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린 캔버스] 사업 아이템의 비즈니스 모델을 파악하는 Frame-work
① 문제 가장 중요한 문제 3개 |
④ 솔루션 핵심기능 3가지 |
③ 가치제안 "제품을 사야하는, 다른 제품은 안되는" 이유를 Meaage 化 |
⑤ 경쟁우위 쉽게 따라할 수 없는 특징 |
② 고객 목표 고객 & 초기 수용객 |
⑧ 핵심지표 측정되야할 핵심활동 |
⑨ 채널 제품 - 고객 도달 경로 |
|||
⑦ 비용구조 고객획득비용, 유통비용, 인프라비(호스팅), 인건비 |
⑥ 수익원 매출모델, 고객생애가치, 매출액, 매출 총이익 |
③ 가치제안 - Unique Value Proposition
제품이 가진 차별점과 구입을 할 가치를 표현하는 것
- 고객의 문제(①)로 부터 나와야 하며,
얼리어답터(②)를 목표로 하되,
사용시 혜택에 집중하여
(효과+사용기간+이의 처리)의 형태로
단어 하나하나를 주의 깊게 선택해야 함
⑤ 경쟁우위
≠ 선발우위 : 계속 후발주자를 능가해야 함
≠ 쉽게 확보 가능한 것 : 열정, 소스코드, 기능
▶ 진정한 경쟁우위 예시
- 기존 고객, 네트워크 효과, 커뮤니티
- 적절한 "전문가"의 지지, 내부자 정보
- 환상적인 팀, 개인적인 권위
⑥, ⑦ 수익구조
"가격" 결정이 매우 중요
가격이 합당하도록 MVP를 설계함과 동시에
가격결정이 고객의 초기학습보다 우선되어야 하며,
초기에 구매저항을 두려워 해서는 안됨
- 가격은 제품(제품 인식의) 일부로서, 고객을 정의함
: 제품판매는 제품검증의 1번 유형
- 수익원+비용구조를 통해 손익분기점을 설정한 뒤,
도달까지 필요한 시간/비용/노력을 추정해야 함
⑨ 채널
- 처음부터 "확장 가능한"채널에서 출발하며
인건비와 시간을 고려하면 무료 채널이 없다는 것
- 초기 직접 스스로 판매하는 방식에서
위탁 및 자동화 판매로 전환할 수 있는데,
고객 총 생애가치가 직접판매 인건비 보다 높아야함
비즈니스 모델 강의에서 공통적으로 나오는 부분이나,
좀 더 실용적인 내용이 있다고 생각했음
IR자료를 작성하고, 직원 및 투자자에게 설명하다보면
본인의 비전과 그동안의 노력에 스스로 감화되어
산으로 가는 경우가 생길 수 있는데
이때 "린 캔버서"의 9개 요소 Simple하게 정리하고
사업 아이템에 대해 점검해볼 수 있겠다 생각함
언젠가는 그런 날이 오길 고대해보며...
'왔으나, 알지 못한 "미래" 보기 > 스타트업 판세 읽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독서 Note] 린 스타트업 "BM 사례" by 애릭 리스 #2-2 (0) | 2022.10.19 |
---|---|
[독서 Note] 린 스타트업 "가설 검증법" by 애릭 리스 #4 (0) | 2022.10.18 |
[독서 Note] 린 스타트업 "전략과 가설" by 애릭 리스 #3 (0) | 2022.10.17 |
[독서 Note] 아마존 웨이 "혁신" by 존 로스만 #1 (0) | 2022.10.12 |
[독서 Note] 린 스타트업 "핵심 패턴" by 애릭 리스 #1 (1) | 2022.10.11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