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왔으나, 알지 못한 "미래" 보기/스타트업 판세 읽기

[독서 Note] 린 스타트업 "BM 사례" by 애릭 리스 #2-2

by 저녁숲 2022. 10. 19.
728x90

비즈니스 모델에 관해 좋은 글을 읽어
추가로 정리해보는 기회를 갖고자 함

[캔버스 위에 BM 얹기]

9개 요소 중 Focusing에 따라
여러 유형의 BM특성을 잡을 수 있는데,
이 글에서는 채널 중심(플랫폼)
수익구조 중심(TBL) BM에 대해 작성

1) TBL 비즈니스 모델

Triple Bottom Line Business Model의 약어로서
경제적 수지 뿐만 아니라, 사회-환경적 비용/이익까지
고려하여 공통체 및 사업의 지속가능성을 도모함”
*Bottom line : 수입에서 비용을 제한 이익

최근 화두가 된 ESG와 연결된 개념으로 대표적으로
네슬레가 환경오염 및 노동착취에 공격받자
CSV 프로그램으로 이를 극복함
*네스프레소 에콜라보레이션
: 커피 재배농가에 자금과 기술을 지원하여 소득향상
+ 열대우림을 보호하며 최상급 원두를 확보함

출처 : 네스프레소 홈페이지


TBL 유형은 그 중에서도 중심축이 어디냐에 따라
(1) 경제중심형 TBL 사례 - 디아지오
현지 원료를 쓰는 맥주를 개발 및 현지 생산
+ 무허가 선술집을 프랜차이즈로 양성화 확보

(2) 사회중심형 TBL - 푸플
일회용 용변봉투를 소상공인을 통해 3센트 판매
or 학교/빈민촌에 무상배포한 다음
봉지에 든 요소 분말로 생분화하여 비료가 되므로
용변이 든 봉투를 가져오면 보증금 1센트를 환불
>> 인근 농장에 비료로 판매함

 


(3) 환경중심형 TBL - 더블에이
농부들에게 매년 1억그루 제지용 묘목을 무상 공급
>> 농부는 4년 정도 키운 종이나무를 원하는 때
아무 회사에게나 시장가로 판매 가능하나,
더블에이는 성장/수급 정보가 있어 더 유리
*1 Dream 1 Tree
복사지 구매자 명의로 나무 1그루 심은 뒤,
식목 인증서 및 GPS 좌표를 보내줌

출처 : 더블에이 홈페이지

 

 

2) 플랫폼 비즈니스 모델

공통적이고, 반복적으로 사용하는 기반 모듈을
구축해 다양한 이해관계자가 편리하게
상호작용하도록 연결하는 비즈니스 모델 유형

플랫폼 BM 구축방안
(1) 거래 중개 사이트 - O2O, e마켓플레이스
다수의 판매/구매자가 편하게 거래하도록 기반을
제공하는데, VC, 크라우드 펀딩 등 투자자금 지원,
포장, 유통, 판매를 지원해 생산에 집중하도록 함

그외에도 외부 전문가의 품평 or 소개자료, 리뷰
등을 통해 제품에 대한 신뢰도를 높임

(2) 커뮤니티 - 소셜 미디어
페이션츠라이크미는 환자만을 위한 플랫폼으로
각자 페이지에 치료법, 투여량, 효과, 부작용,
증세, 가족력, 연령, 신체를 기록
>> 익명화하여 데이터 판매 or
임상실험 환자를 연결함

출처 : 페이션츠라이크미 홈페이지


그 외 성공한 제품 및 서비스 기업이 확보된
대규모 고객층을 이용해 플랫폼으로 전환할 수도 있음

 9개 비즈니스 모델 요소 중에 어떤 부분에 Edge를

가져놓는가에 따라 성공사례를 열거한 글인데...

다소 결과론적이라는 생각이 듦

 

특히 TBL은 앞으로 추구하고 싶은 "선한 영향력"

사례로 적절하게 보이나,다른 시각에서 보자면

사회적 약자 or 빈민가도시장의 Player로서

적절히 활용할 수 있다는

오히려 자본주의적인 이면이 있다는 생각이 듦

 

 플랫폼은 사용자 Volume에서 파생되는

데이터로제 2,3의 부가가치를 내면서

진입장벽으로 만드는패턴인데,

종합 커머스가 포화되었다면

Niche로또는 소비자 or 특정 그룹

커뮤니티로 사람들을 모으게 만드는

Edge를 얻어야 할 듯

 

*플랫폼 시장은 이미 쿠팡, 카카오, 네이버 등으로

 다 끝났다고 생각했지만, 명품, 주부층, 아동층처럼

 Niche에서 성공사례가 나오는것을 보면 가능성은

항상 찾았냐/아니냐, 뚫었냐/못뚫었냐 의 이슈인듯

728x90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