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oject Management Professional 공부 ⑤
프로젝트 범위 관리 주요개념
범위관리 계획 수립, 요구사항 수집,
범위 정의, WBS 작성, 범위 확인, 범위 통제
프로젝트의 시작~끝까지 범위관리는 연결됨
- 범위 관리 계획 수립
: 범위관리 계획서, 요구사항 관리 계획서 - 요구사항 수집
: 요구사항 문서, 요구사항 추적 매트릭스 - 범위 정의
: 범위기술서(Scope Statement) - WBS(작업분류체계) 작성
: 범위 기준선(Scope Baseline) - 범위 확인 *Fomal Acceptance Process
: 승인된 인도물(Aceepted Deliverable) - 범위 통제
: 변경 요청
범위 관리는 방법론에 따라
- Agile에서는 스폰서/고객이 지속참여하여
Porduct Backlog를 만들어 주기마다 반복함
- Predictive Project에서는 범위기준선으로
Scope Statement, WBS, WBS Dictionary를
가져감
*비즈니스 분석 전문가 협업이 증가하고 있음
(Business Analysis Professional)
1) 범위 관리 계획 수립
Creating a scope management plan
- scope will be define, validated, and controlled
구분 | Input | Doing | Output |
활동 | 프로젝트 품의서 프로젝트 관리 계획서 EEF OPA |
전문가 판단 자료분석 미팅 |
범위관리 계획서 (Scope Management Plan) 요구사항관리 계획서 (Requirement Management Paln) |
[Input]
프로젝트 품의서(Project Charter)
프로젝트 관리 계획서
: 개요, 범위, 구축환경, 추진체계, 관리 프로세스 계획,
프로젝트 관리방안 등을 서술함
EEF
OPAs
[Doing]
전문가 분석
데이터 분석(대안분석, Alternative Analysis)
미팅
[Output]
범위관리 계획서
- 상세범위 계획서 준비
- WBS 관리법
- 인도물 검수/승인 방법
- 범위 변경 방법
- 프로젝트 범위 기술서 작성방법
요구사항관리 계획서
: 요구사항을 도출 및 정의하는 방법,
기능/기술적 요구사항을 정의하는 방법,
시정조치 계획 및 형상관리 방안에 관한
절차와 산출물 관리
2) 요구사항 수집
프로젝트 목적과 목표 달성을 위해 이해관계자의
니즈와 요구를 수집하고 결겅하고, 관리하고,
이에 관한 문서를 작성하는 프로세스임
구분 | Input | Doing | Output |
활동 | 프로젝트 품의서 프로젝트 관리 계획서 - 범위관리 계획서 - 요구사항 관리계획서 - 이해관계자 관리계획서 프로젝트 문서 - 가정 로그 - 교훈물 등록대장 - 이해관계자 관리 대장 *이해관계자의 요구 및 기대 기술 비즈니스 문서(비즈니스 케이스) 협약서 EEF OPAs |
전문가 판단 데이터 수집 - 브레인스토밍 - 인터뷰 - 핵심 전문가 그룹 - 설문조사 - 벤치마킹 데이터 분석 의사결정 - 투표 - 타기준 의사결정 분석 데이터 표현 - 친화도 - 마인드 매핑 대인관계 - 명목 집단 기법 *아이디어 우선순위를 투표로 - 관찰 - 촉진 컨텐스트 다이어그램 프로토타입 |
요구사항 문서 : 명확, 처적가능, 완전, 일관성 있어야 - Business Requirement - Stakeholder Requirement - Solution Requirement - Project Requirement - Transition Requirement (서비스 전환에 따른 교육 요구) - 기타( Requirement가정, 제약조건) 요구사항 추적 매트릭스 요구사항을 프로젝트 전반에 걸쳐 단계적 산출물을 추적 관리함 |
3) 범위 정의(Define Scope)
프로젝트 및 베품의 상세한 범위, 목표 인수 기준을
정의한 프로젝트 범위기술서(SS)를 개발하는 프로세스
*범위에 포함될 요구 사항과 제외될 사항을 정의함
구분 | Input | Doing | Output |
활동 | 프로젝트 품의서 프로젝트관리 계획서 (범위관리 계획서) 프로젝트 문서 - 가정사항 로그 - 요구사항 문서 - 위험관리 대장 EEF OPAs |
전문가 판단 데이터 분석 의사결정 대인관계 및 팀기술 제품분석 |
프로젝트 범위 기술서(Project Scope Statement) : 인도물 및 인도물 산출을 위한 작업을 상세하게 설명함 - 제품 범위 명세서 - 인도물 - 경계 - 인수 기준 - 중요도 - 프로젝트 제외사항: 범위추가(Scope Creep) 차단 - 가정사항 - 제약 사항 - 오너십 *연동기획: 초기 충분한 요구사항 및 범위 정의가 어려우므로 점진적인 단계 수행으로 범위를 기술함 프로젝트 문서 갱신 |
4) WBS 작성
인도물과 전체 업무 범위를 관리가능한 요소
(Manageale Component)로 분해한 게층도
구분 | Input | Doing | Output |
활동 | 프로젝트 관리 계획서 - 범위관리 계획서 프로젝트 문서 - 프로젝트 범위 기술서 - 요구사항 문서 EEF OPAs |
분할(Decomposition) *연동계획을 적용하고, 100% Rule과 상호배제를 준수 전문가 판단 |
범위 기준선(Scope Baseline) : 작업 기술서의 승인된 버전 프로젝트 문서 갱신 - 가정사항 로그 - 요구사항 문서 |
WBS 분할
보고 주기 이내 단위로 분할함
(3~5단계에 걸쳐 2주내 완료가능한 수준)
- 작업 패키지 : 최하위 구성요소
- 작업분류체계 코드, Code of Account Identifier
: WBS ID, WBS 요소를 식별할 수 있는 기준
- 작업 분류체계 사전, WBS Dictionary
: 작업 패키지별 내용, 요구사항, 일정, 원가 등 정보관리
- 통제 계정, Control Account
: 범위, 예산, 일정과 성과측정을 연계하는 단위
범위 기준선
- 범위 기술서
- 작업분류체계(WBS)
- 작업분류체계 사전(WBS Dictionary)
- Work Package
- 계획 패키지
5) 범위 확인
인도물을 공식화하는 절차로
인도물의 수준을 확인(Validate)하고,
고객 or 스폰서가 이를 검토하는 활동과
공식적으로 인수하는 절차가 함께 수행됨
*Formalizing Acceptance
품질통제 > 범위확인 > 프로젝트 종료
범위 확인의 입력물은 작업성과 데이터!
구분 | Input | Doing | Output |
활동 | 프로젝트 관리 계획서 - 범위관리 계획서 - 요구사항 관리 계획서 - 범위 기준선 프로젝트 문서 - 교훈물 관리대장 - 품질 보고서 - 요구사항 문서 요구사항 추적 매트릭스 검증된 인도물(Verified Deliverables) : 품질통제 프로세스를 통해 정확도가 확인된 프로젝트 인도물 작업성과 데이터 (Work Peformance Data) |
검사, Inspection : 인도물이 요구사항, 인수기준을 만족하는지 측정, 검사, 확인 의사결정 |
인수된 인도물(Accepted Deliverables) 프로젝트 종료의 입력물로서 스폰서 or 고객이 공식적으로 서명/인수 작업 성과 정보 변경 요청 프로젝트 문서 갱신 |
6) 범위 통제
범위 기준선의 변경을 관리하는 것으로
프로젝트 전반에 걸친 요청된 변경사항과
권고된 시정사항, 예방조치가 처리되도록 통제함
*Monitoring the status
범위 기준선에 맞춰 일하는지 관리하는 것이
목적으로 범위 추가(Scope Creep)을 방지함
구분 | Input | Doing | Output |
활동 | 프로젝트 관리 계획서 - 범위관리 계획서 - 요구사항 관리 계획서 - 변경관리 계획서 - 구성관리 계획서 - 범위 기준선 - 성과 ㅊ그정 기준선 프로젝트 문서 - 교훈 관리대장 - 요구사항 문서 요구사항 추적 매트릭스 작업성과데이터 조직프로세스 자산 |
데이터 분석 - 차이 분석 - 추세 분석 |
작업 성과 정보 변경요청 프로젝트 관리 계획서 갱신 - 범위관리 계획서 - 범위 기준선 - 일정 기준선 - 원가 기준선 - 성과 측정 기준선 프로젝트 문서 갱신 |
'준비된 상태로 "현실" 살기 > Biz Knowledge & Skill-set'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학습노트] PMP ⑨. 프로젝트 자원관리 - 주어진 것에서 최대효용 뽑기 (1) | 2023.04.03 |
---|---|
[학습노트] PMP ⑥. 프로젝트 일정관리 - 약속한 기간 내 완수하기 (0) | 2023.01.30 |
[학습노트] PMP ④. Project Integration Management(통합관리)이란? (0) | 2023.01.16 |
[학습노트] PMP ③. 프로젝트 관리의 원칙과 관리자의 역할은? (0) | 2023.01.09 |
[학습노트] PMP ②. 프로젝트는 어떻게 가치를 전달하는가? (0) | 2023.01.02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