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atner 2022 Future of Application에 따르면
기업은 SaaS 공급업체 선정에 있어
기능(제공수준) > App 보안 > 타App과 통합 용이
> 사용자경험의 질 > API기반 기능 접근 순으로
중요도를 두고 결정하는 것으로 밝혀졌음
이러한 기업 요구에 맞춰 SaaS 공급사는 AI 도입
및 API 대응을 통한 반영에 힘쓰고 있는데,
'21년 나타났던 SaaS 트렌드로 AI 및 머신러닝,
모바일-퍼스트 사고방식, 특정영역에 최적화된
버티컬 SaaS 등이 대표적이며, 그외에도
특정 요구사항을 중심으로 하는 Micro SaaS,
가격 유연성, 서비스 플랫폼 이전에 대한 요구와
다양한 API요구대응, Unbundling,
White Labeling 또한 거론되는 중이다.
![](https://blog.kakaocdn.net/dn/zdRcB/btrRDYXZ93s/2bukPJ2sJTyuK6hOKKpqQ0/img.png)
① AI 도입 SaaS
"데이터의 가치 창출 + 서비스의 자동화 및 개인화
+ 보안 및 인적 역량을 보완"이 목적임
- 개인화
: 자연어처리(NLP)를 고객 서비스에 전반에 걸쳐
적용해 사용자 지정 및 요구사항 대응력을 높임
- 데이터 활용
: 다양한 출처의 데이터를 통합/정리함과 동시에
최적 서비스를 제공 및 사용자의 관심/행동 조사
② 머신러닝 도입
주로 SaaS 온보딩 프로세스 자동화에 활용됨
: 내부 운영 프로세스를 자동화할 수 있는 SW
or 플랫폼이 되도록 지원함
e.g. Netflix의 개인화 콘텐츠 제안
③ 데이터 분석 지원
: 분석이 모든 서비스 SW 플랫폼의 핵심이 되면서
경쟁력 확보를 위해 Biz Inteligence(BI)와
데이터 기반 의사결정이 더 중요해지는 중임
→ SaaS의 중앙집중 방식으로 사용자가
언제, 어느 장치에서도 데이터 접근이 가능해짐
④ Vertical SaaS
산업별 고객데이터 및 인텔리젼스를 제공함
: 산업별 요구사항 반영, 규정 준수 등을 통해
틈새시장 공략 및 구체적인 사업과제를 해결함
⑤ 통합 지원 API 대응
SaaS 애플리케이션의 폭발적 증가 및 도입으로
기존 시스템에 통합해야 하기 때문에 클라이언트를
타사 제품으로 리디렉션 함
⑥ 마케팅 기술 지원(Martech)
복잡한 단일기업 App 대신에 단순한 인터페이스로
쉬운 엑세스가 가능한 하나의 작업 업무를 수행하는
App 제공
⑦ PaaS로의 전환
기업이 원래 서비스의 추가기능으로 맞춤형 앱을
구축할 수 있도록 개발하는 방식으로서 M/S 확보를
위해 Main Player들이 주로 채택하고 있음
⑧ 고객확보 및 유지에 집중
SaaS 공급사는 고객 니즈 충족을 위해 완전히
커스터마이징된 기능/도구를 제공하는 한편,
개인화된 온보드 튜토리얼, 모바일 최적화 같은
서비스를 제공함
⑨ 데이터 중앙집중식 관리 지원
데이터 분산 및 단편화를 해결하기 위해
다양한 데이터를 통합, 구성, 액세스하도록 지원하는
SaaS 공급자가 등장함
*다양한 위치의 브랜드 자산 검색 및 활용,
데이터 사일로-파이프 연결을 지원함
⑩ Low-Code Capabilities 제공
맞춤형 App 구축을 원하는 기업을 대상으로
Low-code Capabilites를 통해 스타트업 ㅈ등
SaaS 수요(시장 규모)를 더 창출중
'왔으나, 알지 못한 "미래" 보기 > IT Trend & Keyword' 카테고리의 다른 글
[IT Big Trend] #4. SaaS ④ 앞으로 더욱 흥할 것인가, 쇠할 것인가? (1) | 2022.12.12 |
---|---|
[IT Big Trend] #5. 23년 전략기술 트렌드 by Gartner (0) | 2022.12.09 |
[IT Big Trend] #4. SaaS ② SaaS는 뭐가 그리 잘 났을까? (0) | 2022.12.06 |
[IT Big Trend] #4. SaaS ① 정의 및 주요 개념 (0) | 2022.11.28 |
[IT Big Trend] #3. Low-code/No-code ② Citizen Developer 전략 (1) | 2022.11.23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