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왔으나, 알지 못한 "미래" 보기/IT Trend & Keyword

[IT Big Trend] #1. Web 3.0 ③ Web 3.0 운영 기반

by 저녁숲 2022. 10. 27.
728x90

 웹 2.0d에서 3.0으로 전환됨에 따라

사용자(소비자)가 접하는 화면(Front)는 

동일하더라도 이를 운영하는 체계와

시스템 인프라는 크게 변하게 됩니다.

 

 좀 더 구체적으로 풀어 설명하자면,

 현재 웹 2.0에서는 서비스 사업자(플랫폼)이

직접 운영을 했다면, ① DApp의 형태로

분산화된 서비스②DAO가 운영합니다.

 

또한 웹 2.0에서는 파이썬, Java로

쓰여진Back-end와 DB로 운영시스템이

구성되었던 반면, ③ 블록체인 인프라

다양한 스마트 계약이 가상화폐에 따라

블록체인이 저장되는 구도로 변합니다.

 

 잘 이해가 안되시나요?

쉽게 말해 화면을 보여주는 방식 빼고,

운영 및 처리방식 다 변하는 겁니다.

 

그럼 웹 3.0 운영체계의 핵심요소인

DAO / DApp / 블록체인 인프라에 대해

하나씩 알아보도록 하죠.

 

① DApp

- 블록체인 위에 작동하는

탈중앙화된 분산 App을 말하는 것으로

사용자와 제공자 간에 직접 상호작용이 가능하며

과거에 인증을 거치는 절차 없이 서비스를

블록체인 기반의 스마트계약으로 구현합니다.

 

*스마트 계약(Smart Contract)

- 일정의 거래 조건을 만족시키면 당사자 간에

  자동으로 체결되는 프로그램을 이용한 계약

  : 투명하게 공개된 코드를 사용

 

② DAO

- 블록체인 기반 프로젝트에서 참가자들이

  주체적으로 운영하는 커뮤니티로서

  제안하고, 투표(동의/비동의)방식으로

  규칙을 정하고, 정해진 규칙은 스마트 계약으로

  구현하여 투명하게 공개되는 운영체계

   ↔ 중앙화된 기업(플랫폼)의 역할을 대체하는

       것으로 Web 2.0의 엔터프라이즈 대체

 

- DAO가 운영되기 위해서는

  프로그래밍화된 규칙(알고리즘)이

  자율적이고 수평화된 커뮤니티를 통해

  스마트 계약으로 관리되는 것이 전제임

 

- 서비스 지향 목적에 따라 여러 DAO 유형 有

  • Protocal : 서비스 or 플랫폼의 기반用
  • 투자/수집 : 자금 지원 or 수집품에 투자用
  • Socail : 개인 통찰력을 공유하도록 장려해
                 커뮤니티와 개인간 연결을 촉진함
  • Media : 콘텐츠의 큐레이션/생성/게시用
  • Funding : 특정 생태계 or 프로토콜에 보조금을
                    제공해 공공재에 자금을 제공함

 

③ 블록체인 인프라

- 웹3.0의 앱을 구축하는 도구(Tool)의 개념으로

  원장, 원장 확장, 컨텐츠 저장 및 인덱싱,

  오프체인/온체인 연계, ID.지갑 등 여러 Layer 有

  : 디지털 지갑(Wallet), NFT가 대표적이나

    주도권 경쟁이 치열한 상황임

- 웹3.0 서비스 구현을 위해 모든 Layer 기술이

  필요한 것은 아니고, 탈중앙화 기술이 의무 아님

728x90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