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공적으로 플랫폼을 시작하는 4가지 전략]
p70.
기업이 다자간 상호작용을 촉진하는 다면플랫폼이되면
새로운 매출 원천을 만들 수 있고,
경쟁업체에 시장 점유율을 뺏기지 않을 수 있다.
*MSP, Multisided Platform
p71.
기업 기업이 다면플랫폼으로 전환하고자 전략...
① 제품과 서비스 전부 또는 일부를 다면플랫폼으로
전환하는 게 이득일까? ② 전환하는 과정에서
어떤 위험이 있는가? ③ 전환할 때 필요한
핵심 자원과고객관게, 조직 변화는 무엇인가?
다른 기업에 문을 개방하기.
자사와 다른 제품이나 서비스를 제공하는 타 기업과
자사 고객을 연결하는 방식으로 다면플랫폼이 될 ...
....자사의 고객층이 넓고 많다는 가정 하에...
타 기업이 제공하는 제품이나 서비스를 자사 고객에게
광고하거나 판매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중략)
...성공시키려면, 자사 고객과 타 기업 간 연결은 반드시
자사의 제품을 통해 이뤄져야...
(중략)
자사 제품이나 서비스가 다수의 고객이 가진 공통의
니즈를 충족하되, 아직 충족되지 못한 다른 니즈가
존재해야 한다.
...자사의 제품과 고객의 상호작용이 빈번해야 한다.
p72.
다면플랫폼이 되려고 할 때 따르는 리스크...
첫번째.. 기존고객들의 반발....
두번째...고객은 타사의 품질 책임이 자사에 있다고
생각하게 된다. ...마지막으로 일부 타사 제품이
자사 제품을 잠식할 수 있다는 리스크가 존재한다.
다면플랫폼을 구축하려 할 때...시장조사를 통해
다음 질문에 반드시 답을 구해야 한다.
① 자사 제품이나 서비스를 구매하는 다양한 고객군이
상호작용하거나 거래하는 비중이 중대한가?
만약에 그렇다면, 자사 제품이나 서비스가 어떤 방식으로
구 상호작용을 강화할 수 있는가? ② 고객은 다면플랫폼
기능을 추가하는 것에 어떻게 반응하는가? ③ 이 기능은
원래의 제품이나 서비스에 어떤 영향을 미칠 것인가?
'왔으나, 알지 못한 "미래" 보기 > 스타트업 판세 읽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독서 Note] 하버드 머스트 리드 비즈니스 모델 혁신 "소셜 비즈니" by 클레이튼 크리스텐슨 외 #6 (0) | 2022.11.06 |
---|---|
[스타트업 상식] #1. 상환전환우선주(RCPS) (0) | 2022.11.05 |
[독서 Note] 하버드 머스트 리드 비즈니스 모델 혁신 "Tech & BM" by 클레이튼 크리스텐슨 외 #4 (0) | 2022.11.03 |
[독서 Note] 하버드 머스트 리드 비즈니스 모델 혁신 "플랫폼" by 클레이튼 크리스텐슨 외 #5-1 (0) | 2022.11.02 |
[독서 Note] 하버드 머스트 리드 비즈니스 모델 혁신 "BM 전환" by 클레이튼 크리스텐슨 외 #3 (0) | 2022.10.28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