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준비된 상태로 "현실" 살기/Biz Knowledge & Skill-set

[학습노트] PMP ④. Project Integration Management(통합관리)이란?

by 저녁숲 2023. 1. 16.
728x90

Project Management Professional 공부 ④
프로젝트 통합관리 주요 개념
품의서 작성, 관리계획서 개발, 작업 지시 및 관리,
지식관리, 작업 감시 및 통제, 통합 변경 통제,
프로젝트 종료 및 단계 종료

프로젝트 통합관리

Processes and activities to identiry, define,
combine, unify, coordinate the various
process and activiteis


프로젝트 관리 영역들 사이의 상호의존적 관계 관리
통합관리는 PM만의 특별한 관리 영역으로,
프로젝트에 대해 PM은 궁극적인 책임을 짐

주요활동은

  • 인도물 일정 및 BMP 조율 확인
  • 프로젝트 관리 계획서 제공
  • 지식 창출
  • 성과 및 변경 관리
  • 공식적 종료

가 있음

또한 프로젝트 고유성에 따라 조정을 할 수 있는데,
주로

  • 생애주기
  • 지식관리
  • 변경
  • Lessons Learned
  • 편익

 

프로젝트 승인서 작성

Document that formally authorizes the existence
of a project and provides the PM with the authority

프로젝트 착수자 or 스폰서가 프로젝트에 자원 제공을
승인 or 자금을 제공할 수 있는 위치여야 함

구분 Input Do Output
활동 비즈니스 문서
- 비즈니스 케이서, BC
- 편익관리계획서, BMP
(주로 NPV)


협약서
(아웃소싱, 조달 수행의 결과물)


EEF

OPAs
전문가 판단

자료수집
- 브레인스토밍
- FG
- Interview

대인관계
- 갈등관리
- 촉진, Facilitation
- 미팅관리

미팅
프로젝트 승인서, Project Charter

가정사장 로그, Assumption Log

[Input]
프로젝트 작업 기술서, Project Statement of Work
프로젝트 초기에 이행될 결과를 묘사한 문서
(비즈니스 필요성, 범위, 전략적 계획)

비즈니스 케이스, Business Case
프로젝트 진행여부를 결정하기 위한 정보 기술
결과물 투자를 위한 정당성 판별에 필요한 정보
특히, 비용과 편익 분석자료를 포함한다.
(프로젝트 결과물, 시장 요구, 필요성,
고객 요구사항, 기술적 진보, 법적 요구사항,
생태계 영향, 사회적 필요성 등)

편익관리 계획서, Business Management Plan
편익이 실현되는 가치, 방법, 시기를 기술한 계획서로
재무적 가치는 NPV로 표현된다
투자가치 평가서 등으로 불리기도 함

협약서, Agreements
범위 및 내용 정의 ▷ 서비스 관리 목표 설정
▷ 서비스 관리 지표 및 측정법 결정 ▷ 협약서 작성
(계약서, MOU, SLA, 의향서, 구두협의사항, 이메일 등)

그외
기업환경요인, Enterprise Enviromental Factors
조직 프로세스 자산, Organizational Process Assets

[Doing]
전문가 판단 : 분야별 전문가, Subjec Matter Experts 협업
데이터 수집(브레인 스토밍, 포커스그룹, 인터뷰)
대인관계(갈등관리, 촉진, 미팅관리)
미팅

[Output]
프로젝트 승인서
자원, 예산, 목표를 부여하기 위해 권한가진 관리자로부터
승인 받은 문서로, 공식적인 권한 부여 과정
- 프로젝트 목표
- 프로젝트 핵심 인도물(Key Deliverables)
- 상위수준의 마일스톤 및 원가 산정치
- 이해관계자 식별
- 일반적 방법론
- 문제정의
- 상위수준의 가정, 제약조건, 리스크


가정사항 로그
일정, 원가, 리스크에 대한 예측

프로젝트 관리계획서

Coordinating all plan components and consolidating them
into an integrated project management plan
모든 보조계획서를 정의하고, 작성 및 조율하여 종합적인
관리계획서로 만드는 과정임

모든 것의 기준선(Baseline)이 되며,
일단 확정된 후에는 통합변경 통제수행 프로세스에서만
변경되는데, 프로그램 및 포트폴리오는 변경통제위원회,
Change Control Board(CCB)에 의해 변경됨
*Program Management Plan에 명시된 경우만

 

구분 Input Doing Output
활동 프로젝트 품의서
다른 프로젝트 산출물

EEF
OPAs
전문가 판단
자료수집
미팅
대인관계 및 팀기술
프로젝트 관리 계획서
(Project Management Plan)


[Input]
프로젝트 품의서
다른 프로젝트 산출물(All 프로젝트 보조 관리 계획서)
기업환경요인, EEF
- 정부 or 산업 표준
- 프로젝트 관리 지식 체계
- 프로젝트 관리 정보 시스템
- 조직 문화, 구조
- 인프라 구조
- 인사행정
OPAs


[Doing]
전문가 판단
자료 수집
대인관계
미팅 : 착수미팅은 소규모 프로젝트는 계획 끝에,
대규모일 경우 실행(분석) 프로세스에서 수행함
이때 프로젝트 목표가 전달되고,
팀원의 헌신 유도 및 이해관계자의 역할 설명되야 함

[Output]
프로젝트 관리 계획서
- 범위/일정/원가의 기준선
- 보고 관리 계획서
범위관리/요구사항 관리/일정관리/원가관리/품질관리/
프로세스 개선/자원관리/의사소통관리/위험관리/조달관리/
이해관계자 참여 계획서
- 변경관리 계획서 Change management Plan
변경요청이 공식적으로 승인 및 포함되는 방법을 기술하는데,
이또한 보조계획서 중 하나로 CCB의 R&R을 명시함
-형상관리 계획서
-성과측정 기준선
-프로젝트 생애주기
-개발방법론
- 경영자 리뷰


프로젝트 작업 지시 및 관리


Process of leading and performing the work defined
in the project management plan and implementing
approved changes to achieve objectives
프로젝트 인도물을 생성 및 관리하는 것

 

구분 Input Doing Output
활동 프로젝트 관리 계획서(PMP)
프로젝트 문서
- 변경로그
- 교훈물 관리대장
- 마일스톤 목록
- 프로젝트 의사소통
- 프로젝트 일정
- 요구사항 추적 매트릭스
- 위험 관리대장
- 위험 보고서

승인된 변경요청

EEF
OPAs
전문가 판단
프로젝트 관리 정보 시스템
미팅
인도물(Deliverable)
작업성과데이터
(Work Performance Data)

이슈로그(Issue log)
변경요청(Change requests)

프로젝트 관리 계획서 갱신
프로젝트 문서 갱신
- 활동목록
- 가정사항 로그
- 교훈 관리대장
- 요구사항 문서
- 위험 관리대장
- 이해관계자 관리대장
OPA 갱신



변경사항 유형
1) Corrective action(시정 조치)
An intentional activity that realigns the performance

of the project work with the project management plan.
Corrective actions ar reactive actions
- 지연사항 관리를 위해 프로젝트 활동/성과를 높이기 위한 조치

- 프로젝트 작성 성과를 프로젝트 관리계획과 맞추는 것이 목적

2) Preventive action(예방 조치)
부정적인 영향을 주는 작업을 사전에 조치하는 활동

An intentional activity that ensure the future performance
Of the work

3) Defect repair(결함 수정)
- 요구사항과 불일치한 작업을 수정하여 보완(부적합 및 결함 제거)
  Modify a nonconforming product or product component.

4) Update(업데이트)
Changes to formally controlled project documents, plans.



[Input]
프로젝트 관리 계획서(PMP)

승인된 변경요청(Approvd Change Request)
변경통제위원회(CCB)에 의해 구현을 목적으로 프로젝트 팀에
검토 및 승인되고, 통합변경 통제 프로세스로 수행된 산출물

프로젝트 분서 *인도물 만들때 참조내용
변경 사항 로그, 교훈물 관리대장, 마일스톤 목록, 프로젝트 의사소통,
프로젝트 일정, 요구사항 추적 매트릭스, 위험 관리대장, 위험 보고서

그외
기업환경요인(EEF)
조직 프로세스 자산(OPAs)

[Doing]
전문가 판단: 조직 내/외부, 이해관계자, 기술협회
프로젝트 관리 정보 시스템(PMIS): 일정, 자원관리용 시스템
미팅

[Output]
인도물: 제품, 결과물+서비스, 수행능력까지 포함
작업 성과 데이터 : 각 프로세스의 통제 프로세스의 입력물
이슈 로그: 이슈 = 프로젝트 목적에 영향을 갖는 현 상황 및 조건
                A current codition or situation that may have

                an impact on the project objetives
                이슈를 기록, 모니터링한 정보를 가진 프로젝트 문서
변경요청서 : 시정, 예방, 결함수정, 갱신을 공식적으로 요청하는 조치
프로젝트 관리 계획서 갱신: 어던 요소든 갱신될 수 있음
OPA updates

프로젝트 지식 관리


프로젝트 전반에 걸쳐 수행하며, 다음 단계 및 프로젝트에 지식을 활용함
암묵지와 명백지를 융합하며 신뢰할 수 있는 환경과 적극공유가 중요함

구분 Input Doing Output
활동 프로젝트 관리 계획서(PMP)
프로젝트 문서
- 교훈물 관리대장
- 프로젝트팀 배정
- 자원 분류 체계
- 공급자 선정 기준
- 이해관계자 관리대장

인도물

기업환경요인(EEF)
조직 프로세스 자산(OPAs)
전문가 판단
지식관리
정보관리
대인관계 및 팀 기술
- 적극적 경청
교훈물 관리대장

프로젝트 관리계획서 갱신

OPAs 갱신



[Input]
프로젝트 관리 계획서
프로젝트 문서
- 교훈물 관리대장
- 프로젝트팀 배정표
- 자원 분류 체계
- 공급자 선정기준
- 이해관계자 관리 대장
   +a
인도물
기업환경요인(EEF)
조직 프로세스 자산(OPAs)

[Doing]
전문가 판단
지식관리: 암묵적인 지식을 공유하고, 팀의 여러 지식들을 통합해
               구성원의 수준과 상황에 따라 새로운 지식 도출함
- 네트워킹
- 터뮤니티
- 미팅
- 핵심전문가 포럼
- 워크샵
- 스토리텔링
정보관리: 명백지를 통한 정보를 사람들과 공유 by PMIS
- 명백지로 성문화
- 교훈물 관리대장(Register)
- PMIS 운영
대인관계 및 팀 기술
- 적극적 경청
- 촉진
- 리더십
- 네트워킹
- 정치적 인식

[Output]
교훈물 관리대장(Lessons Learned Regitster)
: 프로젝트 상황 기술, 상황에 대한 조치/영향/권고사항 등이 정리되며
  마지막 단계에서 교훈물 관리 저장소로 이관됨

프로젝트 관리 계획서 갱신
조직프로세스 자산 갱신

프로젝트 작업 감시 및 통제


Tracking, reviewing, and reporting the overall progress
프로젝트 진행률 및 현 상황을 이해관계자에게 납득시키는 근거 마련
즉, 상태보고, 진척률 측정 및 예측을 위한 정보 제공

In do output 테이블

구분 Input Doing Output
활동 프로젝트 관리 계획서
프로젝트 문서
작업 성과 정보
(Work Performance Information)
협약서
EEF
OPAs
전문가판단
데이터분석
의사결정
미팅
작업성과보고서
(Work peformance reports)

변경요청(Change Requests)

프로젝트 관리 계획서 갱신

프로젝트 문서 갱신



[Input]
작업 성과 정보(Work performance information)
: 모든 통제 프로세스 정보가 입력물로 활용됨

협약서(Agreements)
프로젝트 관리 계획서: 통제 기반을 형성함
프로젝트 문서
기업환경요인
조직 프로세스 자산

[Doing]
전문가 판단
데이터 분석
- 차이분석(Variance Analysis): 원가 차이 분석 등
- 추세분석(Trend Analysis)
- 대안분석(Alternatives Analysis)
- 원가 편익 분석(Cost-Benefit Analysis)
- 획득가치 분석(EVA)
- 근본 원인 분석(Root Cause Analysis)
의사 결정
미팅

[Output]
작업 성과 보고서(Work performance Reports)
: 프로젝트 상태 보고, 메모, 공정화 작업, 해결방법을 포함

변경 요청(Change Requests)

프로젝트 관리 계획서 갱신 - Any components
프로젝트 문서 갱신

통합 변경 통제 수행

모든 변경 및 수정사항을 검토하여, 스폰서 or PM이 승인 및 거부함
@ 통제 프로세스
Reviewing all changes requests

주요 개념
변경통제 위원회(CCB): 변경에 대한 검토/승인/거부/연기 등 결정
*스폰서가 포함안되면 추가로 승인을 요청해야함
*긴급하면 서면으로 먼저할 수 있으며
*문서화된 모든 변경요청은 담당자(스폰서, PM)이 승인/연기/거부 수행
*기준선이 설정된 이후부터 통합변경 수행을 통제함

구분 Input Doing Output
활동 프로젝트 관리 계획서(PMP)
- 변경관리 계획서
- 구성관리 계획서
- 범위 기준선
- 일정 기준선
- 원가 기준선

프로젝트 문서

작업성과보고서
변경요청처(Change Requests)
전문가 판단
변경 통제 도구
자료분석
의사결정
미팅
승인된 변경요청
(Approved change requests)

프로젝트 관리 계획서 갱신

프로젝트 문서 갱신
- 변경사항 로그



[Input]
프로젝트 관리 계획서(PMP)
프로젝트 문서
작업 성과 보고서(Work peformance Reports)
변경 요청(Change Requests)
기업환경요인(EEF)
조직 프로세스 자산(OPA)

[Doing]
전문가 판단
변경 통제 도구
데이터 분석
의사결정
미팅 - CCB


[Output]
승인된 변경 요청(Approved change requests)
: 승인/거부 결과를 요청한 사람 or 그룹에게 통보하며,
  승인된 변경요청은 프로젝트 작업 지시 및 관리로 구현됨

프로젝트 관리 계획서 갱신
프로젝트 문서 갱신 - 변경사항 로그(Change Log)

프로젝트/단계 종료

프로젝트 sign off를 Sponsor가 수행함
Finalizing all activities

프로젝트 종료 시 조직의 자원 투입이 해산됨(Released)
종료는 미리 예정된 시점에 (계획대로)수행하며,
인도물 인도 및 공식적 수락에 따라 종료됨
Conforming the delivery and formal acceptance
of deliverables by the customer


이를 위해
프로젝트 종료 기준 충족 + 계약서 상 협약 완료 활동
+ 교훈물 식별 + 운영단계로 전달하는데 필요한 조치 및 활동
+ 이해관계자 만족도 측정
이 필요함

종료시점에 PM은 프로젝트 목표의 완수여부를 확인함
- 기준(Criteria) 준수 및 완료 확인
- 요구사항 적용여부 확인
- 프로젝트 산출물 전달

Input - doing - ouput 테이블 필요

구분 Input Doing Output
활동 프로젝트 품의서
프로젝트 관리 계획서
프로젝트 문서

승인/수용된 인도물
(Accepted Deliverable)

비즈니스 문서
협약서
조달문서
OPAs
전문가 판단

자료분석

미팅
최종 제품/서비스/결과 이전

프로젝트 문서 갱신

최종보고서

OPA 갱신



[Input]
프로젝트 품의서(Project Charter)
프로젝트 관리 계획서 - 기준선에 대한 준수여부 확인
프로젝트 문서
승인된 인도물(Accepted Deliverables)
비즈니스 문서
협약서
조달문서
조직 프로세스 자산(OPAs)

[Doing]
전문가 판단
데이터 분석
미팅: 종료보고(Close-out reporting) 회의,
         교훈물 검토(Lessons Learned) 회의

[Output]
최종 제품/서비스/결과를 이전(Result Transition)
프로젝트 문서 갱신
최종 보고서
조직 프로세스 자산 갱신

선례정보(Historical Information)
습득한 교훈(Lessons Learned)

728x90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