읽고 난 뒤, 소회를 짧게 밝히자면
"하버드 머스트 리드 비즈니스 모델 혁신"은
정말 오랜만에 재미난 경영학 전공 수업을
들은 기분으로 읽을 수 있던 책이다.
실용학문으로서 여러 사례에서 도출한
공통패턴을 보여주는 것이 경영학이라면,
이 책은 현대 BM에서 나올 수 있는 패턴과
시사점을 정말 잘 정리했다고 생각이 든다.
[비즈니스 모델이 중요한 이유]
앞서 읽었던 린 스타트업과 대비해서
여기선 비즈니스 모델을 단순화함
"1) 고객 문제를 해결하는 서사"와
"2) 이익을 만드는 공정"이 그것이다.
(개인적으로) BM이란 단어에 현혹될 것 없이
"기존 가치사슬에서 앞 단or 뒷단 중
어디가 변형되었는가"로 정리되는데, "
Simple is best"란 말이 떠오를 만큼
핵심과 거기서 파생된 논리가 100% 공감됨
p15.
... 하지만 비즈니스 모델은 결코 난해한 것이 아니다.
기업의 운영 방식을 설명하는 하나의 형식일 뿐이다.
좋은 비즈니스 모델은 경영학자 피터 드러커가 던졌던
질문, 즉 '누가 고객인가?', '고객이 가치 있게 여기는 것은
무엇인가?'에 대한 대답이다. 또한 모든 경영진이 반드시
답해야 할 근본적인 질문, '우리는 이 비즈니스에서
어떻게 돈을 버는가?', '고객께 우리가 제공하는 가치와
그에 매기는 가격을 설명하는 경제 논리는 무엇인가?'
라는 질문에 해답을 제공한다.
(나의 말로 표현해보자면),
비즈니스 모델 = 4개의 질문에 대한 답으로
아래과 같은 2문장 [AB + CD] 구조로 정리가능함
"우리의 고객은 AA(who)이고, BB(Pain-point, 욕망)를
가치있다고 생각한다. 우리는 CC를 제공하는 대가로
돈을 받는데, 이때 제공가치와 가격 간 관계는
DD라는 것으로 표현할 수 있다"
p16.
... 새로운 비즈니스 모델은 모든 비즈니스의 토대를
이루는 포괄적인 가치사슬을 변형한 것이다.
대체로 이 사슬은 두 가지요소로 구성된다.
하나는 디자인, 원재료 구매, 제조 활동 등
무언가 만드는 것과 관련된 활동이다. 다른 하나는
고객을 찾고, 제품을 배송하거나 서비스를 제공하는
판매와 관련된 활동이다.
비즈니스 모델은 기존 가치사슬의 변형인데,
1) 만드는 법(Back-end)를 바꾸거나
: 조달, 제조, 디자인 등
2) 전달하는 법(Front-end)를 바꾸는 식
: 마케팅(고객전략), 배송, 서비스 제공
p18.
... 비즈니스 모델이 제대로 작동하지 않는 이유는
이야기 테스트(고객 행동 예측에 실패한 이야기)나
수치 테스트(손익 계산 오류)에 실패했기 때문이다.
비즈니스 모델이 실패하는 이유는 2가지,
AB에서 나오거나 - 말이 안되거나
CD에서 나온다 - 돈(이익)이 안된다.
p22.
...비즈니스 모델과 전략이란 용어를 혼용해서
사용하지만, 이 두 가지는 동일한 것이 아니다.
비즈니스 모델은 하나의 시스템으로써,
비즈니스를 이루는 구성요소가 어떻게 함께
맞물리는지를 설명한다. 그러나 비즈니스 모델은 '
경쟁'을 고려하지 않는다. 모든 기업은 시장에서
경쟁자들과 부딪칠 수밖에 없는데, 그때 어떻게
우위를 점하고 살아남을까를 고민하는 것이 전략이다.
말이 되고, 돈이 되더라도 시장에서
"우리가 (남들보다) 잘 할 수 있냐"에 대한 답이
전략이라 보면 됨, 근원적으로 비즈니스 모델과
전략을 통해 2+1의 질의응답이 명쾌하게
정리되야 성공할 가능성이 높다 볼 수 있을 듯
p24.
명확한 비즈니스 모델은 직원 간 의사소통을
효율적으로 만들고, 그들의 동기를 강화하는
토대가 되기도 한다.
하나의 슬로건으로서 BM을 활용할 수 있음
: 구성원의 동기부여와 몰입을 돕는
지향점 or 초점의 역할
'왔으나, 알지 못한 "미래" 보기 > 스타트업 판세 읽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독서 Note] 하버드 머스트 리드 비즈니스 모델 혁신 "타이밍" by 클레이튼 크리스텐슨 외 #2-2 (0) | 2022.10.25 |
---|---|
[독서 Note] 하버드 머스트 리드 비즈니스 모델 혁신 "구성요소" by 클레이튼 크리스텐슨 외 #2-1 (1) | 2022.10.23 |
[독서 Note] 린 스타트업 "BM 사례" by 애릭 리스 #2-2 (0) | 2022.10.19 |
[독서 Note] 린 스타트업 "가설 검증법" by 애릭 리스 #4 (0) | 2022.10.18 |
[독서 Note] 린 스타트업 "전략과 가설" by 애릭 리스 #3 (0) | 2022.10.17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