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약 : 인구 고령화로 실버산업은 글로벌적인 증가로 매력적인 시장으로 부상할 것임
+ 시니어의 세분화를 통해 차별화된 비즈니스 전략이 필요함
1) 전세계 인구의 고령화 심화
① 글로벌 전체
- 65세 이상인구 '20년 7억 명 → '50년 15억명
- '20년 실버산업 규모 15조 달러로 고령친화 산업이라고도 불림
: 연령 증가로 인한 노년기 독립성 훼손을 최대한 제거하여 노후의 삶의 질 향상에 기여
e.g. 의약품, 식품, 화장품, 의료기기, 생활용품, 금융, 주거, 여가 등 - 전세계 고령층 30%가 한/중/일 3국에 거주되며, 이는 50년까지 유지될 것
② 한국 : 고령화 속도가 가장 빠름
- '21년 65세 이상 고령인구 16.5% → '25년 20.3%로 초고령 사회 진입할 전망
- 베이비부머(55~63년생)의 고령층 진입으로 실버산업 수요 확대 예상
: '20년 72조원 → '30년 168조원 - 베이비부머는 IT기술이 접목된 기기와 서비스를 활용할 수 있다는 'Young Old'
③ 미국 : 실버시장 규모 1위
- 미국 베이비부머(46~65)년생 모두가 고령층에 진입
: '14년 고령사회(14% 이상), '30년 초고령 사회(20% 이상) - 자녀세대 보다 자산+연금소득이 많아 은퇴 후에도 높은 소비력 有
- 55세 이상 인구의 소비 비중이 '20년 42% 차지
- 의약 및 건강관리 산업의 핵심 소비층으로 부상
④ 일본 : 고령 인구 비율이 가장 높음
- '25년 실버시장 규모 약 8천억 달러 전망, 고령화율 30%로 추산
- 가계 소비의 60대 이상 비율이 상승해 '30년 47%로 예상
- 자산축적으로 인한 소비여력 및 액티브 시니어로 소비력 大
- 고령층의 주택보유율이 90%를 상회하고, 전체 금융자산의 59.5% 보유
④ 중국 : 고령 인구가 가장 많음
- '30년까지 3조달러로 성장 예상
- 2차 베이비부머(62~76년생)의 고령층 진입 : '21년 고령사회, '35년 초고령 사회
- 미용/건강/패션 분야의 구매력 행사 + 온라인 쇼핑비중 증가 요인으로 작용
2) 실버시장 진출 전략(제언)
① 시니어에 대한 인식을 바꿀 것 : 액티브 시니어의 구매력&활동성에 주목할 것
- 취미와 소비를 즐기는 "젊은 어른"으로 인식을 전환하여 공략해야 함
- 더 긴 수명과 자기주도적 삶에 대한 욕구가 증가한 고령층임
② Ageless를 활용할 것
- 신체 기능 쇠퇴에서 비롯된 불편을 해소시켜줄 제품과 서비스에 대한 수요 高
- 누구나 쉽게 이용할 수 있는 유니버셜 디자인으로 제품 전환시, 유리
③ 시니어의 (생활방식, 상황에 따른) 감성을 자극하라
: 배우자 사별, 자녀와 교류 감소, 지인 네트워크 축소로 인한 외로움에 노출됨
→ 로봇 or 가상비서 상담 등 사회적 고립감 감소에 기여 가능
*맞춤형 돌봄에 대한 필요성 증가 e.g. 질병관리, 낙상예방, 자택요양지원 등
Insight for Next #4
- 실버 산업은 국내 뿐만 아니라, 글로벌로도 충분히 매력적인 시장이다.
왜? 전세계적으로 늙어갈테니까, 특히 한/중/일 동북아시아가...
▷ 향후 '25년~'30년의 시기 안에 순차적으로 초고령 사회로 진입함
: [미국]의 실버산업에 실버산업 Case를 분석 및 스타트업 Idea로 도출 후,
[일본]에서 성공을 거둔 실버 사업 Item을 통해 교차검증을 진행하고,
수도권 인구 집중, 가족 문화, 디지털 인프라 등을 고려한 Localizing하여
[한국]의 베이비부머의 실버산업 시장을 공략할 수 있음
그 뒤, 성공한다면 [중국] 시장을 Next Stage로 넘볼 수 있음
▶ 소비자로서 시니어층이 매력적인 것은 너무나도 공감되나,
생산자로서 그들은 어떤가? 또 어떻게 접근해야할지는 모르겠음
"시니어는 은퇴를 한 시점부터, 생산자로서 역할을 상실함"이라는
전제가 모든 이들에게 깔려있는데, 이를 바꿀수는 없을까?
그게 가능하다면 진짜로 판을 바꾸는 직관이라 평할 수 있을 듯
원문 : https://eiec.kdi.re.kr/policy/domesticView.do?ac=0000168201&issus=&pp=20&datecount=&pg=
주요국의 실버시장 현황과 우리 기업에의 시사점 | 국내연구자료 | KDI 경제정보센터
한국무역협회는 『주요국의 실버시장 현황과 우리 기업에의 시사점』을 발표하였다. - 급속한 고령화로 인해 전세계 65세 이상 인구가 2020년 7억명에서 2050년 15억명으로 2배 이상 증가할 전망임.
eiec.kdi.re.kr
'돈 되고, 의미 되는 "시니어" 과제 발굴 > 초고령 사회 현상과 문제들'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고령화 뉴스 리뷰] 고령화 문제 심화 & 불명확한 대안 2️⃣ (1) | 2022.10.08 |
---|---|
[고령화 뉴스 리뷰] 고령화 문제 심화 & 불명확한 대안 1️⃣ (0) | 2022.10.07 |
[고령화 뉴스 리뷰] 인구에 따른 복지, 비즈니스 대응 (1) | 2022.10.03 |
[숙고] 지역별 인구이동이 고령화에 미치는 영향 (0) | 2022.09.26 |
[고령화 뉴스 리뷰] 노령사회 현상 및 이슈, 대안 (1) (0) | 2022.08.30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