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산관리에 있어 일단, 개인이 어떤 자산을
가질 수 있는가를 한번 정리해봤습니다.
① 예/적금
은행에 일정기간 돈을 예치하고, 이자를 얻는 상품
은행이 망하지만 않으면 원금+(정해진) 이자를 받음
(가입할 때, 이미 성과가 확정되어 있음 - 확실함)
은행이 망하더라도 5천만원까지는 나라가 보장함
금리의 영향을 직접적으로 받는 상품
*Good to know
금융감독원 금융상품통합비교 공시
은행연합회 금리/수수료 비교 공시
Moneta 최고금리 찾기
② 채권
돈을 빌려준 뒤, 정해진 기한에그 돈의 이자+원금을 받음
빌리는 주체의 신용도 & 만기에 따라 이자율이 변화
채권은 [발행가+표면금리+만기]로 구성됨
금리가 오를수록, 만기가 짧을 수록 채권 가격이 하락
만기까지 들고 있으며 정해진 이자+원금을 받거나
싸게 사서 (이자 받고 있다가) 비쌀 때 팔수있는 상품
vs 예/적금
- 예/적금은 가입되었을 때 성과가 확정적이지만,
채권은 살때, 팔때에 따라서 성과가 달라짐
(만기때까지 갖고 있다면 성과는 확정적임)
③ 주식
기업에 대한 권리 증서로, 자본금을 내고 그만큼 지분 얻는 것
지분으로 의결권을 갖거나, 이익배당을 청구할 수 있음
- 자본금 = 액면가 * 발행주식수
- 지분율 = 보유 주식 수 / 전체 주식 수
- 현가(시가) : 현 시점의 주식의 가격
- 시가 총액 : 현재가 * 발행 주식 수
- 배당 : 회사의 이윤의 일부로 주주에게 나눠 줌
④주식 지수
- 증권시장의 주가 변동상황을 종합적으로 나타낸 지표
- 시가총액 가중방식을 일반적으로 사용함
(시총 비중에 따라 모든 주식을 가질 때의 움직임)
- 주제/테마별로 다양함
⑤-1. 실물자산 - 금, 원자재
인플레이션 방어자산으로 변동성이 큰데,
보통 펀드 혹은 ETF를 통해 간접 투자를 한다
⑤-2. 실물자산 - 리츠
다수가 투자금을 모아 부동산 or 관련 증권에 투자해서 수익배분
총 자산의 70%이상이 부동산에 투자해야하고,
배당가능 이익의 90% 이상이 의무적으로 배당되어야 함
⑥ 펀드
자산운용사가 만든 실적 배당형 투자기금으로
주식/채권/원자재 등을 여러개 묶은 상품이며
투자를 전문가에게 (수수료를 주고) 위임하는 것
*Good to know
네이버 펀드파인더, 펀드 닥터, 펀드슈퍼마켓
수수료
- 선취 : 펀드 가입시, 투자 전에 내는 것
- 후취 : 펀트 가입 후 일정기간 투자 후 내는 것
- 판매 수수료: 계약기간 전에 판매할 때 내는 것
보수
- 운용보수: 운용사에게 내는 비용
- 판매보수: 판매사에게 내는 비용
- 수탁보수: 수탁사에게 내는 것
대표적인 Class
A- 최초 가입시 선취수수료를 받지만,
연간 보수가 저렴한 것과
C- 선/후취 수수료가 없지만, 연간 보수가 높은 것,
E - 온라인 판매전용으로 저렴한 수수료 有
⑦ ETF
상장지수 펀드, Exchange Traded Fund
- 거래소에서 거래되는 펀드로 펀드지만 주식 속성 有
- 소액으로도 분산투자가 가능하며, 투명함
- 자동 리밸런싱효과가 있고, 실시간 거래 가능함(2일)
- 월등히 수수료가 낮으며 다양한 상품군 커버가 가능함
- 배당과 유사한 분배금을 받을 수 있음
Good to know - KRX 정보데이터시스템
'가벼운 끄적거림의 파편들' 카테고리의 다른 글
[랜덤 한줄] 2. 논어 중 술이 : 의롭지 않은 부귀에 대하여 (1) | 2023.01.25 |
---|---|
[랜덤 한 줄] #1. 논어 中 술이 : 배움에 관하여 (0) | 2023.01.13 |
영감을 주는 선배와 연말 마무리 인사 (1) | 2022.12.30 |
직장인이 아닌, 직업인으로서 살아야겠다 결심 (1) | 2022.12.20 |
221124 대학친구와 만남을 통한 내 삶의 성찰 (1) | 2022.11.25 |
댓글