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령화는 필연적으로 인구 감소 즉, 노동력의 감소를
가져오며, 이로 인한 노동력의 대체와 고령인구의
건강 지원을 위한 기술의 출현과 활용 또한 당연함
글로벌 차원에서 진행되고 있는 고령화로 인해
해외 각지(주로 유럽권)에서 어떤 기술이 개발 및
쓰이고 있는가는 향후 20년간 급격한 고령화에
놓인 우리에게 굉장히 중요한 정보라 할 수 있음
특히 고령화 대응기술(복지기술)의 등장배경에서
우리가 명심해야 할 것은 기술의 대상이 개인 뿐만
아니라, 개인과 개인간 or 지역사회까지도 포함되며
노년 목표를 건강의 유지라는 방어가 아니라
"활동적 노화"란 표현으로 보다 적극적으로
사회일원으로 활동할 것인가에 집중함, 즉
신체적/정신적 차원 만이 아닌
사회적 차원(관계)까지도 기술이 쓰임
국내 및 글로벌 고령화 현황
인구 고령화 진행 추이
- 65세 이상 인구 '18년 14.9% → '60년 43.9%
- 6569의 비중은 감소하나, 75이상은 증가 추세
생산연령 인구 감소 및 노인돌봄 부담 증가 전망
- '19년 3,759만→'30년 3,395만→'60년 1,784만
- 노년부양비 '19년 20.4명 → '65년 100.4명
취약계층 기본생활 보장위주의 고령복지에서
향후 중장년-노년 대상의 건강한 노후지원의
보편적인 서비스로 복지정책이 확대될 전망임
- 활동적 노화 : 적극적, 활동적인 주체로서 노년
-고령자가 시설이 아닌, 가정/지역사회에 거주
인구 고령화를 겪은 선진국가의 경우,
복지의 효과를 높이고, 고령화 사회문제 해결을
위해 ICT 활용을 강조함
- EU : ICT 기반 고령친과 R&D 프로그램 추진
- 일본 : 건강/의료/개호 분야의 AI, 로봇 활용
복지기술 등장 배경
복지 영역에서 기술은 신체 장애 지원의 보조에서
사회적 수요 및 현안에 대응하는 사회기술로 확대됨
: 저하된 신체기능의 대체/보완/보상 중심에서
대상자 삶을 위한 생활 환경, 인프라 문제해결로 확대
세계적인 인구 고령화에 따라 세계 각국이 의료,
돌봄의 재정부담 완화를 위해 디지털 기술에 주목
Not only 디지털 기반 개인 보조를 통한 삶의 질↑,
But Also 복지 서비스 혁신 / 서비스의 비용 효율化
'12년 WHO의 노인정책의 패러다임이 전환됨
"건강과 활동적인 노화에 대한 사회적 모델"
- 노인=돌봄의 대상, 고령화 = 극복해야할 문제
▶ 적극적인 사회참여자, 건강/활동적인 노화 가능
- 고령화 기술도 안전, 질병관리 등 생물의학적 관에서
노인의 사회참여, 능력신장, 권익신장으로 확대됨
- 거주지 내 독립적인 삶의 지원을 위한 기술혁신 주목
관련 Article
2022.10.22 - [돈 되고, 의미 되는 "시니어" 과제 발굴/자본주의st. 노인 건강 챙기기] - [리포트 리뷰] 실버산업 해외사례와 활성화 전략 by KiRi(보험연구원)
원문 주소 https://smart.seoul.go.kr/board/41/1225/board_view.do
'돈 되고, 의미 되는 "시니어" 과제 발굴 > 다각도로 찾은 노인 행복 불씨' 카테고리의 다른 글
[리포트 리뷰] 고령화 대응 기술 ③ 선진국의 고령화 전략은 "ㅇㅇㅇㅇ"이 핵심이다 (0) | 2022.12.01 |
---|---|
[스타트업 리스트] #7. "시니어 관광/여가" 스타트업 (1) | 2022.11.30 |
[스타트업 리스트] #6. "시니어 취업/교육" 스타트업 (0) | 2022.11.28 |
[리포트 리뷰] 노인연령 상향 조정의 가능성과 기대효과 by KDI (0) | 2022.11.24 |
[스타트업 리스트] #5. "시니어 커뮤니티" 스타트업 (0) | 2022.11.19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