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oject Management Professional 공부 ①
PMP라 부르는 자격증을 23년 1분기에 취득을
목표로 책의 내용과 생각을 블로깅해보겠습니다.
비단, 자격증 공부 뿐만 아니라 프로젝트로
일하는 모든 사람들에게 유용한 정보이니만큼
많은 분들께 도움이 될 거라 확신합니다.
1) 프로젝트 관리 - 개괄적인 설명
프로젝트란
Temporary endeavor undertaken to create
a unique product, service, result.
유일한 결과를 만들어내기 위한 일시적인 노력임
즉 Uniqueness(유일성), Temporary(한시성),
Project drive change(변화유발),
Value Creation, 착수배경(Intiation Context)를
보유한다는 것이 특징임
착수배경에는
- 규제/법적 요구사항에 따르거나
- 이해관계자의 요구사항에 따르거나
- 비즈니스 or 기술전략에 따르거나
- 제품, 서비스의 생성 및 개선을 위하기 위함
프로젝트는 5개의 프로세스로 구성됨
- 착수
품의서로 프로젝트 승인을 받고, 목표를 수립
- 프로젝트 품의서 작성 및 승인
*Project Charter
- 전반적인 방향 및 목표, 범위 정의
- 이해관계자 식별, PM 임명
Define a new project
by obtaining authorization - 계획
범위 계획 및 정의, 활동 정의, 원가 산정,
예산, 품질, 조직, 인력계획, 리스크 계획 등
- 프로젝트 관리계획서 작성
- 기준선 세팅
- 범위, 목표, 목표수행활동을 정의함
- 프로젝트 범위기술서(Scope Statement) 작성
Processes performed to establish
the total scope of the effort - 실행
실제 프로젝트 활동으로 계획을 실행
- 프로젝트 설계, 개발, 테스트
+ 자원조정 + 팀 개발 + QA+구매관리
Processes performed to complete the work - 감시 및 통제
프로젝트 실행상의 이슈를 확인 및 통제
- 팀, 이해관계자, 협력업체의 진척도 측정
- 범위,일정,비용, 품질 등 성과 모니터링
- 변경요구, 위험 관리 대응 및 모니터링
+ 변경사항 승인 + 수정조치
Processes required to track, review,
and orchestrate the progress - 종료
행정적으로 종료하고, 계약까지도 종료
- 산출물의 고객인도
Formally complete the project, phase
프로젝트는 고유한 무언가를 한시적으로
발굴하며 점진적 개선을 하는 것이라면,
⊂ 프로그램은 프로젝트의 묶음
⊂ 포트폴리오는 전략 목표 및 조직적 영향력 有
Tariloring
프로젝트 마다 고유한 특성이 있어서 PM이 맞춰서
PMBOK 등의 방법론을 조정하여 적용함
비즈니스 가치, Business Value
Unique to each oraganzation that include
good will, brand recognition, public benefit,
trademarks.
비즈니스 케이스, Business Case
비즈니스 케이스를 통해 프로젝트의 예상효과(가치)가
즉, 경제적 타당성(Economic feasibility)가 기술됨.
즉 BC는 BV에 대한 결과물임
- 비즈니스요구사항
- 상황분석
- 권장사항
- 평가
이때 쓰이는 경제성 평가 방법은
- BCR, 비용편익비
: 수익 / 비용, 1보다 클 때 경제성이 있음 - Payback Priod, 투자회수기간
: 투자원금 회수까지 기간으로 짧을수록 좋음 - IRR, 내부수익률
: 시장이자율보다 높아야 프로젝트 선택함 - NPV, 순현재가치
: 현재 기준으로 환산된 부가가치 발생분의 가치,
0보다 높아야 경제성이 있음 - ROI, 투자수익률 : 순이익/총투자액
프로젝트 편익 관리계획서, BMP
Describe how and when the benefits of the project
will be delivered
주로 프로젝트 사후평가에 활용됨
프로젝트 성공측정에는 일정, 원가, 범위, 품질 등이
검토되야 하는데 성공의 정의와 측정기준, 성공요소가
고객과 합의되어야 함
2) 프로젝트 생애주기
예측생애주기, Predictive Life Cycle
기술적 위험이 낮고, 유사 경험이 있으며
요구 사항이 명확하고, 역량있는 팀원이 확보되며
고객이 요구하는 산출물이 고정적일 때 사용가능
반복적 생애주기, Iterative Life Cycle
초반에 프로젝트 범위가 결정되는데,
반복되는 주기로 제품을 개발하다보니
프로젝트가 복잡하거나 변경이 잦고, 시간이 오래걸림
관련 경험이 적고, 요구사항이 불명확할때
정확성이 제일 중요
증분형 생애주기, Incremental Life Cycle
IT에서 점증적으로 기능을 추가하여
고객에게 여러번에 걸쳐 인도하는 모델
속도를 최우선으로, 조기에 고객에게 인도
적응적 생애주기, Adative Life Cycle
Agile로 반복돌리전에 자세한 범위 확정 후
스프린트 기간내에 반복적으로 병렬 수행함
[용어집]
용어 | 내용 |
가치인도 시스템 | 프로젝트/프로그램/포트폴리오 관리, 운영 관리로 인해 가치를 만들어 내는 것 |
SoS | Scrum Master of Scrum Master 프로젝트 관리자의 관리자 |
Delivery Cadence | 프로젝트 인도물의 시기와 빈도 |
Outcome | 성과, 최종 인도물과 산출물 + NPV, BCR |
비즈니스 케이스, BC | 경제적 실행가능성과 타당성 확보를 위한 문서로, 승인을 위한 기본 자료 Project Sponser(임원)이 책임지되, 감독 및 권고사항은 PM의 책임 |
프로젝트 편익관리 계획 BMP |
Benefit Management Plan, 프로젝트 편익의 발생과 측정에 관한 문서 |
작업 성과 데이터 | Work performance data, 작업완료률 + 진척활동수, 활동일정의 시작 및 완료 일자, 변경요청 개수, 프로젝트 실제투입원가 |
작업 성과 정보 | 완료 예측 산정치 등의 정보 |
작업 성과 보고서 | 현재 프로젝트 상황에 대해 요약한 보고서 |
'준비된 상태로 "현실" 살기 > Biz Knowledge & Skill-set'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학습노트] PMP ③. 프로젝트 관리의 원칙과 관리자의 역할은? (0) | 2023.01.09 |
---|---|
[학습노트] PMP ②. 프로젝트는 어떻게 가치를 전달하는가? (0) | 2023.01.02 |
[Tool 익히기] #1. Power Apps - No code / Low code Platform (0) | 2022.11.14 |
[Biz Concept] 경영분석 #2 손익계산서 (0) | 2022.10.23 |
[Biz Concept] 경영분석 #1 재무상태표 (0) | 2022.10.17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