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왔으나, 알지 못한 "미래" 보기/스타트업 판세 읽기

[독서 Note] 린 스타트업 "린 캔버스" by 애릭 리스 #2

by 저녁숲 2022. 10. 15.
728x90

[린 캔버스] 사업 아이템의 비즈니스 모델을 파악하는 Frame-work

① 문제
가장 중요한 문제 3개
④ 솔루션
핵심기능
3가지
③ 가치제안
"제품을 사야하는,
다른 제품은 안되는"
이유를 Meaage 化
⑤ 경쟁우위
쉽게 따라할
수 없는 특징
② 고객
목표 고객 & 초기 수용객
⑧ 핵심지표
측정되야할
핵심활동
⑨ 채널
제품 - 고객
도달 경로
⑦ 비용구조
고객획득비용, 유통비용,
인프라비(호스팅), 인건비
⑥ 수익원
매출모델, 고객생애가치,
매출액, 매출 총이익

 

③ 가치제안 - Unique Value Proposition

제품이 가진 차별점과 구입을 할 가치를 표현하는 것

- 고객의 문제(①)로 부터 나와야 하며,
  얼리어답터(②)를 목표로 하되,

  사용시 혜택에 집중하여
  (효과+사용기간+이의 처리)의 형태로

  단어 하나하나를 주의 깊게 선택해야 함

 

⑤ 경쟁우위

≠ 선발우위 : 계속 후발주자를 능가해야 함

쉽게 확보 가능한 것 : 열정, 소스코드, 기능

▶ 진정한 경쟁우위 예시

  • 기존 고객, 네트워크 효과, 커뮤니티
  • 적절한 "전문가"의 지지, 내부자 정보
  • 환상적인 팀, 개인적인 권위

⑥, ⑦ 수익구조

"가격" 결정이 매우 중요

가격이 합당하도록 MVP를 설계함과 동시에

가격결정이 고객의 초기학습보다 우선되어야 하며,

초기에 구매저항을 두려워 해서는 안됨

 

- 가격은 제품(제품 인식의) 일부로서, 고객을 정의함
  : 제품판매는 제품검증의 1번 유형

 

- 수익원+비용구조를 통해 손익분기점을 설정한 뒤,

  도달까지 필요한 시간/비용/노력을 추정해야 함

 

⑨ 채널

- 처음부터 "확장 가능한"채널에서 출발하며

  인건비와 시간을 고려하면 무료 채널이 없다는 것

- 초기 직접 스스로 판매하는 방식에서

  위탁 및 자동화 판매로 전환할 수 있는데,

  고객 총 생애가치가 직접판매 인건비 보다 높아야함

 

 

 비즈니스 모델 강의에서 공통적으로 나오는 부분이나,

좀 더 실용적인 내용이 있다고 생각했음

IR자료를 작성하고, 직원 및 투자자에게 설명하다보면

본인의 비전과 그동안의 노력에 스스로 감화되어

산으로 가는 경우가 생길 수 있는데

이때 "린 캔버서"의 9개 요소 Simple하게 정리하고

사업 아이템에 대해 점검해볼 수 있겠다 생각함

 

언젠가는 그런 날이 오길 고대해보며...

728x90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