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금까지 사업계획서를 통해 본인의 사업이
뭐가 어떻게 왜 말이 되는지(Narrative Test),
그래서 얼만큼 돈이 될 것인지(Numbers Test)를
빠짐없이 전달했고, 그것이 설득이 되었다면
마지막으로 많은 관점의 근거를 제시함으로써
"진짜 그러하겠네"라는 확신을 가져다 줘야 합니다.
보통 사업계획서에서는
① (해외에) 성공한 실제 사례가 있는지,
② 투자를 받는다면, 어떻게 사용할 계획인지,
③ 사용한 결과로 그릴 성과치는 어떠한지,
④ 마지막으로 그걸 할 수 있는 역량이 있는지
를 통해 이러한 확신의 근거를 제공합니다.
① 해외 사례
뭔가 새로운 것을 할 것 같고, 참신해야 할 것 같은
"스타트업"에 성공 사례를 들어 설명하는 것은
뭔가 스타트업의 정신을 훼손시키지 않을지
걱정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투자 또는 합류하려는 멤버에게
스타트업이 (시장에서) 성공할만한 것인지를
판단하는데, 실제 유사사례만큼 강력한 것이 없죠.
많은 스타트업이 해외에서 성공한 사례를
국내에 도입(로컬화)하는 관점에서 시작하고,
제로투원조차 (부족했을지언정) 지적한
과제에 대해 해결은 하고 있었을 것이고,
그 안의 1위(or 급성장) 기업은 있을 것이니
해외사례가 없다는 것은 자칫 잘못하면
"우리가 사업아이템에 대해 충분히 조사하지
않았다"는 말로 오해받을 여지가 있습니다.
② 전략/계획 + 재무예측
전략이란 말이 추상적인 측면이 강해
"지금까지 전략을 얘기했는데, 또해"라고
오해할 수 도 있습니다.
이 부분에서 다뤄야할 내용은
(주로 투자금을 받았을 때) "앞으로 n년간 사업을
어떻게 단계를 나눠, 각 단계별로 어떤 목표 아래
무슨 무슨 행동을 할 것인지"를 전략/계획에서
제시한 뒤,
그에 따라 투압되야 할 자원(Input : 금액,
인원등)은 어떻게 구성되며, 얻을 수 있는 결과
(Output : 기업가치, 매출 등)은 무엇인지를 정리
하는데 집중되어 있습니다.
③ 팀/회사 소개
지금까지 성공적으로 사업계획을 소개했다해도
풀리지 않는 질문이 하나 있습니다.
"왜 당신들(스타트업)이 아니면 왜 안되는가?"죠.
정말 나쁜 생각으로 피칭을 받은 상대방이
사업 아이디어와 내용, 인사이트 등을
빠르게 이해한 뒤 본인들이 똑같은 사업을
더 빠르게 더 많은 자원으로 투입했을 때
더 확실하고, 큰 성과를 얻을 수 있다면?
그런 일이 없을 것이라고, 상대방의
양심에 기대는 것이 정말 좋은 방안일까요?
반대로 사업계획서의 아이템이 동일한
분야의 비슷한 트랜드에서 고안했다면
상당 부분이 유사할 수 있습니다. 피칭업체마다
필연적으로 다를 수 밖에 없는 부분이
바로 "팀/회사 소개"이기 때문에
따라갈 수 없는 차별점은 여기서 나옵니다.
그렇기 때문에 사업계획서 상의
멤버의 프로필이 중요한데 주로
- 똑똑함, 네트워킹을 점치기 위한 학력,
- 역량, 경험을 가늠하기 위한 사회 경력,
- 해당분야의 전문성을 볼 수 있는 기타
등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말씀드렸다시피
이것들이 불확실성이 높은 스타트업시장에
가장 확실한 구분점이기 때문에
서울대/카이스트 등 특정 대학 네트워크가
스타트업 CEO 및 VC의 비중이 많은 것
같습니다.
지금까지 "상대방으로 하여금 스타트업에 대한
긍정적인 인식 및 행동유발"을 위한 문서로서
사업계획서의 내용 구성 및 포인트를 정리해
보았습니다.
도움이 되셨길 바라며,
다음에는 기업내 전략 및 기획서의 포맷과
포인트에 대한 글을 써보도록 하겠습니다.
관련 아티클
2022.11.19 - [준비된 상태로 "현실" 살기/비즈니스 케이스 스터디] - [Biz Approach] #1. 스타트업's 사업 계획서 ① Narrative Test
[Biz Approach] #1. 스타트업's 사업 계획서 ① Narrative Test
사업계획서란 "사업의 계획이 담긴 문서""를 말한다. 사업의 계획을 그저 말하기만 하는 것이 아니라, 독자 or 청자로 하여금 설명한 사업에 대해 긍정적인 생각을 이끌어 내는 것이 목적으로 독
ready-for-next.tistory.com
2022.11.21 - [준비된 상태로 "현실" 살기/비즈니스 케이스 스터디] - [Biz Approach] #1. 스타트업's 사업 계획서 ②. Numbers Test
[Biz Approach] #1. 스타트업's 사업 계획서 ②. Numbers Test
관련글 2022.11.19 - [준비된 상태로 "현실" 살기/비즈니스 케이스 스터디] - [Biz Approach] #1. 스타트업's 사업 계획서 ① Narrative Test
ready-for-next.tistory.com
'준비된 상태로 "현실" 살기 > 실전 멘탈 키우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근간] 멘탈 관리하는 법 1/2/3 (0) | 2024.06.11 |
---|---|
[난중일기] 비용절감 프로젝트 2주차 1일 (0) | 2024.06.03 |
[Biz Approach] #1. 스타트업's 사업 계획서 ②. Numbers Test (0) | 2022.11.21 |
[Biz Approach] #1. 스타트업's 사업 계획서 ① Narrative Test (0) | 2022.11.19 |
[Biz Approach] Intro. 컨설턴트의 Output이란? (0) | 2022.11.01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