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한국 경제활동인구 1/4이 노인(60세 이상) 인구
: 전체 경제활동인구 3001만명 중 60세 이상 720만, 24%
➡️ 60대 이상 인구(비중) 증가 + 정부 공공일자리 증가 + 청년/4050세대 시장이탈
+ 제조업 및 건설업 일자리 감소 + 보건업 및 사회복지 서비스 일자리 증가
경제활동 인구 증가
- 24년 5월 기준, 경제활동인구 3천만명 초과
: 15세~64세 고용률 70.5% 도달 *역대 최고치
- 25년 5월
> 15세~29세 경제활동인구는 전년동월 대비 1.4만명 감소
> 40대 경제활동인구 3.9만명 감소, 50대 경제활동인구 6.1만명 감소
>> 60대 경제활동인구 36.2만명 증가
60대 경제활동인구 증가
- 60대 경제활동 인구 증가가 나쁜 것은 아니나, 청년/40/50대 경제활동 진입이 동반X
- 인구효과로 인한 것이라고 정부는 주장 + 정부가 만든 공공일자리 증가 효과도 존재
- 60대 이상 경제활동인구가 증가하는 가운데, 청년층 고용률은 낮아지는 중
➡️ 경제 활력이 떨어질 우려가 존재함
728x90
'돈 되고, 의미 되는 "시니어" 과제 발굴 > 초고령 사회 현상과 문제들' 카테고리의 다른 글
[Study] 중국 직장인의 수명 35세 @ 해담경제연구소 (4) | 2025.06.22 |
---|---|
[Study] 한국고용시장, 위기의 전조 by 김경록 (4) | 2025.06.21 |
[Study] 정년연장 논쟁의 답 @딥순우 (1) | 2025.06.03 |
[Study] 초고령사회 일본 @ KBS 다큐인사이드 (2) | 2025.06.01 |
[Study] 피크아웃 코리아 by 채상욱 작가 (0) | 2025.05.22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