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제론테크놀로지 / Gerontechnology
노년학(Gerontology)와 기술학(Technoloy)이
합쳐진 개념으로 90년대 초반에 등장했으며,
"고령자의 건강하고, 독립적인 삶을 보장하기
위한 기술, 노화에 대한 융합 연구"를 의미함
노화에 따른 신체적/지각적/인지적 저하를
경험한 고령층의 욕구를 파악하고,
기술적 솔루션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함
: 노화에 따른 기능저하에 대한
예방/참여/강화/만족/보상/지원
+ 돌봄인력에 대한 지원, 조직화, 연구 수행
제론테크놀로지 5대 영역 별 목표
영역 | 목표 |
건강(자존감) | 신체적, 인지적, 감정적 기능의 지원 + 독립성 유지 |
주거(일상생활) | 독립적이고, 안전하게, 편리하도록 일상기능 수행 |
이동성(교통) | 움직임을 돕거나, 차량/대중교통을 경유해 이동하는 법 제공 |
의사소통 | 타인과 연결, 원격 건강 모니터링 제공 |
일(여가) | 고용 유지, 교육 및 레크레이션 활동 참여 |
제론테크놀로지 영역 별 주요 상품/서비스
구분 | 건강(자존감) | 주거(일상생활) | 이동성(교통) | 의사소통 | 일(여가) |
예방/참여 | 셀프케어 SW | 양방향 제어, 원격서비스, e 쇼핑, 적응제어 |
하이브리드자전거, 대중교통 정보, 네비게이션 |
모바일, 이메일, 멀티미디어, 터치스크린 |
디지털카메라, 텔레그램, 소셜컴퓨팅 텔레뱅킹 |
강화/만족 | 건강식단,헬스정보 건강 모니터링, 고관절 보호대 |
스마트환기, 안전조명 |
자율주행 | 소음감소, 자동화 메신저 |
작업시뮬레이터, 소셜미디어 |
보상/지원 | 수동경보, 복약알람, 원격재활 |
청소로봇 | 전동스쿠터, 스마트워커, 네비게이션도구 |
인공와우, 망막이식, 언어지연 |
정원사로봇, 애완로봇 |
돌봄지원 /조직화 |
직업훈련시스템 | 전자키 | 네비게이션도구 | 비디오 링크 | 원격의료 |
2) 복지 기술 / Welfare Technology
노르딕 국가 중심으로 07년도에 처음 등장하며,
"장애인, 노인의 안전, 일상활동, 사회참여, 독립적
생활을 유지, 향상시키는데 사용되는 모든 기술"을
의미하는 것으로, 복지서비스 개선과 효율화를 위해
사용되는 서비스 혁신 기술, 즉 건강 및 사회 서비스의
디지털화(DX)를 선도하는 기재로 작용함
*스웨덴의 복지기술은 노인 보조기술 중심으로, 노인의 돌봄서비스 개선 및 서비스 질 향상에 집중함
**덴마크는 '13년 원격의료 보급, 의료분야 협력, 간호 및 돌봄의 복지기술, 디지털 학습 등을 추진하다가, '16년 복지 향상을 위한 지식공유, 디지털 솔루션 개발, 디지털 학습자료 및 도구 개발, 공공부문의 디지털화 강조
노르딕 국가에서 고령화 이슈 해결에 활용될 뿐만 아니라,신규 사업 및 시장창출을 견인하는 기회로 작용 가능함(고령자 복지수요 증가에 따른 새로운 비즈니스 창출)
국내의 복지기술 개념은 "디지털 기술을 활용하여
복지 서비스를 효율적, 효과적으로 제공함으로써
복지 대상자에게 직/간접적으로 도움을 주는 기술"로
복지 Needs와 기능, ICT 기술로 분류한 바 있음
3) AAL / Ambient Assisted Living
고령자가 자신의 가정에서 독립적이고, 활동적인
생활을 유지하도록 지원하는 혁신기술의 연구개발을
지원하는 EU 프로그램(08년부터 13년까지 운영)
현재 AAL은 R&D 차원을 넘어 고령자가 가정내에서
독립적, 활동적인 삶을 살아갈 수 있도록 지원하는
복지기술을 통칭하는 개념으로 사용되고 있음
*AAL 기술은 일상생활의 개별활동을 지원하는
장치에서 생활공간과 사용자를 포괄하여
주변 환경에 대한 보조-지원 시스템으로 발전 중임
'19년 Nordic Innovation & Nordic Welfare Centre가
AAL의 5대 영역을 제시함
구분 | 내용 |
안전기술 | 적시 서비스 제공을 위한 - 모니터링 서비스, 위치 추적, 지능형 센서 솔루션 |
보조기술 | 가정 안 팎의 고령자가 자유롭게 이동하도록 돕는 보조기술 및 인테리어 솔루션 |
재활/질병관리 | 환자의 입원기관 단축과 재택 간호 제공을 위해 - 가정 내 재활을 지원하기 위한 온라인 기술 및 가상현실 기술, 만성질환 자기관리 솔루션 |
자동화/로봇 | 일상생활의 반복적 업무 수행 지원 - 청소로봇, 커뮤니케이션 로봇, 급식 장치 등 자동화 |
디지털 솔루션/플랫폼 | 디지털 접근관리 시스템, 돌봄 솔루션, 노인-친인척-돌봄 제공자 간 소통관리 플랫폼 |
'돈 되고, 의미 되는 "시니어" 과제 발굴 > 다각도로 찾은 노인 행복 불씨' 카테고리의 다른 글
[리포트 리뷰] 노인연령 상향 조정의 가능성과 기대효과 by KDI (0) | 2022.11.24 |
---|---|
[스타트업 리스트] #5. "시니어 커뮤니티" 스타트업 (0) | 2022.11.19 |
[기고 리뷰] 제론테크놀로지의 개념과 사례 (0) | 2022.11.14 |
[독서 Note] 대한민국 인구 트렌드 "인구 대안" by 진영수 (0) | 2022.11.13 |
[독서 Note] 대한민국 인구 트렌드 "간병 사업" by 진영수 (0) | 2022.11.11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