.
이는 한 사람의 고객만 실망시키는 것에서그치는 문제가 아니다.
- 참여도 : ...회원의 콘텐츠 공유와 반복적인 방문 활동 등이
긍정적 움직임이다.
- 연결의 질 : 이용자 요구와 생산자 간 연결이 저조하면
네트워크 효과가 약화된다.-
부정적인 네트워크 효과...마지막으로 ... 커뮤니티와
커뮤니티의 네트워크 효과가창출하는 재무적 가치를
이해해야 한다.
커머스 전략에서 다뤘던 성과지표가 AARRR의
마케팅 퍼널 패러다임에 의존했다면,
그것의 일방향성에서 벗어나 (하나의 고객만 봄),
고객과 고객간의 승수 효과,
비 구매활동에 따른 고객경험이 미치는 효과까지
더 넓은 시각에서 종합적으로 조망하고 분석하길
그래야, 플랫폼 비즈니스를 영위할 수 있음을 말함
'왔으나, 알지 못한 "미래" 보기 > 스타트업 판세 읽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독서 Note] 하버드 머스트 리드 비즈니스 모델 혁신 "플랫폼 전략" by 클레이튼 크리스텐슨 외 #5-2 (0) | 2022.11.05 |
---|---|
[독서 Note] 하버드 머스트 리드 비즈니스 모델 혁신 "Tech & BM" by 클레이튼 크리스텐슨 외 #4 (0) | 2022.11.03 |
[독서 Note] 하버드 머스트 리드 비즈니스 모델 혁신 "BM 전환" by 클레이튼 크리스텐슨 외 #3 (0) | 2022.10.28 |
[독서 Note] 하버드 머스트 리드 비즈니스 모델 혁신 "타이밍" by 클레이튼 크리스텐슨 외 #2-2 (0) | 2022.10.25 |
[독서 Note] 하버드 머스트 리드 비즈니스 모델 혁신 "구성요소" by 클레이튼 크리스텐슨 외 #2-1 (1) | 2022.10.23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