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pening
한국의 저출산 고령화로
생산가능인구(만 20~64세) 대비
노인인구(만 65세 이상) 비율이
‘22년 23.6%, 약 4명이 1명 부양
》 ‘60년 89.7%, 약 1.1명이 1명 부양
“약 40년간 3.8배 증가로 가장 늙은 국가 등극”
![](https://blog.kakaocdn.net/dn/pSsN7/btrN15mb0tl/oeaMRZyVL6wGSEXoUCXYsK/img.jpg)
(1) 한국 ‘초고속 고령화’ 진행중..
사람들 문제 체감 못하는 이유는? 요약
: 지금껏 도시 집중과 20년간 베이비붐이란
한국적 인구특성으로 체감이 덜했으나,
베이비붐의 고령화로 인한 파급력과
지방 소멸이 더욱 심해질 전망임
시사점
: 고령화 심각성을 못 느끼는건 87%가 도시에 살고,
도시에는 젊은이가 많기 때문이란 말에 적극 공감
*조영태 교수님은 정말 이 분야 전문가라 생각함
- OECD 중 상대적으로 한국이 젊은 편이나,
20년 뒤에는 가장 고령화된 나라가 될 전망(초 고속)
- 고령화는 이미 02년부터 공론화가 되었으나,
오히려 익숙해지고, 저출산 해결이 안되거때문에
어차피 해도 안된다고 체념한 상태(고착화)
- 한국은 55년부터 74년까지 20년간 100만명 출산
: 산업화 주역으로 역할했으나, 초고속 고령화의 원인
- 일을 더하고, 사회적 서비스 받는 기간을 줄이는 것이
대안으로 연금개혁과 정년연장이 대표적 by 조영태
- 00년생 중반생들이 노동시장에 들어오는 ‘30년에는
윗세대의 정년연장이 아랫세대에게 영향을 안줄 것
(세대간 밥그릇 논쟁이 없어질 것임)
(2) 줄어드는 인구, 소멸하는 한국
이성용 인구학회장 인터뷰
요약
: 정년(일자리), 출산, 지원정책 등 인구 관점을
생산성 측면에서 재정립해야 한다는
1세대 인구학자의 인터뷰 시사점
: 생산성에 따라 임금수준을 결정한다는 것이
가야할 길이란 것에 대해서는 동의하나,
현실적으로 “고연차=관리자”로서
개인으로서 생산성(전문성)이 약해지는
지금의 HR구조와는 다소 거리가 있어보임
- 생산성에 따른 임금 결정과 정년 철폐를 통해
오히려 지금 젊은 세대의 부담을 줄여야 함
*아니면 70세가 되도 노인부양을 위해 일할 것
- 생산연령인구(15~64세) 감소가 일손부족으로
이어지지 않도록 65세 이상 채용을 할 수 있게
생산성 관점에서 성과에 따른 보상체계(기업)과
좋은 성과 유지를 위한 재교육(국가)이 필요함
- 지방소멸에 대응하기 위해서는 재택근무 활성화로
굳이 수도권에 거주할 필요성을 줄여야 함
>> 근태 중심의 평가 방식을 실제 결과물 중심으로 - 지금껏 저출산 대책이 성과를 내지 못한 것은
일-가정 양립을 지원하는 북유럽식을 표방했으나
한국은 출산이 자아실현의 걸림돌이 된다는 인식이
팽배해지고, 실제 경력단절도 막지못했기 때문임
- 재정지원으로 경제적인 관점으로 출산의 효익을
보는 것이 아닌, 행복한 삶으로써 탈 이해관계가
되어야 근본적인 저출산이 해결될 것임
원문
Openning https://www.yna.co.kr/view/GYH20220920001900044
[그래픽] OECD 한국의 저출산 고령화 전망 | 연합뉴스
(서울=연합뉴스) 이재윤 기자 = 20일 보건복지부에 따르면 OECD는 이날 '한국 연금제도 검토보고서'를 발간해 국민연금 보험료율을 인상하면서...
www.yna.co.kr
(1) https://www.bbc.com/korean/articles/cqlynv7ql8lo
한국 ‘초고속 고령화’ 진행중.. 사람들 문제 체감 못하는 이유는? - BBC News 코리아
“우리나라의 고령화 문제는 다른 나라와 달리 노령 인구 비율의 수준 자체보다 그 진행 속도에 관한 문제”
www.bbc.com
https://www.hankyung.com/economy/article/2022092829361
이성용 인구학회장 "고령화 너무 빨라…정년 없애고 임금체계 개편해야"
이성용 인구학회장 "고령화 너무 빨라…정년 없애고 임금체계 개편해야", 줄어드는 인구, 소멸하는 한국 (20) 이성용 인구학회장 인터뷰 60세 은퇴하는 체계로는 젊은이들 노인부양 부담 과중 나
www.hankyung.com
'돈 되고, 의미 되는 "시니어" 과제 발굴 > 초고령 사회 현상과 문제들' 카테고리의 다른 글
[리포트 리뷰] 고령사회의 노인혐오 by KiRi(보험연구원) (0) | 2022.10.20 |
---|---|
[고령화 뉴스 리뷰] 고령화 문제 심화 & 불명확한 대안 2️⃣ (1) | 2022.10.08 |
[고령화 뉴스 리뷰] 인구에 따른 복지, 비즈니스 대응 (1) | 2022.10.03 |
[리서치] 실버시장 규모 및 현황, 그리고 전망 (1) | 2022.09.30 |
[숙고] 지역별 인구이동이 고령화에 미치는 영향 (0) | 2022.09.26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